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아이돌 팬 창작물의 생성 구조

        정은혜(Eun-hye Chung),한혜원(Hye-won Han)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논문은 한국 아이돌 팬 창작물의 텍스트 생성 과정과 코드화를 분석했다. 아이돌 팬 창작물이란, 창작주체인 팬이 아이돌 콘텐츠를 원전으로 삼아 텍스트를 창작한 콘텐츠이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대상으로는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하는 남성 아이돌 그룹인 ‘방탄소년단’과 ‘엑소’의 팬 창작물을 채택했다. 이론적으로는 빌렘 플루서의 ‘기구-작동자’와 ‘기술적 형상’의 개념을 적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아이돌 콘텐츠는 팬 해석의 분화와 통합을 통해서 팬 창작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통합적 스토리 월드를 생성한다. 이때 팬들은 코드를 생성하고 작동시키는 기구-작동자이다. 팬들은 아이돌 콘텐츠의 특정 부분을 탈맥락화하며 원전 텍스트를 강화하고 구조적 완결성과 자율성을 추구한다. 동시에 아이돌 콘텐츠의 중첩되는 부분을 재맥락화하고 원전 텍스트의 영역을 확장한다. 결과적으로 한국 아이돌 팬 창작물은 사용자이자 창작 주체인 팬의 의식과 가치를 담아낸다는 점에서 코드화된 기술적 형상으로 작동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text generation of the fan-made works in Korean idol. The subjects of the study adopted the fan-made works of ‘BTS’ and ‘EXO’. This is applied the concepts of ‘Apparatus-Operator’ and ‘Technical form’ in Vilém Flusser. Idol contents build a database of fan-made works and create the storyworld through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fans interpretations. By decontextualizing and recontextualizing the idol contents, fans reinforce and extend the original texts.

      • KCI등재

        한국 로맨스 웹소설과 딱지본 소설의 파라텍스트에 나타난 공통점 분석

        정은혜(Eunhye, Chung)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본 논문은 한국의 딱지본 소설과 로맨스 웹소설의 파라텍스트를 비교하고, 이를통해 한국의 대중소설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딱지본 소설과 웹소설은 인쇄술과 웹이란 매체를 기반으로 대중소설로 자리 잡았다. 두 매체의 특성은 다르지만 소설을 매개로 형성된 파라텍스트는 공통된 지점이 있다. 소설의 유통 환경 측면에서 두 소설은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유통 플랫폼을 확장하고 독자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독자는 소설을 매개로 하여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는 공동체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소설 텍스트 체계에서 두 소설은 남녀 인물의 낭만적 분위기를 강화하는 일러스트 표지(表紙)를 활용하여 이야기 공간을 제시한다. 또한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텍스트 공간을 계층적으로 분리하였다. 딱지본 소설은 제목, 소제목, 쪽수로, 웹소설은 에피소드 제목, 작가의 말, 댓글창으로 이야기의 시작, 종결, 진행 정도를 표시한다. 또한 에피소드 단위로 이야기를 분절함으로써 효율적 독서 행위를 증대시켰다. 이처럼 딱지본 소설과 웹소설은 서로 다른 매체를 활용함에도 불구하고 공유하는 문화적 코드를 갖는다. This paper compared the paratext of Korean Romance Web novels and Ddackjibon novels, and analyzed the cultural common code in Korean popular novels. Ddackjibon novels and web novels became the popular novels in korea based on the medias, which were typography and web.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wo novels were different, their paratext as the novels medium had the common point. First, in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Ddackjibon novels and web novels expanded the platform of distribution based on price competitiveness, and it made the improved accessibility. The readers formed the communities that shared their thoughts and feelings by these popular novels. Next, in the text system of the book, these two novels presented the story space by using an illustrated book cover that enhanced the romantic atmosphere. And they separated the text space using various indicators. Ddackjibon novels usually used title, subtitle, page number and web novels used episode title, writer’s comment, reader’s comment space. These indicators displayed the opening, ending and progressing of the story. In addition, they segmented the story by episode. It increased the reader the efficiency of reading. Eventually, Despite of the different media base, Ddackjibon novels and web novels shared the cultural common code.

      • KCI등재

        한국 웹소설의 태그 생성 구조

        정은혜(Eun Hye Chung)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47

        본 연구는 한국 웹소설 태그를 언어의 계열체와 통합체 구조에 적용해서 웹소설 태그의 구조를 분석했다. 먼저 2장에서는 웹소설 플랫폼인 네이버시리즈, 리디북스, 조아라, 카카오페이지에서 태그가 생성되는 시스템 환경을 분석했다. 그리고 태그가 사용자 사이에서 일종의 언어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태그가 이야기 내적 정보와 외적 정보를 담고 있으며, 태그가 이야기 모티프로 구성되어 있음을 분석했다. 여기서 태그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서 언어의 계열체 구조와 같은 역할을 한다. 4장에서는 작품마다 병렬적으로 나열된 태그들이 장르적 관습과 플롯 규칙에 의해 연결되고 있음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태그가 각 작품의 로그라인을 메시지로 담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웹소설 태그는 사용자와 이야기 텍스트 사이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합의된 코드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tag in Korean web novels by applying the concept of syntagme and paradigme. In Chapter 2, It looked at the system environment in which tags are generated in web novel platforms(NAVER SERIES, RIDIBOOKS, Joara, kakaopage). And this shows that the tag functions as a kind of language among users. In Chapter 3, it analyzes that the tag contains the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of story and composed of story motifs. In this context, the tag act as a database, such as the paradigme structure in language. In Chapter 4, it analyzes that the listed tags are linked by genre conventions and plots’ rules. Through this, the tag is contained the story logline of each work. In conclusion, the tags act as agreed code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user and the story text in web novels.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정은혜(Chung, Eunhye),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수면시간, 수면의 질, 우울 증상의 관계를 밝히고,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매개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Preacher와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S-척도), 수면시간을 묻는 문항, 수면의 질 척도(PSQI-K), 우울 척도(CES-D)를 실시하고,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수면시간, 수면의 질과 부적 상관을, 우울 증상과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수면시간은 수면의 질과 정적 상관을, 우울 증상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면의 질은 우울 증상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수면시간을 매개하여 우울 증상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수면의 질을 매개하여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짧은 수면시간을 거쳐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높은 청소년은 수면의 질이 낮아 높은 우울 증상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각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검증했다는 점과 수면시간보다 수면의 질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가진 청소년들의 수면 및 부정적 정서에 관하여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We performe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ith Hayes’ Process Macro program and bootstrapp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10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ollowing tools were used; a smartphone addiction scale(S-scale), a questionnaire on sleep duration, the PSQI-K, and the CES-D. The data thus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did not affect depressive symptoms through sleep duration. Seco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significantly influenced depressive symptoms through sleep quality. This study provides initial evidenc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sleep quality rather than sleep du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여성주의 문화이론에 따른 애니메이션의 여성 영웅 캐릭터 비교 분석

        김유나(Kim, Juna),정은혜(Chung, Eunhy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6

        본 논문은 한국, 미국, 일본 세 문화권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여성 캐릭터의 재현 서사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각 문화권이 대중에게 제시하고자 하는 여성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을 도출했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문화권별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들의 표면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특히 이것이 어떠한 현실 인식을 반영하는지 살펴봤다.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들은, 대표적 문화 기호로 작용하면서 해당 문화권의 패러다임과 질서를 체현하고 있었다. 3장에서는 애니메이션 전체의 서사 구조 내에서 여성 캐릭터들이 극적 사건을 해결하는 방식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여성 캐릭터의 행동과 사건 층위에서 나타난 문화적 함의를 도출했다. 한국의 경우 현실세계의 아이돌을 현실 연장적 맥락 안에서 모방했으며, 미국의 경우 비현실적 슈퍼 히어로를 실제 세계의 질서를 강화하는데 활용했다. 한편 일본의 경우에는 마법소녀로 하여금 매직 서클을 만들고 초현실적 여신으로 강림하도록 유도한다. 이처럼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속의 여성 캐릭터가 현실에 대한 인식과 문화적 패러다임에 따라서 해당 문화권의 남성 중심적 이데올로기를 각각 차별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This paper analyzed and compared the storytelling of female characters in Korean, American, Japanese animations and revealed the ideal image of woman of each culture. Chapter 2 analyzed the superficial images of the female characters and figured out how these images reflected awareness of a reality. This paper revealed that female characters act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symbols and embodies the paradigm and the order of those cultures. In Chapter 3, this paper analyzed and compared how the female characters solve the dramatic events in the entire narrative structure, and revealed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ir action and these events. Korean characters were imitating the idols as an extension of the real world, and American characters were drawn as unreal Super Heroes who were utilized to enhance the order of the world if the United States. Japanese characters, the magical girls are led to create a magic circle and then become surreal goddesses. In this way, this paper revealed that female characters in animation reflect the male-centered ideology of each culture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a reality and cultural paradigm.

      • 비활성 기체의 노출에 의한 금속 합금막의 수소 투과 변화 연구

        박태준(Taejun Park),이채현(Chaehyeon Lee),정은혜(Eunhyea Ch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수소 에너지는 탈탄소 청정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수소의 생산, 저장, 운반 관련 기술과 함께 수소 정제 기술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수소 분리막은 분리 과정 중에 압력 손실이 없고 운영과 유지 보수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주로 연구되는 팔라듐 합금막의 경제성이 없고 다른 금속막은 팔라듐 막에 상응하는 투과율을 얻을 수 없다는 난점이 있다. 때문에 다양한 합금막을 활용하여 수소의 투과율과 안정성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바나듐과 니켈은 높은 수소 투과율과 팔라듐과 유사한 촉매 작용으로 주목받고 있다. 바나듐-니켈 합금은 수소 용해도는 뛰어나지만 팔라듐 코팅 혹은 스윕 가스 없이 단독 활용 시 팔라듐 막에 비해 투과율이 낮고 단기간에 빠르게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바나듐의 높은 수소화합물 생성 양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소 화합물 생성을 지연시키거나 수소화합물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공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서의 비활성 기체 노출을 이용하여 바나듐-니켈 분리막의 수소 투과율을 회복시키고 그 기작을 연구하였다. 합금 분리막의 수소 투과율은 매 10분 간격으로 측정되었으며 총 5시간 투과를 진행하였고 그 후 섭씨 500℃에서 비활성 기체를 19시간, 43시간 노출시킨 후 수소 투과율을 다시 측정하는 방식으로 실험하였다. 분리막 전단의 수소의 압력은 4bar(a)이고 후단은 대기압으로 유지하였으며 스윕 가스는 사용하지 않았다. 측정 전과 후 분리막 전, 후당 모두 비활성 기체를 주입하였으며 후단은 아르곤, 전단은 질소와 아르곤을 비교 주입하여 비활성 기체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또한 비활성 기체의 노출 압력은 4 bar(a), 8 bar(a)로 실험하여 비활성 기체의 분압에 따른 투과율 회복 효과도 확인하였다. 전단에 질소 기체를 노출시킨 분리막의 경우 초기 실험에서 수소 투과율이 줄어든 후 비활성 기체의 노출 기간과 압력에 관계없이 유의미한 투과율의 회복이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전단에 아르곤을 주입한 경우 투과율의 회복이 관찰되었으며 수소 투과 기간이 길고 주입 압력이 높을수록 더 높은 수준으로 투과율이 회복되었다. 8 bar(a)의 아르곤을 전단에 주입한 경우는 초기 투과도를 초과하는 투과율이 측정되고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저하도 단기간에 관측되지 않아 수소화합물의 탈착 외의 다른 기작도 함께 작용하여 투과율을 상승시킨다는 점을 추정할 수 있었다. 수소화합물의 생성과 수소의 투과는 모두 수소의 흡착으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일정량의 수소의 흡착 및 수소화합물 생성은 수소 투과에 필수적이며 이 과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면 수소의 금속 투과율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아르곤과 질소는 둘 다 비활성 기체이지만 전자 배열의 차이로 수소 원자의 흡착에 미치는 전기적 영향이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운동 지름은 질소가 아르곤에 비해 크지만 수소에 비해서는 두 기체 모두 월등히 크기 때문에 크기에 의한 영향은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 에너지 사업 타당성 평가 교과목 개발을 위한 분석

        박형동(Hyeong-Dong Park),최종근(Jonggeun Choe),송재준(Jaejun Song),정은혜(EunHye Ch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우리나라는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기본계획(2014년)」을 수립하여 2035년까지 1차 에너지의 11%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전체 전력량 중 13.4%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신재생에너지는 화석 에너지의 고갈 문제와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라는 이점을 가지지만, 초기 과다한 투자비용과, 수반되는 환경문제, 난개발로 인한 경제적 손실, 지역 주민 갈등 등의 다양한 문제로 보급 활성화가 제약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보급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업 전 개발하려는 프로젝트에서 발생 가능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위험성을 분석하는 사업 타당성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의 기본원리 학습도 중요하지만, 대학 교과과정에서 에너지 사업 타당성 평가 강좌로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실무적 소양을 쌓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2020년 집중호우로 태양광 발전시설 12개소가 산사태로 인한 붕괴가 발생했으며, 2020년까지 약 922곳에 산사태 1-2등급지에 태양광 시설이 조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경제적 평가뿐만 아니라 환경 및 지반 안정성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는 신규 교과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신규 교과목에 필요한 내용은 경제적 평가(비용-편익, 순현재가치),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에 대한 자원량 평가, 부지의 환경 및 지반 안정성 평가, 환경적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적 수업과 더불어 자원량 계산, 발전시설 부지의 지반 안정성,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을 이용한 다변량 입지분석(지형, 접근성, 지반 조건, 기후, 자원량 등),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기반의 환경적 영향 분석, 에너지 믹스와 신재생에너지 사업 타당성 평가 사례, 석유, 천연가스 기반의 전통적인 에너지 사업과 신재생에너지사업의 비교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을 위한 평가기법 등이다.

      •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폐배터리 침출수에서의 선택적 리튬 회수

        장윤재(Yunjai Jang),김재현(JaeHyeon Kim),Chia-Hung Hou,박상혁(Sanghyuk Park),권경중(Kyungjung Kwon),정은혜(Eunhyea Ch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전기차 산업의 발전과 함께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여 리튬이온배터리의 재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리튬이온배터리 재활용 과정 중 습식제련법을 이용한 재활용 과정에서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산으로 침출시키고 침출수의 니켈, 코발트, 망간을 침전 및 용매추출로 회수한 후 남은 용액에서 리튬을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리튬을 회수한다. 수용액상에서의 리튬회수에는 보통 흡착, 용매추출, 침전법이 이용되며 현재 리튬이온배터리 침출수에 대해서는 전기화학적 리튬회수법이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화학적 리튬회수법은 주로 리튬 농도가 높은 염수에 적용되어 왔으며 리튬의 선택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리튬이온배터리 침출수에 전기화삭적 리튬회수 방법을 적용한다면 여러 공존하는 이온을 제거할 필요 없이 단 한 단계로 리튬을 선택적으로 회수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Lithium manganese oxide 전극과 활성탄 전극을 이용해 리튬이온배터리 침출수에서 리튬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리튬이온배터리 침출수에서 전기화학적 리튬 회수 실험을 진행한 후 리튬 회수 용량, 리튬 선택성 및 에너지 사용량을 계산하였으며 전기화학적 리튬 흡착 및 탈착 후 LWO 전극의 XRD 및 XANES 분석을 통해 LMO 전극의 화학구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리튬이온배터리 침출수에서 LMO, 활성탄 전극을 이용한 리튬 회수 실험 결과 리튬이 선택적으로 회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복 실험 후, 전극의 XRD, SEM 분석을 통해 전극이 안정적으로 재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