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투표용지 디자인에 관한 실험 연구 - 공직선거법 규정에 대한 문제제기 -

        의태 ( Jung Eui Tay ),홍재우 ( Hong Jae Woo ),이상협 ( Lee Sang Hyeb ),이은 ( Lee Eun J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3

        투표용지 디자인이 투표 행위에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투표용지 디자인 과정에서 정보디자인의 중요성 역시 간과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공직선거법이 규정하는 투표용지 디자인이 어떠한 오류 가능성을 내포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법률과 규정을 검토하는 휴리스틱 평가를 수행했으며 실험집단을 통한 경험적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1) 법률이 지정하는 한계 내에서 복수의 투표용지 제작이 가능하고, (2) 다양한 서체와 크기, 용지의 크기와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1) 색도 및 이미지에 대한 규정, (2)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타이포그래피 사용 규정, 그리고 (3) 기표란 사이 간격에 대한 여백 규정화도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투표용지 제작과정에서 임의적 요소들을 가능한 제거하고 선관위의 의사결정 타당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할 제도적 보완을 제안하였다. Rather the ballot paper design could influence voting behavior, there is less study upon the designing ballot paper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design.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rror occurring in the ballot paper design under the rules of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o do this, we conducted a heuristic evaluation method to review regulations, and an empirical experiment with closed groups. From this, we found that (1) diverse cases of ballot paper can be produced, and (2) various fonts, sizes, and materials can be used. Accordingly, it is inevitable to deliver regulations on (1) the usage of chromaticity and image, (2) the applying universal designed-typography, and (3) the margin for the spacing between ballot boxes. This study, at the end, suggests institutional measures for securing the validity and legitimac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remove latent ambiguity in ballot paper designing.

      • KCI등재

        ‘难免(不)VP’ 구문 연구

        정은(Jung Eun)(鄭恩)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5 No.-

        본 논문은 잉여부정현상 가운데 하나인 ‘难免(不)VP’ 구문을 연구하였다. 통시적 고찰을 통해 ‘难免’의 문법화 과정을 분석하고, 공시적 관점을 결합하여 형식과 의미의 비대칭 양상을 분류하였으며, 문법화 과정을 이끄는 기제 및 통사 층위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없었던 잉여성분 ‘不’의 인지, 화용 층위에서 역할을 모색해보았다. 먼저 ‘难免’은 동사에서 부사로 4단계 문법화를 거쳤다. 첫 번째 단계는 ‘难免’이 단독으로 술어로 활용되는 시기로 문법화는 시작되지 않았다. 두 번째 단계는 체언성 또는 용언성 목적어가 후행하기 시작하면서 통사구조 관계가 술목구조로 변하는 시기이다. 여전히 동사성이 강하게 나타나며, 이때 ‘难免’은 ‘难以避免, 很难避免’으로 확장 가능하다. 또한 후행하는 성분들은 객관적인 조건하에 추측 가능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세 번째 단계는 부사화가 시작되어 과도기적 단계를 거치는 시기로 용언성 목적어가 후행하는 빈도가 급증하였다. 술목관계에서 술어로 활용되는 ‘难免’의 통사 위치는 문법화되기 쉬운 부사어 자리이이며, 또한 후행하는 VP의 의미 변화 등과 더불어 외재하는 구조형식의 변화로 문법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때 ‘难免’은 동사 또는 부사로 볼 수 있었다. 네 번째 단계는 부사화가 성숙되고 완성되는 단계이다. ‘难免’의 두 형태소는 원래의 의미를 소실하고 완전히 결합하여 더 이상 ‘难以避免, 很难避免’으로 확장할 수 없었다. 또한 재분석과 화용강화를 통해 잉여성분을 포함한 부정형식 ‘难免不VP’가 나타나고, ‘难免’은 완전히 부사화 되었다. 문법화가 완성된 후 ‘难免(不)VP’ 구문은 후행성분 VP와의 통사, 의미관계 속에서 긍정형식 또는 부정형식으로만 활용 가능한 경우와 긍정형식과 부정형식이 의미상 차별이 모호해지는 3가지 비대칭 양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难免VP’ 구문과 잉여부정 ‘难免不VP’ 구문은 전경과 배경의 역전 현상을 통해 ‘难免VP’ 구문은 VP의 발생은 피할 수 없다는것이 전경이 되어 VP를 지향하고, ‘难免不VP’ 구문은 VP의 발생을 희망하지 않는 화자의 심리 상태가 전경이 되어 ‘不VP’를 지향함을 알 수 있었다. 객관적으로 동일한 사태(VP)를 주관적으로 해석해낸 것이다. 따라서 ‘难免(不)VP’ 구문은 개념화자의 인지적 경향성과 인지적 전략에 따라 전경과 배경의 시점이 역전되는 현상을 기저로 통시적 문법화 과정에서 재분석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또한 ‘不’를 통해 화자가 보다 적극적이고 의도적으로 주관적 의미를 부여하고, 무표 형식인 ‘难免VP’ 구문에 대립되는 유표 형식인 ‘难免不VP’ 구문을 통해 주관화가 실현된 표현으로 ‘不’는 주관화의 표지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anmian(bu)VP’ construction, one of the redundancy negation phenomena. This study analyzed the grammaticalization of ‘nanmian’ through a diachronic consideration, classified the asymmetrical aspects of forms and meanings by combining synchronic perspectives, and finally sought the roles of ‘bu’ in the cognitive and pragmatic level as the meaning of ‘bu’ is not granted as a surplus component on the mechanism and syntax level that leads the grammaticalization. To begin with, ‘nanmian’ changes from an adverb to a verb through 4-stage grammaticalization. The first stage indicates a period when ‘nanmian’ is solely used as a predicate. The second stage is a period when its syntax structure changes into a predicate-object structure, while starting to accept substantive or predicate objects. The third stage is when the grammaticalization starts, and the number of its accepting predicate objects is rapidly increasing. Being used as a predicate in the predicate-object relation, the syntactic position of ‘nanmian’ is the place of adverb where is easy to be grammaticalized, further providing a foundation of grammaticalization through external changes in the structure type, such as changes in the meaning of VP following. The last stage is a period when ‘nanmian’ has completely changed into an adverb through reanalyses and pragmatic reinforcement. After the grammaticalizat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nanmian(bu)VP’ constructions have three different asymmetrical aspects; they are used as a positive type and a negative type in the syntactic and semantic relations with the following component, VP, and their semantic differences become ambiguous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types. Besides, it was found that through the phenomenon of reversing grounds and backgrounds, the fact that the ‘nanmianVP’ construction cannot avoid the occurrence of VP becomes a ground, further orienting VP. On the other hand, the surplus negation ‘nanmianbuVP’ constructions orient ‘buVP’ by subjectively interpreting the objectively same situations as the psychological state of a speaker who does not want the occurrence of VP becomes a ground. Accordingly, the ‘nanmian(bu)VP’ construction appears as a reanalysis through diachronic grammaticalization, based on the phenomenon of reversing grounds with backgrounds by the cognitive tendency and strategy of a conceptual speaker. Besides, through ‘bu’, speakers are able to actively and intentionally give subjective meanings, and through the ‘nanmianbuVP’ construction in a mark type against the ‘nanmianbuVP’ construction in a non-mark type, the subjectivization is realized.

      • KCI등재

        인지적 관점에서의 ‘很+NP’ 구문 연구

        정은(Jung Eun)(鄭恩)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7 No.-

        본 논문은 현대 중국어 속 비문법적인 표현인 ‘很+NP’ 구문이 형성될 수 있는 원인을 부사와 명사의 상호 연계적 관계 속에서 찾아보았다. 또한 LCCM 이론을 도입하여 ‘很+NP’ 구문형성에 내재하는 인지기제를 분석하였다. 특히 ‘很中国’를 예로 삼아 ‘很+NP’ 구문에 활용되는 NP가 어떻게 어휘개념을 통해 인지모형 윤곽에서 가장 적절한 어휘개념을 선택하여 특정한 문맥 의존적 해석을 얻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NP의 환유적 개념작용이 발생하는 해석 과정을 LCCM 이론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부사가 명사를 수식할 수 있는 심층 원인은 주로 수식을 받는 명사가 사용 문맥에서 단어의 고유한 의미 변이를 통해 특정하게 해석되기 때문으로 부사가 명사를 수식할 수 있는 인지적 합리성의 근거를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dissertation sought, withi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adverb and noun, the cause as to how the ungrammatical expression of the ‘hen+NP’ construction could be formed. The ‘hen+NP’ construction places a degree adverb ‘hen’ in front of NP and promotes the expression of the state and property of the noun by using it as a grammatical means or a formal marker.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NPs modified by such degree adverbs have abundant additional meanings such as property and state meanings based on conceptual meaning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cognitive mechanism inherent to the formation of the ‘hen+NP’ construction by adopting LCCM theory. The examples of ‘hen+zhongguo’ in particular allowed the study to analyze how the NP utilized in the ‘hen+NP’ construction obtains a context-sensitive interpretation by selecting the most adequate lexical concepts from the cognitive model outline. Furthermore, the study explains the interpretive process in which the metonymic conception of NP occurs, with LCCM theory. The underlying cause as to how an adverb can modify a noun is mainly found in the modified noun, which is particularly interpreted through the intrinsic semantic shift of the word in the context that it is used in, and this is shown to provide the grounds for cognitive rationality whereby an adverb can modify a noun.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형 개발 연구

        영란 ( Young Ran Joung ),서윤경 ( Youn Kyung Seo ),장은 ( Eun Jung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성과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그 교육적 성과를 판단하기 위한 준거로서 사이버대학의 성과분석 모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형은 총 1 여년의 연구 기간 동안 1차 연구에서 8단계의 검토 및 검증 과정을 통해 결과중심의 성과분석 1차 모형이 도출되었고, 2차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교직원과 원격교육 전문가의 중요도 검증을 통해 체제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성과분석 2차 모형을 정립하였다.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2차 모형은 크게 투입, 과정, 결과 측면으로 구분된다. 첫째, 투입 측면은 학생 영역에서 입학목적, 학습동기 수준, 학습자의 사전 지식 및 기술 정도로, 대학 영역에서 설립자본금, 교직원 규모, 예산, 시설/설비로, 사회 영역에서 설치 법령, 설립 승인의 제도화, 재정적 지원, 대학평가의 제도화로 구분된다. 둘째, 과정 측면은 6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교육과정 영역에서 개설 전공/교양강좌 규모 등의 2개 요소로, 강좌개발 영역에서 강좌 개발 지침 및 절차 등의 3개 요소로, 강좌운영 영역에서 강좌 운영 지침 및 절차 등의 6개 요소로, 교수지원 영역에서 교수지원 조직 등의 3개 요소로, 학생지원 영역에서 학생지원 조직 등의 5개 요소로, 시스템 영역에서 학사행정시스템 등의 4개 요소로 구성되었다. 셋째, 결과 측면은 학생 영역에 개인목표 달성 정도, 학업성취도, 학업 태도 등의 10개 항목, 대학 영역에 교육목표 달성 정도, 재학생 규모, 입학 경쟁률 등의 9개 항목, 사회 영역에 원격대학의 설립목적 달성 정도, 원격대학의 특성화, 졸업생에 대한 사회적 평가 등의 6개 항목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형이 사이버대학 질 관리 체제의 토대가 되어 결과중심의 산출에만 치중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투입과 과정 측면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평가 준거를 통해 체제적인 성과분석 모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is to identify what the outcome of cyber university is, and develop the outcome-analysis model as a evaluation criteria of cyber university`s educational outcome. The outcome-analysis model of cyber university was developed in the first research and modified in the second research covering about a year period. In the first research, the first model which was mainly focused on the output of cyber university was developed being processed by 8 steps of review and examination. In the second research, the second model which was based on the systemic approach was developed by means of verification on the importance by the faculty of cyber universities and the experts of distance education. The outcome-analysis model of cyber university is composed of three aspects; input, process and output. Firstly, the input aspect is divided into students, university and social sectors. Secondly, the process aspect is divided into six sectors; curriculum, course development, course management,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learner support, and system. Thirdly, the output aspect is divided into students, university and social sectors. The outcome-analysis model of cyber university would be a basi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cyber university so that it ultimately includes not only output aspect but also the input and process aspects which affect on the output.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which is composed of comprehensive criteria could be used as a systemic outcome-analysis model for cyber university.

      • KCI등재

        현대 러시아 구두어의 화용론과 화행고찰

        정은상 ( Eun Sang Jung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論叢 Vol.34 No.-

        이 논문은 현대 러시아어 구두어의 화용론과 화행고찰에 관한 연구이다. 러시아 어문학을 전공하는 학습자들에게 화용론에 대한 기본 개념의 이해를 소개한다. 언어연구 영역에서 화용론적인 이해를 중시하면서 화용론의 연구대상과 목적 그리고화행이론(теория речевых актов)의 기본적인 현황인 화행의 특징, 구조, 성분에따른 화행의 분류문제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화행의 정의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This paper reviewed messy life (苟活), a life selected by Simaqian(司馬遷) at a moment of crisis and adversity in life, and honorable death (死節), which is the death selected by Quyuan(屈原), whileconsidering the right duties of life and death possessed by Simaqian and Quyuan. While extendingfrom an analysis of Simaqian and Quyuan, the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review of Gouqian(句踐) and Sunbin(孫빈) together, who like Simaqian selected to walk on the path of messy life andcompared and reviewed Quyuan with Boyi Shuqi(伯夷叔齊) and Jiezitui(介子推), who like himselected to walk on the path of honorable death . Great men who selected “messy life are peoplewho lived a pitiful life and justified this in order to accomplish what they thought of as their greatcause or goal, whereas great men who selected honorable death are people who selected to die inorder to keep their integrity and retain their righteousness to what they thought. That is, they are incommon in that they all realized the good cause of living and dying and “right duties in living anddying”, and thereby they selected what they thought more important and more valuable; however,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for some the selection was the path of “messy life , while for others theselection was the path of honorable death .

      • KCI등재

        굽는 방법으로 제조한 견과종실류 첨가 매작과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 Hai Jung Chung ),김성준 ( Sung Joon Kim ),정은 ( Jung Eun Baek ),성대경 ( Dae Kyung Sung ),송화연 ( Hwa Youn Song ),이진영 ( Jin Young Lee ),김규흔 ( Gyu Heun Kim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한국조리과학회) 200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오븐에서 굽는 방법으로 매작과를 제조하고 질감 개선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몇 종류의 견과종실류를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고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 정도를 살펴보았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대조군보다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유탕처리한 대조군의 지방함량은 오븐구이한 견과종실류 첨가군의 지방함량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캐슈넛 첨가군이 73.48로 가장 높아 밝은 색을 띠었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아몬드 첨가군이 (+)의 값을 보였고 그 외 첨가군은 (-)의 값을 나타내어 녹색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아몬드, 캐슈넛 및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매작과의 경도는 캐슈넛, 코코넛,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표면색은 코코넛 첨가군과 대조군이 낮게 나타난 반면,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고소한 맛은 해바라기씨 첨가군과 캐슈넛 첨가군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조군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단단한 정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견과류 첨가군은 비슷한 정도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바삭한 정도는 아몬드 첨가군, 대조군 및 해바라기씨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코코넛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으며 느끼한 정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뒷맛은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기호도 검사 결과 아몬드>캐슈넛>코코넛>해바라기씨>대조군 순으로 아몬드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였고 대조군을 가장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견과종실류 첨가 매작과를 60℃에서 30일간 저장하며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코코넛과 캐슈넛 첨가군은 저장기간을 통하여 과산화물가의 변화가 거의 없어 지방산화에 안정함을 보여주었고 아몬드 첨가군과 해바라기씨 첨가군은 저장기간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저장 30일 후에는 해바라기씨 첨가군의 산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탕처리한 대조군의 경우 해바라기씨 첨가군을 제외한 다른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점차 증가하였고 저장 30일 후에는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과산화물가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관능적인 측면과 저장안정성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면 아몬드 또는 캐슈넛 첨가 매작과가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aking method o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Maejakgwa containing nuts and seeds. Four different types of nuts and seeds (almond, cashewnut, coconut, and sunflower seed) were added to flour, and baking method was applied to prepare the Maejakgwa,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ich were then evalu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contents were higher in the Maejakgwa containing nuts and seed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lightness (L) value of the control Maejakgwa was lower than that observed in the groups containing nuts and seeds. Maejakgwa made with cashewnut, coconut, and sunflower seed evidenced higher yellowness (b) values than were recorded in the control and coconut groups. The incorporation of cashewnut, coconut and sunflower seed into the Maejakgwa lowered the hardness values (p<0.05). Our consumer test demonstrated that Maejakgwa prepared with almond was the most highly preferred, and the control group was the least favored. After 30 days of storage at 60℃, the peroxide value of the Maejakgwa containing sunflower seed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in any other groups, thereby suggesting that the addition of sunflower seeds resulted in accelerated lipid oxidation. No noticeable changes in peroxide values were observed in the groups prepared with coconut and cashewnut during storage time. The acid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and the addition of sunflower seed evidenced the highest values as compared to other group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폭염과 가뭄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계

        정은화(Eun-Hwa Jung),김철원(Chul-Won Kim),박종훈(Jong-Hoon Par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4

        본 논문에서는 가뭄에 의한 용수, 가뭄에 의한 수질과 폭염에 의한 온열질환에 대한 취약성 평가 항목에 대한 선정 배경을 기술하였고, 선정된 취약성 평가 항목에 대해 취약성 평가 가중치 산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취약성 평가 절차에서는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계산 방법과 실제 사례를 함께 서술하였다. 취약성 평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대해 분석하고, 이러한 취약성 평가 절차를 적용한 폭염과 가뭄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In this paper, the 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for water by drought, water quality by drought, and thermal diseases by heat wave. We described the selection background for these assessment items. and then we weighted the selected vulnerability assessment items.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procedures also describe the calculation methods applied in phases and the actual cases.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database was analyzed and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system for heat waves and droughts using these vulnerability assessment procedures was design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