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낭미충증에 동반한 광범위한 흉요추 경막내 척수낭미충증

        정유훈(Yu-Hun Jeong),이영상(Young-Sang Lee),은동찬(Dong-Chan Eun),변찬웅(Chan-Woong By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4

        Taenia solium에 의한 신경낭미충증은 뇌를 침범하는 가장 흔한 중추신경계 기생충 감염 질환이다. 그러나 척수를 침범하는 신경낭미충증은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척수낭미충증은 병변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상하지 방사통, 척수증, 말총증후군, 또는 상하지 마비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약물 단독치료는 낭종의 괴사에 의한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결국은 임상적 경과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현재 척수낭미충증의 표준적인 치료는 수술적 감압과 이후의 약물치료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뇌낭미충증을 동반한 광범위한 흉요추 경막내 척수낭미충증을 치료한 증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eurocysticercosis (NCC) by Taenia solium is the most common parasitic infec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ing the cerebrum. However, spinal involvement of NCC is rare. Spinal NCC can cause radiculopathy, myelopathy, cauda equina syndrome, and even paraparesis, depending on its location and size. Spinal NCC may require surgical treatment as a first-line treatment because medical therapy can further aggravate the inflammation due to dead cysts, resulting in clinical deterioration. The current standard therapy for spinal NCC is surgical decompression followed by medical therapy. We experienced a case of widespread thoracolumbar intradural extramedullary cysticercosis involving the spinal canal with cerebral cysticercosis. We report this rare case with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감염성 척추 추간판염에 동반된 광범위한 흉요추 경막하 농양

        정유훈(Yu-Hun Jeong),이영상(Young Sang Lee),박상준(Sang-J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4

        척추 경막외 농양에 비하여 척추 경막하 농양(spinal subdural abscess)은 발생률이 낮지만 완전 마비로의 진행이 빠르며 나쁜 예후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발생한 척추 경막내 농양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저자들은 비특이적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흉추부의 감염성 척추 추간판염에 동반된 광범위한 흉요추 경막하 농양을 진단하고 감압 및 배농술과 정맥 항생제 요법으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ubdural abscess is relatively rare compared with epidural abscess, but it can rapidly progress to complete paraplegia with a poorer outcome. In particular, the occurrence of widespread subdural abscess is extremely rare. We experienced a case of widespread thoracolumbar subdural abscess with infectious spondylodiscitis in the thoracic spine. We report this rare case wit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시상면 불균형 환자에서 척추경을 통한 쐐기형 절골술[PSO]을 시행한 후 교정각 소실에 대한 원인 분석

        김환(Whoan Jeang Kim),강종원(Jong Won Kang),김규현(Kyou Hyeun Kim),박건영(Kun Young Park),정유훈(Yu Hun Jung),학재(Hack Jae Jeong),최원식(Won Sik Choy)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시상면 불균형 환자에서 척추경을 통한 쐐기형 절골술을 시행한 후 교정각 소실의 원인을 방사선학적 측면에서 후 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경을 통한 쐐기형 절골술을 시행한 4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요추부 가동 분절의 유무와 전방 지지 유무에 따른 교정각 소설의 원인을 방사선학적 측면에서 각각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전만곡도의 교정각 소설은 하요추부 가동 분절이 있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25), 절골 추체의 교정각 소실은 가동 분절의 유무에 관계없이 거의 없었다. 절골술 상부 고정 범위의 교정각 소실은 가동 분절의 유무에 따른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138), 하부 고정 범위에서는 하요추부 가통 분절이 있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4). 가동 분절이 있는 경우 상부 고정 범위에 비해 하부 고정 범위에서 교정각 소실이 더 많이 발생하였으며, 전방 지지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서 하부 고정 범위의 교정각 소실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2). 결론: 교정각 소설은 가동 분절이 있는 추간판에서 일어나고 특히, 절골술 상부 고정 범위에서보다 하부 고정 범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므로 절골술 하부 고정 범위 모두를 전방지지 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validate the surgical principles by analyzing the cause of a correction loss after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in patients with a sagittal imbalance in the radiological aspects,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Forty cases were analyzed radiographycally according to the presence (Group A) or absence (Group B) of the lower mobile segment and anterior column support performed (Group A2) or not (Group A1), respectively. Results: The overall correction loss of the total fused part appeared to increase in group A (p=0.025) and the degree of lordosis of the osteotomy site showed an almost zero correction loss in group A and B. No statistic difference of the correction loss of the upper segment of the osteotomy sit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p=0.138). The correction loss of the lower segment of osteotomy site increased statistically more in goup A (p=0.014). The correction loss in group A occurred more in the lower segment than in the upper segment and the correction loss of the lower segment in group A1 appeared to have a better correlation than group A2 (p=0.012). Conclusion: Correction loss occurs at the intervertebral disc of the mobile segment.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have anterior column support to all lower segment of the osteotomy site, because the correction loss increases more in the lower segment than in the upper seg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