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민족영화와 민주영화의 자주상영 운동 ; <파업전야>와 <도레이 공장>을 중심으로

        정인선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1

        This paper outline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at a group of cinemas called ‘National Cinema (Minjok Yonwha)’ was produced and distributed. In order to develop this argumen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 fact that independent cinemas were widely called 'Democratic Cinema (Minshu Eiga)’ during the 1960s in Japan. The appearances of these new terms were strongly related to ideals that the social movements of the 1960s in Japan and 1980s in Korea had pursued. This paper deals with two notable examples of the aforementioned cinemas, The Night Before Strike(1990) of Korea and Dorei Kojo(1968) of Japan. These two independent movies with similar theme, organization of metal workers union, and similar production background were distributed and screened in different ways. In Japan, because independent screening movements occurred against market domination by a few major film companies, formation of alternative distribution networks was an important objective. In Korea, censorship and regulations, by the state, made these national cinemas illegal and forbidden. For this reason, national cinemas had no choice but to have independent screenings. 본 연구는 1980년대 민족영화라고 불리던 영화군(群)이 제작되어 배급된 사회적 맥락을 탐구한다. 특히 이 연구는 1960년대 일본에서 독립영화들이 민주영화라는 이름으로 널리 불리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일 양국에서 사회운동 및 학생운동이 어느 시기보다 활발히 이루어졌던 시대에 민족영화와 민주영화가 고안된 사회적 콘텍스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민족영화와 민주영화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라 할 수 있는 <파업전야>와 <도레이공장>을 예로 들어, 두 영화가 제작되고 배급되게 된 경위와 상영 방식을 살펴보고 두 영화가 유사한 문제의식 속에서 금속노조의 결성과정이라는 유사한 주제를 가진 극영화로 탄생했으나 그 자주 상영 과정에서 매우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일본의 경우 메이저 영화 기업들이 영화 배급망을 독점한 것에 반발하여 자주상영 운동이 일어났기 때문에 대안적인 배급 상영망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면, 한국의 경우 검열과 사전신고제라는 제도적 규제로 인해 이들 민족영화는 불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자주상영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 KCI등재

        From National Culture to Diversity: The Formation of the "Diversity" Concept in Korean Film Policy

        정인선 한국문화산업학회 2023 문화산업연구 Vol.23 No.1

        In 2005, the Korean government invented a new policy term, "diversity films," as a collective name for non-mainstream films such as art films, independent films, and experimental films. This new term was designed to enhance the systematic promoti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exhibition of these films. By examining the changes that transpired in cultural policies (including film policies) alongside broader social changes in Korea from the 1970s to 2000s,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what necessitated the "diversity film" policy in the mid-2000s, and why the concept of "diversity" has become more significant than "national culture" in cultural policy-making.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new industrial environment created by the transnationalization of capital accelerated after the opening of the film market and the monopolization triggered by the influx of film capital in the 1990s necessitated a new policy category of diverse films rather than the category of Korean films.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diversity film policy was required to repair a Korean film market that had been distorted under neoliberalism which brought about ‘new structure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a developmental state.

      • 도서관인의 명암(明暗) - 어린이 철학교육를 위한 학교도서관 활용방안 (초등학교도시관의 장서구성과 독시교육을 중심으로)

        정인선,Jeong, In-Seon 한국도서관협회 2009 圖協會報 Vol.50 No.5

        환경(공간)은 예외 없이 존재의미를 규정한다. 학교도서관은 더욱 그러하다. 청소년기의 학교도서관이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도서관의 존재에 대한 일반적 의미 이상인 이유도 거기에 있다. 즉 학교안에 도서관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초등학교 도서관의 의미는 더욱 각별하다. 학교도서관은 담임선생님이나 교장선생님의 존재보다 더 훌륭한 인류의 스승들, 즉 위인들의 모습들이 간직되어 있는 곳으로, 한마디로 말해 어린이에게 그곳은 위인의 전당이고 어린이 철학의 요람이기 때문이다. 많은 어린이들이 그곳에서 자신의 미래를 꿈꾸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어린이 철학자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 KCI등재

        H 유치원 방과 후 음악 특별활동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정인선,김보림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oblems with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basic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curriculum and to explore the integrated operation. For research, the second tim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es were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9 for early childhood teacher in Seed class, extracurricular music instructors, and 14 children at H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The first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keep musical instruments and materials used when music activities time in music area” for integrated activities with topics of the basic curriculum and topics of extracurricular music. It was conducted as an “active integration process of the regular curriculum and special music activities” such as fairy tales and physical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t were collected various data such as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videos of early childhood classes, photos of free play, and text messages exchanged on S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upper and lower concepts.As a result of the analysis, children experienced musical elements and enjoyed music.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changed their perception of music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be established support measures and cooperation systems to share their expertise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structor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방과 후 특별활동 운영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기본교육과정과 방과 후 특별활동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협력적으로 살펴보고 실행해 봄으로써 교육의 주체자들에게 나타난 변화과정과 의미를 분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위치한 H유치원의 만3세 씨앗반 담임교사와 14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2019년 3월부터 7월까지 총2차(16주)의 협력적 실행과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3주간의 예비연구를 통해 기관 및 교실의 상황적 맥락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한 회 차 당 8주씩 유아교사와 연구자와의 상호 협력적 실행과정이 이루어졌다. 1차 실행과정은 ‘생활주제와 음악 특별활동과의 통합적 연계 활동을 위한 시도과정’으로 음악 특별활동 시 활용했던 악기와 음률영역간의 통합 시도가 관찰되어졌다. 2차 실행은 악기 뿐 아니라 동화, 신체 활동 등의 “정규교육과정과 음악 특별활동의 적극적 통합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연구 참여자 면담내용, 유아수업 영상, 자유놀이 사진, SNS에서 주고받은 문자 등 다양한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코딩범주를 개발하여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은 음악적 요소를 경험하며 음악을 즐기게 되었으며, 유아 교사들은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과 방과 후 음악특별활동의 통합적 운영을 위해 음악 강사와 유아 교사가 서로의 전문성을 공유하고 함께 협력해 나갈 수 있는 협력체제로서 지원방안과 체계가 구축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영화 속에서 드러난 부재를 통한 현실 재현

        정인선,정태수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2

        This study examines how Andrei Zvyagintsev’s films are reproducing the rapidly changing sections of Russian society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rough his entire work, this study ultimate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reality and social reality.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Post-Soviet Russian society that Zvyagintsev continues to deal with in the film. In the Soviet era, artificial ethnic communities were formed under the banner of 'ethnic friendship', and family communities were formed where the state and society replaced the role of the family.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the community of ethnicity and family was dismantled. The Post-Soviet Russian society of the dismantling of this family community is signified by the concept of 'absence' by director Andrei Zvyagintsev. The director recreates the ethical aporia moment that kills family members to various reasons in all five films. The director creates his own formal aesthetics by using the moments of ethical aporia in individual films using cinematic techniques such as high symbols, mise-en-scenes (clothing, color, screen composition), editing (cross editing, sound and image). This formal aesthetics convincingly reproduces the section of community destruction of Post-Soviet Russian society in the movie to the audience. The director goes beyond the aesthetic form of individual works, and repeatedly encounters ethical aporia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 moment of absence in the works. Through this, he casts a question on how he can reproduce the phenomenon of Russian society called ' dismantling of community' to the audience. In the end, the director points out the limitations that can not be fully reproduced through the repetition of 'absence', and at the same time, 'absence' makes the audience able to reflect on the phenomenon of Russian society. It also makes the audience feel the reality of Russian society. 본 연구는 소비에트 붕괴 이후 급격하게 변화하는 러시아 사회의 단면들을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영화들이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의 작품 전편을 통해 궁극적으로 영화와 사회 현실 재현의 관계 문제에 대해서 탐구했다. 우선 본 연구는 즈뱌긴체프가 영화 속에서 지속적으로 다루고 있는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사회의 단면들을 연구한다. 소비에트 시절에는 ‘민족우호’라는 기치아래 인공적인 민족공동체가 형성되었고, 국가와 사회가 가족의 역할을 대신해 주는 가족공동체가 형성되었다. 소비에트연방 해체 이후 민족과 가족이라는 전통적 공동체가 해체되는 현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족공동체의 해체라는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사회의 단면들을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감독은 ‘부재’라는 개념을 통해서 의미화 시킨다. 감독은 다섯 편의 모든 영화에서 한 명의 가족구성원을 죽게 만드는 윤리적 아포리아 순간을 재현한다. 감독은 윤리적 아포리아의 순간들을 개별영화에서 고도의 상징, 미장센(의상, 색, 화면 구성, 조명), 편집 (교차 편집, 사운드와 영상의 부조화) 등의 영화적 기법을 이용해서 자신만의 형식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형식미가 영화 속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사회의 공동체 파괴라는 단면을 관객들에게 설득력 있게 재현한다. 감독은 개별 작품의 미학적 형식을 뛰어 넘어, 작품들 속에서 ‘부재’의 순간을 통해 윤리적 아포리아를 관객과 반복적으로 마주치게 한다. 이를 통해 그는 ‘공동체 파괴’라는 러시아 사회의 현상에 대해 어떻게 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관객에게 던진다. 결국 감독은 ‘부재’의 반복을 통해서 완벽히 재현될 수 없는 한계를 지적하는 동시에 ‘부재’를 통해 관객이 러시아 사회의 현상에 대해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만든다. 또 관객이 러시아의 현실에 동감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