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로어 컨트롤 암에 대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적용 유효성 검증

        정재헌(Jae-Heon Chung),은효준(Hyo-Jun Eun),김원중(Won-Joong Kim),정해석(Hae-Seok Chung),이승엽(Seung-Yop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9 No.5

        전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자동차 연비 향상을 위한 차량 경량화 기술 개발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경량화를 위해서 높은 강도를 갖는 탄소섬유복합소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알루미늄 및 스틸로 생산되고 있는 차량용 Lower Control Arm (LCA)에 대해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FRP) 적용 가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부품으로는 대형 차량용 LCA를 사용하였으며 알루미늄과 스틸, CFRP를 적용한 LCA에 대해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각의 고유진동수와 모드 형상 등 기계적 물성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재료 물성으로는 현재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Al6061-T6 및 S45C를 사용하였으며, CFRP의 경우에는 적층각도 및 개수를 다양하게 비교 설계하여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FRP 적용을 통한 LCA 경량화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연구결과를 CFRP LCA의 대량 생산을 위한 새로운 공정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 충돌 에너지 흡수량 증가를 위한 크래쉬 박스 설계 변수 영향도 분석

        정재헌(Jae-Heon Chung),김원중(Won-Joong Kim),이승엽(Seung-Yop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9 No.5

        차량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범퍼와 크래쉬 박스는 차량 충돌 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자의 사고 위험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부품들이며, 본 연구는 차량의 저속 충돌 시 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크래쉬 박스의 형상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크래쉬 박스의 에너지 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된 형상 변수들은 부품의 좌굴 현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면 형태와 구멍의 크기, 개수이며, 각 분류에 따라 저속 충돌 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Al6061-T6 재질 크래쉬 박스의 대변형을 유한요소 해석으로 진행하였다. 좌굴 현상, 충돌 하중 곡선을 결과값으로 도출하여 실제 Al6061-T6 크래쉬 박스의 거동과 비교/검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크래쉬 박스의 충돌 에너지 흡수량에 대한 단면 형태와 구멍의 크기, 개수에 대한 변수의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크래쉬 박스의 단면 형태와 구멍 크기, 개수의 상호관계를 고려한 성능 개선 모델 설계 및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타이타늄 합금에 다양한 두께로 코팅된 TiN 피막의 기계적 성질

        이재윤,오동준,김희중,정재헌,Lee, Jae-Yun,Oh, Dong-Joon,Kim, Hee-Jung,Chung, Chae-He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5 No.5

        Statement of problem: Titanium nitride(TiN) coatings are the most general and popular coating method and use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metallic surface for industrial purposes. When TiN coating applied to the abutment screw, frictional resistance would be reduced, as a results, the greater preload and prevention of the screw loosening could be expec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chanical properties of TiN coated film of various coating thickness on the titanium alloy surface and to evaluate proper coating thickness. Material and method: 95 Titanium alloy (Ti-6Al-4V) discs of 15 mm in diameter and 3 mm in thickness were prepared for TiN coating and divided into 7 groups in this study. Acceding to coating deposition time (CDT) with TiN by using Arc ion plating, were divided into 7 groups : Group A (CDT 30min), Group B (CDT 60min), Group C (CDT 90min), Group D (CDT 120min), Group E (CDT 150min), Group F(CDT 180min) and Group G (no CDT) as a control group. TiN coating surface was observed with Atomic Force Microscope(AF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and examined with scratch tester, wear tester. Result: 1. Coating thickness fir each coated group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coating deposition time. 2. Surface of all coated groups except Group A was homogeneous and smooth. However, surface of none coated Group G had scratch. 3. Adhesion strength for each coated group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coating deposition time. 4. Wear resistance for each coated group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coating deposition time. 5. Surface roughness in Group A, B, C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coating deposition time. But, surface roughness in Group D, E, F was showed decreased tendency in proportion to coating deposition time. Conclusion: According to coating deposition time, mechanical properties of TiN coated film were changed. It was considered that 120 minutes coating deposition time ($1.32{\mu}m$ in coating thickness) is necessary.

      • KCI등재

        임프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증례보고

        김희중 ( Hee Jung Kim ),정재헌 ( Jae Heon Chung ),강동완 ( Dong Wan Kang ),오상호 ( Song Ho Oh ) 조선대학교 치의학연구원 2010 Oral Biology Research (Oral Biol Res) Vol.34 No.2

        The patient of this case is a 67-year old female who had worn complete denture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pectively in maxilla and mandible. She had wanted the refabrication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ure. Result of diagnosis showed possible approach of two, complete dentures in both jaw or complete denture in maxilla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implants in mandible. The latter one for treatment was determined and two impalnts were placed in the opposite ares that two natural teeth had been remained in mandible. Two surveyed crowns were attached on implants and had an occlusal rest. Conventional removable partial denture that had an occlusal rest and retentive clasp arms on casting crown attached to implant, was fabricated. About 20 months after delivery revealed no severe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s and no problem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This case has shown the successful result and good satisfaction for patient, and suggested that implant might be used as an abutment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 like as natural teeth.

      • KCI등재
      • KCI등재

        대퇴골 골절에 사용된 Huckstep 정

        조세현(Se Hyun Cho),정순택(Soon Taek Chung),박형빈(Hyung Bin Park),하용찬(Yong Chan Ha),김병기(Byung Gi Kim),정재헌(Jae Heon Jeong),황선철(Sun Chul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목적: 대퇴골 골절과 대퇴골 불유합의 치료에 사용된 Huckstep 정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 저자들이 고안한 피질골 창을 만들어 방사선 투시장치 없이 시술한 교합 나사 삽입수기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Huckstep 정을 이용하여 지료한 급성 대퇴골 골절 6예(폐쇄성 골절 5, 개방성 골절 1), 불유합 9예(감염성 4, 비감염성 5)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수술 전 진단과 수술 횟수, Huckstep 정 시술 방법, 골유합까지의 기간, 합병증 등을 방사선 사진과 함께 분석하였다. 남자 10예, 여자 5예로서 Huckstep 정 수술 시의 평균 나이는 42세(18-70)였다. 모든 증례를 최소 16개월에서 6.4년까지 평균 26개월 간 추시하였다. 특히 7예에서 골절 상하 부위에 피질골 창을 내어 교합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방사선 투시장치의 도움 없이 쉽게 수술할 수 있었다. 결과: 급성 골절은 평균 15.3주에, 불유합은 24.6주에 방사선학적 골유합을 얻었다. 개방성 골절 1예는 일차 단측성 고정기로 고정하고 개방창이 치유되는 4주에 Huckstep 정을 시술하였다. 불유합 중 2예에서는 자가골을, 다른 3예에서는 수산화 인회석/삼중 칼슘 인산염 과립을 각각 이식하였다. 불유합은 외상 후 평균 1l.8개월 동안 타병원에서 평균 4.3회의 수술을 받고 내원하였고, 그 중 4예에서 최종 추시 상 슬관절 부분 강직을 보였다. 골절 근위부에 교합 나사를 삽입하지 않았던 급성 골절 1예에서 동력화로 인해 2 ㎝의 하지 단축이 발생하였다. 결론: Huckstep 정 술식으로 급성 골절과 불유합 모두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고정이 견고하여 조기 관절 운동과 체중 부하가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골절 상하 부위에 만든 피질골 창을 이용한 교합 나사 삽입술로 방사선 투시장치의 도움 없이 쉽게 시술할 수 있었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Huckstep nailing in the treatment of acute femoral fractures and femoral nonunion, and to report the easy and non-fluoroscopic technique of targeting the locking screw holes by making double cortical window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fifteen femoral fractures treated with Huckstep nailing between January 1999 and January 2004. The fractures included six acute fractures (five closed and one open) and nine nonunions (four infective and five aseptic). The reoperative status, number of interventions, time to union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Ten male and 5 female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42 years (range, 18-70) were followed up for a mean of 26 months (range, 16 months to 6.4 years). A new method of double cortical windows for targeting the screw holes were performed in seven cases without fluoroscopic aid. Results: Radiographic union was achieved after a mean of 15.3 weeks in those with an acute fracture and after a mean of 24.6 weeks in those with nonunion. One open fracture was fixed initially using a monofixator followed by Huckstep nail 4 weeks later when the open wound had healed. A bone graft was performed in two cases of nonunion, and Hydroxyapatite/Tricalcium phosphate granules were grafted in three cases of nonunion. Partial knee ankylosis resulted in 6 cases of nonunion at the final follow-up because the nonunion cases had undergone an average of 4.3 surgical procedures at other hospitals over an average of 11.8 months before performing Huckstep nailing. One acute case without proximal screw fixation resulted in dynamization and femoral shortening of 2 ㎝. Conclusion: Huckstep nailing provides stable fixation sufficient to enable early knee motion and weight bearing until the fracture heals in both acute fracture and nonunion. The new method of double cortical windows allows the easy targeting of screw holes without fluoroscopic aid.

      • KCI등재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대퇴골두 중심계측의 정확성 및 대퇴 치환물 정렬의 평가

        정운화(Woon Hwa Jung),김동현(Dong Hyun Kim),천충우(Chung Woo Chun),정재헌(Jae Heon Jeong),하용찬(Yong Chan Ha),서재곤(Jai Gon S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4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슬관절의 정렬은 수술의 결과 및 예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골수강외 정렬기법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은 술 중 대퇴골두의 중심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어 대퇴삽입물의 관상면 정렬이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골수강외 정렬기법을 위해 대퇴골두 중심간 거리를 이용하는 표식자의 정확성 및 대퇴 치환물의 관상면 정렬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7월에서 2009년 7월까지 90명 10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전 PACS system에서 양측 대퇴골두 중심간 거리를 측정하였고 이를 새롭게 고안된 표식자에 적용하여 환자에 정착 후 단순 고관절 전후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위치 오차를 계산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시행한 인공 슬관절의 정렬 정도를 대퇴삽입물의 내외반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술 전 시행한 방사선 촬영상 평균 대퇴골길이는 402.5±16.2㎜였고, 수술장에서 실시한 영상에서 대퇴골두와 표식자와의 평균 거리는 49.6±17.9 ㎜, 대퇴 골두 중심의 평균 오차는 3.78±3.14 ㎜였다. 술 후 시행한 방사선 사진상 90예가 관상면상 1도 오차 범위 안에 들었으며, 모든 예에서 2° 오차 범위 안에 들었다. 평균 역학적 축에 대한 대퇴삽입물의 내외반각은 89.9±1.5°(범위, 84.4-93.6°)였고, 96예에서 대퇴 치환물의 관상면상 정렬이 90±3°였다. 결론: 양측 대퇴골두 중심간 거리를 임상적으로 응용한 표식자의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대퇴골두 중심을 찾는 방법들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인공 슬관절의 술 후 정렬 또한 우수하였다. Purpose: Align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long-term success of total knee arthroplasty In the total knee arthroplasty, the conventional extramedullary femoral alignment system has significant error in femoral coronal alignment, sinc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femoral head center and it is time consuming to determine during the operation.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newly-designed marker system for extramedullary femoral alignment that uses radiologic distance between the 2 femoral head cente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2008 and July 2009, 90 patients (100 knees) with knee osteoarthritis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the femoral extramedullary femoral guide system. We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femoral head centers using the radiologic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General Electric, Milwaukee, WI) system preoperatively, then plastic rods and metal pegs were used to simulate the inter femoral head center distance. By placing the center of the plastic rod after marking the inter femoral head center distance on the central body line, we could trace the coronal mechanical axis. We measured the angle between the femoral mechanical axis and the femoral component in standing long leg antero-posterior radiograph to assess radiologically the accuracy of coronal alignment postoperatively. Results: The average femoral length in the study group was 402.5±16.2 ㎜.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femoral head and the center of the marker was 49.6±17.9 ㎜. The average error in estim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emoral head center and the metal peg of the marker was 3.78±3.14 ㎜. The positional error in alignment was 1° or less in 90% and 2° or less in 100% of knees The average angle of femoral component to femoral mechanical axis was 89.9±1.5° (range 84.4-93.6°). The coronal alignment of the femoral components was within 90o±3° in -96% of case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linical method reported here is a simple and reliable method to localize the center of the femoral head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