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균 어육에 단백질 분해세균 접종후의 저장중의 변화

        정종락,아렉산더엠 달라 한국수산학회 196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 No.2

        사후 저장기간 중 어육내에 진행되는 단백질 분해에 어육 자체효소와 세균활동 중 어느 쪽이 기여하는 바 큰가를 분별하기 위하여 금방 죽인 볼낙류(Sebastodes)의 어육을 무균방법으로 잘라내어 4OZ 유리용기에 넣고 플라스틱으로 된 나사뚜껑으로 밀봉한 후 감마선 조사하지 않는 군(무균육과 무균육에 단백질 분해성 Pseudomonas를 접종한 것으로 세분)과 0.5과 2.0 Mrad 선량 조사한 군(무균육, 조사 전에 접종시킨 어육, 그리고 조사후에 접종시킨 어육으로 세분)으로 나누어 0℃에서의 저장 중의 어육의 총균수, pH, 관능 상태, 그리고 0.5M KCl 및 70% ethanol 가용성 총질소와 Amino-N을 검측함으로써 어육 단백질 분해 과정을 조사하였다. 0.5Mrad 감마선량은 무균 어육에 접종된 10^6 per gm Muscle Pseudomonas sp.를 완전 사멸시키는데 충분하였으므로 완전한 무균상태와 처음부터 단백질 분해성 세균활동이 활발한 상태에 놓여 있는 어육 내비 진행되는 단백질 분해과정을 비교할 수 있었다. 기름지지 않는 어류에 속하는 볼낙 어육의 저장 중에 일어 나는 pH의 상승, 관능상태의 저락, 그리고 단백질 분해에서 오는 총질소와 Amino-N의 축적은 모두 세균의 번식활동과 직접 관련되어 있으며, 완전 무균 어육의 단백질 분해는 전혀 검측되지 안했으므로 통상 저장중에 일어나는 어육 단백질 분해는 전부가 세균활동비 기인됨이 확실해졌다. 감마선 조사 직후 단백질 분해성 세균을 접종시킨 어육을 조사치 않고 접종시킨 어육에 비교할 때, 전자의 경우 세균번식이 철저히 장해 받았으며, 이에 따라 pH 상승과 총질소 및 Amino-N 축적도 상대적으로 부진하였다. 이 방사선을 조사받은 인육에 접종된 단백질 분해성 세균활동의 장해는 조사선량에 비례함이 밝혀졌다. 관능상태로 판단할 때 0.5Mrad 선을 조사받은 어육은 조사받지 않은 것보다 선도유지기간이 2배이상으로 연장되었다. 그러나 2.0 Mrad 선량 조사받은 어육의 선도유지는 오히려 조사받지 않은 것보다 못하였다. 이 고선랑 조사로 인한 식품의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의 해독성은 접종시킨 세균 번식 장해현상으로 나타났으며, 이 현상은 조사식품의 안전성 검측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을 말해준다.

      • 物價水準變動과 株價 : 우리나라 증권시장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Evidence on the Korean Stock Market

        정종락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6 延世論叢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nflation-caused wealth transfer affecting the value of common stocks in Korean stock Market. After establishing two testable hypotheses regarding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inflation-induced abnormal returns of common stocks, 1 test each of those hyypotheses by cross-sectional comparisions of the comovements between common stock abnormal returns and various types of inflation during the recent high inflation period of 1977~1981. In testing the hypotheses I attempt to eliminate many of the methodological weakness of previous studies. Careful distinction between the effects of expected and unexpected inflation, use of real (abnormal) returns rather than nominal returns and use of a newly developed inflation-adjusted equilibrium pricing model to estimate the abnormal refurns. The test results based upon the samples of 155 listed stocks, show that there are no appreciable differences between higher and lower net monetary position firms. Further more, the effect of depreciation i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Delayed Neurological Deficit in a Patient with a Compression Fracture of the Thoracic Spine: Coexistence of Ankylosing Spondylitis and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정종락,박성배,윤상원,정재견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2009 Neurospine Vol.6 No.3

        Ankylosing spondylitis (AS) and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DISH) increase the risk of spinal fracture after minor trauma in an ankylosed spine. There are few reports on a spinal fracture in people with both conditions. A 67‐ year‐old man visited our emergency room with moderate back pain developed after slipping. No neurological deficit was noted. On physical examination, direct tenderness was noted in the back at the level of the thoracolumbar (TL) junction. Radiological evaluations showed the compression fracture of ankylosed spine and the coexistence of AS and DISH. Vertebroplasty was performed in fractured spine due to persistent back pain. Several weeks later, neurological deficits were developed. Finally, decompressive laminectomy and posterior screw fixations were performed. After operation, neurological deficits were fully recovered and patient was discharged. Patient who had a fracture of an ankylosed spine in association with coexisting AS and DISH could be considered the early surgical treatment. Ankylosing spondylitis (AS) and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DISH) increase the risk of spinal fracture after minor trauma in an ankylosed spine. There are few reports on a spinal fracture in people with both conditions. A 67‐ year‐old man visited our emergency room with moderate back pain developed after slipping. No neurological deficit was noted. On physical examination, direct tenderness was noted in the back at the level of the thoracolumbar (TL) junction. Radiological evaluations showed the compression fracture of ankylosed spine and the coexistence of AS and DISH. Vertebroplasty was performed in fractured spine due to persistent back pain. Several weeks later, neurological deficits were developed. Finally, decompressive laminectomy and posterior screw fixations were performed. After operation, neurological deficits were fully recovered and patient was discharged. Patient who had a fracture of an ankylosed spine in association with coexisting AS and DISH could be considered the early surgical treatment.

      • KCI등재

        감마선 조사된 참굴의 빙장 기간중의 세균학 및 화확적 변화

        정종락 한국수산학회 197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7 No.4

        산란직전의 남해산 참굴(Crassostrea gigas)을 산채로 구입하여 통상조건하에서 탈각하여 얻은 굴육질을 polyethylene laminated aluminium pouch (Al+PE : 0.03+0.03㎜) 속에 밀봉하여 살균선량(0.2Mrad) 및 멸균선량(2.OMrad)의 감마선으로 조사하고, 한편, 100ppm의 염소수에 굴육질을 2분간 침지한 후 탈수하여 같은 방법으로 포장하여 35일간의 빙장기간중 세균학적 및 화학적 변화를 대조 굴(조사치 않고 염소수 처리하지 않은)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굴육질의 시초의 총균수는 g당 700-800에 달했고, 0.2 Mrad의 감마선 조사는 빙장 10일째의 저장 기간중의 총 균수를 검측할 수 있는 선 이하로 감소시켰으며 2.0 Mrad 조사는 20일째 까지 거의 무균상태를 가져왔다. 감마선 조사는 또한 세균활동을 표시하는 대사물질인 TMA와 TCA soluble nitrogen의 축적을 현저히 억제시켰으며 빙장후기부터 번식하기 시작하여 총균수가 g당 100,000을 초과케 된 35일째까지도 대조굴의 동일한 총균수 시기에 비하여 이 대사물의 축적억제가 현저했음은 감마선 조사의 효과가 총균수의 양적인 감소뿐만 아니라 동시에 TMA를 생산하고 단백질을 분해할 능력이 있는 세균 제거 내지는 번식의 억제라는 선택적인 양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염소수 처리한 굴육질의 경우 총균수의 양적인 감소효과는 현저하지 않했는데도 불구하고 감마선 조사 경우처럼 세균대사물질 축적의 현저한 억제를 가져 왔음은 주목할만 하다. 굴육질의 glycogen 함량은 사후 저장 기간중 쉽사리 감소되지 않했으며 pH 측정으조 본 생굴의 신선도와의 관련성은 희박하며 조사와 염소수 처리굴의 경우 더욱 그러했다.

      • KCI등재

        감마선에 쬔 참굴의 저장성

        정종락 한국수산학회 196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 No.1

        산란기 직전의 참굴(Crassostrea gigas)을 통상 방법으로 개각하여 0.3및 2.0 Mrad의 감마선에 각기 쬔후 0℃의 온도하에 저장기간중 번식하는 총 세균수와 pH 변화를 측정하고 부패상을 관찰함으로씨 방사선을 쬔 참굴의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자외선을 쬔 무균해수에 개각하지 않고 정화시킨 굴과 보통 해수에 수용하였던 굴을 비교하여 정화 처리에 의한 세균 제거의 효율을 조사하였으나 4-5일의 장기간 처리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세균제거 결과를 볼 수 없었다. 이것은 굴이 보유하고 있는 본래의 총 세균수가 적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감마선을 쬐지 않은 굴은 저장 15일째에 부패했음이 완연했으나 0.3 Mrad의 감마선을 쬔 굴은 35일후까지도 시큼할뿐 변로 변질되지 않았다. 2.0 Mrad의 감마선을 쬐인 굴은 관능상의 선도 유지에 있어서 0.3 Mrad로 쬔 굴보다 휠씬 나빴고 off-odor가 심했다. 굴 저장중의 pH 변화로 선도를 판정함은 그 신빙성이 극히 희박하였고 선도의 저하와 함께 pH가 내려간다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어류부패의 경우와 같이 저장 초기에는 악간 하강하나 부패의 진행과 함께 상승함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남해산 및 서해산 참굴(Crassostrea gigas) 종패의 상호 이식 후의 성장

        정종락,곽희상 한국수산학회 197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 No.2

        우리 나라 남해산 참굴과 서해산 참굴의 형태학적 특성이 단순한 생태학적 요소에 기인하는지 또는 유전학적 요소에 근거를 두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한 방도로 1968년 중에 채묘된 남해 해역의 통영 예천 그리고 고홍산 굴씨와 서해 해역의 충남 간월도산 굴씨를 1969련 5월 중에 각 산지간에 상호 교환 이식하여 해수 유통이 잘 되는 플라스틱 바구니에 담아 간조선 1시간 이내의 지점에다 설치한 간이 수하식 시설에 항상 해수에 담기는 위치에 매단 후 월 2회에 걸쳐 굴씨의 성장 측정과 해수 및 공기의 온도 그리고 염분 측정을 시행하였다. 조기분과 후기분 굴씨의 성장은 시초에는 후기분보다 17∼240% 컸던 조기분 글씨가 성장과 더불어 후기분과의 차이를 점점 좁혀 1차년도 성장이 끝날 무렵인 12월까지는 5∼20%선까지 좁혀졌다. 서해역 간월도산 굴씨의 서해와 남해 해역에서의 성장은 남해산 굴씨에 비해 훨씬 뒤떨어지고 있으며 이는 비록 동일한 species에 속하는 참굴이기는 하나 다른 race에 속함을 시사하고 있다. 남해만 굴씨의 성장은 장소를 불문코 대동소이하며 이는 이들이 동일한 품종에 속한다는 통상 관측을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월 2회에 걸쳐 얻어진 온도와 염도 변화에 의하면 우기 중 육수의 혼합으로 인한 해수 염도의 저하나 온도 변화가 굴의 산란으로부터 굴 치패의 부착 과정을 심하게 저해하는 정도에 달하지는 않은 것같다. 그러나 굴의 산란기 전후와 굴 치패의 부착 기간 중의 집약적인 측정 자료가 없으므로 이 결과는 4개소의 해양조건의 대체적인 성격을 표시하는 제한된 자료에 지나지 않는다. As an attempt to determine if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ern and western oysters are due simply to the local ecological factors or are based on their fundamental genetic nature, oyster seeds produced in 1968 at Tong-Young, Ye-Chun, and Ko-Hung on the south coast and at Kan-Wol-Do on the west coast were cross-transplanted during May of 1969 to compare their growth. The spats were placed in plastic baskets which permitted free water flow through and the baskets hung from a wooden rack located at a tidal zone of less than I hour exposure at a depth chosen to keep the baskets submerged in water at all times. Twice a month the growth of the spats were measured along with the air an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early summer spats, which were 17-240% larger, in size, than the late summer spats at the time of cross-transplantation, grew more slowly than the late summer spats when exposed to ident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shortening the initial gap to a 5-20% level as the first year of the growth phase came to an end in December. The growth of the Kan-Wol-Do spats lagged considerably behind the southern spats at all localities tested,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latter groups. This suggests that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southern and western Pacific oysters in Korea are a manifestation of genetic variety and that Pacific oysters cultured along the south coast are of an identical variety as they are commonly believed to be. The seasonal changes in temperature and salinity even during rainy season in both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al areas are well within the range suitable for successful spawning, and spat fall. However, since the results were based on twice-a-month measurements with no data covering the critical period before and after spawning, they can only serve to indicate at best the general pattern of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each growing a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