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에 나타난 전경인의 코드와 그 의미

        정유화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7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는 ‘제목-서화-본화-후화’로 구성된다. 먼저 제목을 독립적인 텍스트로 보면, 제목은 ‘서화-본화-후화’의 의미구조를 미리 제시해주는 상위언어로 기능한다. 그래서 ‘서화’는 원수성, ‘본화’는 차수성, ‘후화’는 귀수성의 코드로 구축된다. 예의 ‘서화’에서는 남녀의 육체적 결합, 천지인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써 역사·문명과 대립되는 비문명의 시공간으로 나타난다. 곧 우주순환의 원리를 따르는 시공간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본화’에서는 우주적 원리를 따르는 원수성 세계는 소멸하고 인간적 원리를 따르는 차수성 세계가 지구를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언술주체들이 파악한 차수성의 세계는 주종의 폭력적인 역사·문명이 지배하는 곳이다. 그러한 역사·문명은 천지인의 융합된 삶을 제 각기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언술주체들은 지구의 역사·문명적 코드를 폐할 수 있는 전경인의 사내를 재생시키고자 한다. 결국 ‘후화’에서는 갈아엎은 대지속의 역사·문명에서 새롭게 탄생할 코드를 기다리게 된다. 그 코드는 다름 아니라 우주순환의 원리를 따르며 천지인을 융합시키는 신명과 서사의 시적 코드이다. The earth of the story-telling plowman consists of ‘title’-‘introductive story’-‘body story’-‘after story’. We can se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itle in terms of independent text, that plowman as the subject of discourse functions with the earth compositively and the poet as Jeonkyungin who plows the fields changes the history by using language. “Hug” that the keyword in introductive story(Wonsusung Code) meaning combined with the balanced as physical sign of love. also sky rock that ‘hug-separation’ occurs is means to meld heaven, earth and man. as well as a ‘introductive story’ is appears the existing space, at the same time conflicts history of civilization in the world as non-civilization by time and space. In contrast, introduction of ‘body story(Chasusung Code)’ consist of the worl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world opposing encounter abstract. the embodies history reveals clearly the relationship of species contents of the civilization's violent province to refine the contents of the abstract. So the conclusion intends rebirth Jeonkyungin's man character, who abolish existing code history and civilization. that is product of the beetle's tomb, which decay to be calculated, and calculate the new civility code rot. the code is the code that is just epic and numinous. this code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circulating fused together heaven, earth and ma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고독의 물질화와 그 의미작용 -김현승의 시를 중심으로-

        정유화 인문예술학회 2017 인문과 예술 Vol.- No.4

        This paper explores how Kim Hyun-Seung’s poetic loneliness is structured by text and how it works. First of all, his poems show a binominal principle and a vertical descent. For example, if you look at “Solid Loneliness”, This text shows a horizontal structure that creates a firm separation between God and man. At the same time, it creates a structure that converts the body’s symbol into a symbol of minerals. Next, researcher analyzed the meaning of minerals and horizontal structures through “Pure Gold of Loneliness”. The ‘pure gold’ in this text acts as a means to sepa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the divine and the earth, the spirit and the body. Then, this produce a horizontal space structure that goes out of the realm of ‘Tomb → Social → Ocean’. Such a structure is because pure gold has not yet become pure gold. Finally, through “Absolute Loneliness” and “The End of Loneli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eternal relationship was analyzed. In “Absolute Loneliness”, the poetic speaker combines happily with a lonely self. However, there is also a problem with this text. Because text itself is becoming a silent text because of lack of language. So, he breaks these silence in “The End of Loneliness” and creates an intangible new poetic space. In these spaces alone, the lonely self separates itself from the body and soul, also, the soul is imprisoned in an unknown poetic space. His poetic soul was locked in a totally detached space in the world of God. 이 논문은 김현승의 시적 고독이 어떻게 시 텍스트로 구조화되고 있으며, 그것이 어떤 의미로 작용하는지를 탐구하고 있다. 먼저 그의 시 텍스트는 이항 대립적 원리와 수직하강의의미 구조를 지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가령, 「견고한 고독」을 보면, 이 텍스트는 신과 인간의 대립적 분리를 견고하게 만드는 수평적 구조를 보여준다. 동시에 육체성의 기호를 광물성의 기호로 변환시키는 구조를 창조해낸다. 삶에서 죽음으로의 의미구조인 것이다. 다음으로는 「고독의 순금」을 통하여 광물성의 의미와 수평적 탈주의 의미구조를 분석했다. 이 텍스트에서의 “순금(고독)”은 신에 저항하면서 ‘신과 인간, 천상과 지상, 영혼과 육체’ 를 완전하게 대립·분리시키는 단절의 기호로 작용한다. 그러면서 ‘무덤→사회→바다’ 공간으로 탈주해가는 수평적 공간구조를 창조해낸다. 이러한 구조가 된 것은 순금(고독)이 아직 완성성의 순금이 되지 못해서 그런 것이다. 마지막으로 「절대고독」과 「고독의 끝」을 통하여 육체와 영원의 대립적 관계를 분석했다. 「 절대고독」에서는 시적 자아와 고독의 자아가 하나의 행복한 융합을 이룬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시인의 언어가 소멸되어 침묵의 시 텍스트가 된다는 데에 그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그는「고독의 끝」에서 이러한 침묵을 깨뜨리고 무형의 새로운 시적 공간을 창조해내게 된다. 이 공간에서 순금(고독)의 자아는 육체와 영혼으로 분리되고, 또 그 영혼은 제3의 불가시적인 시적공간에 유폐·감금되고 만다. 신의 세계와 완전히 분리된 공간에 그의 시적 영혼이 유폐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詩의 原始林을 향한 詩的 主體의 경계미학-박인환론-

        정유화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1

        This paper, focusing on his poetic theory and poetry, explores the changes in his poetic codes. What the poetic subject desires is the spirit of citizen and the forest of poetry. The spirit of citizen produces ‘I-the others’ code which shifts the internal desires of the subject for hope into the social reality, the outer world. On the other hand, the forest of poetry yields ‘I-I’ code which self-internalizes anxiety, which occurs when such hope is repressed and frustrated. The poetic subject accepts ‘this boundary aesthetics (hope and anxiety)’ and creates a new poetic code through dialectic. In his poetic codes, he pursues the spirit of citizen representing ‘I-the others’ code in the period of Korean Liberation. In the period of post-war, he shows closed desire which negates self and social reality, and represents ‘I-I’ code. Such bipolar codes, however, is changed into a new code made dialectically in “A Wooden Horse and a Lady.” 본고는 박인환의 詩論과 詩를 相互 對話的 관계에 놓고, 그의 시적 코드의 변환 과정을 탐색하고 있다. 시론의 주체가 욕망하는 것은 ‘市民精神’과 ‘詩의 原始林’이다. ‘시민정신’은 미래 ‘希望’에 대한 주체의 내적 욕망을 외부 세계인 사회적 현실로 置換하는 ‘나-他者(우리)’ 코드를 산출한다. 이에 비해 ‘시의 원시림’은 그러한 욕망이 억압좌절되었을 때 오는 ‘不安’을 자기 내면화하는 ‘나-나’ 코드를 산출한다. 시적 주체는 이러한 境界美學을 수납하지만, 궁극에 가서는 이를 변증법적으로 합일하여 새로운 시적 코드를 창조한다. 즉, 해방정국의 시기에는 ‘미래 지향의 外接線’ 코드(나-우리)로써 시민정신을 구현한다. 戰後 時期에는 ‘미래 단절의 內接線’ 코드(나-나)로써 자아와 사회 현실을 모두 否定하는 내면 지향의 폐쇄된 욕망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兩 極端의 코드는 木馬와 淑女에 와서 변증법적으로 통합되는 새로운 樣相을 보여주게 된다.

      • KCI등재

        天命의 詩的 텍스트와 거울화의 意味作用

        鄭有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4

        The Poetic Text of ‘Heaven's will' and the Significance of Self-reflection:an Essay on Yoon, Dong-ju's. Jeong, Yu-hwa Yoon names poets as sad ‘being bearing Heaven's will.’ According to this naming, writing a poem is to perform the task of ‘Heaven's will.’ In this paper, I regard ‘consciousness of Heaven's will’ as the dominant enunciation for creating a poetic text. Also, I explore how the ‘calling of Heaven's will’ affects the subject of enunciation and how the ‘calling of Heaven's will’ works to reflect ‘self’. Yoon considers ‘Heaven's will’ as ‘Heaven's Law’ having absolute values. Using the poetic text of the ‘Heaven's will’, he intends to convert the values of the Earth into the values of the Heaven. For this, the subject of the enunciation is in the conflict of identity between ‘self’ relevant to the Earth and ‘self’ relevant to the Heaven. Such conflict causes him to escape from Seoul to Tokyo, the city of the enemy. Paradoxically, he produces the poetic text of ‘Heavens will’ which makes him rediscover his identity. To him, the poetic text of ‘Heavens will’ is his existence itself, and is a combination of poetry and life. In conclusion, he intends to achieve his self through poetry. 尹東柱는 시인을 ‘슬픈 天命’의 존재로 命名하고 있다. 이러한 명명에 의하면, 詩를 쓴다는 것은 ‘천명’의 課業을 수행하는 일이다. 이 글에서는 ‘천명의식’을 詩텍스트 창작의 支配的 言述로 보고, 그러한 ‘천명의식’이 言述 主體에게 어떻게 작용하고 있으며, 그 의미작용은 어떤 것인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윤동주에게 ‘천명’은 절대적 가치체계를 지니고 있는 ‘하늘의 法’이다. 따라서 ‘천명’의 詩텍스트는 地上의 가치체계를 天上의 가치체계로 전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때문에 언술 주체는 늘 地上과 관계되는 自我와 天上과 관계되는 自我 사이에서 自己 正體性 혼란을 겪는다. 이러한 정체성 혼란이 그로 하여금 서울을 떠나 敵都인 東京으로 脫走하게 만든다. 역설적으로, 그는 東京에서 자기 정체성을 확보하는 천명의 詩텍스트를 산출하게 된다. 윤동주에게 천명의 詩텍스트는 존재 자체다. 요컨대 그는 詩로써 자기 존재를 완성하고자 했던 것이다.

      • KCI등재

        김현승 詩에 나타난 ‘肉體/靈魂’의 대립과 그 의미 -『옹호자의 노래』를 중심으로-

        정유화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3

        Kim, Hyeon-Seung produces his poem to be unified with the poetic object, “you”. As usual, the poetic code us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poem is the code of a conflict between the body and the soul. By the code of body, the “you” is manifested as a body of light and a body of darkness. This code of body is unified with the human body, a creature of God and works as a symbol to provide life energy and make it glow. Therefore, the code of the body creates a happy, unified state that has no conflict between the “you” and Kim, Hyeon-Seung. On the other hand, the code of the soul shows the absence and presence of the soul and the process of creating it. The absence and presence of the soul plays a role in separating the being after death into the underground or heaven, so Kim, Hyeon-Seung accepts the extinction of the body and is eager for a poetic desire to unify “your” soul and his own soul again. Thus, Kim, Hyeon- Seung happily unifies body(you)-body(me), soul(you)-soul(me), and poet(you) -poet(me). However, by stating, “Things created are lonely”, he converts his poem into a text containing loneliness. This is a declaration, which means he separates the poem implying “me” from the one implying “you”. By doing so, the two texts a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The conflict is the one that makes him produce a poem about loneliness. 金顯承의 시 텍스트 산출 코드는 ‘영혼/육체’의 대립적 코드이다. 먼저 육체적 코드에 의하면 당신(神)은 빛으로 된 육체, 어둠으로 된 육체로 顯現한다. 그리고 이것은 피조물인 인간의 육체와 융합되어 생명의 에너지를 주고 빛을 발하게 하는 記號로 작용한다. 따라서 肉體的 코드는 당신(神)과 金顯承 사이에 대립․갈등이 없는 幸福한 융합상태를 만들어 준다. 이에 비해 靈魂의 코드는 영혼의 有無와 생성과정을 보여준다. 영혼의 유무는 死後의 존재를 지하와 천상으로 분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김현승도 육체적 消滅을 받아들이며 당신(神)의 靈과 자신의 靈을 다시 융합시키려는 시적 욕망을 갖게 된다. 이런 점에서 보면, 모든 層位에서 ‘김현승’과 ‘당신(神)’은 幸福한 융합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 하지만 그는 어느 순간 ‘만들어진 것들은 고독하다’는 언술을 하면서 스스로 그 융합을 파기하고 만다. 그로 인하여 김현승의 시 텍스트와 당신의 시 텍스트는 對立․葛藤하기에 이른다. 이것이 바로 孤獨의 詩를 산출하게 만든다.

      • KCI등재

        금강하구 갯벌 내 환경요인과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 분포의 상관관계

        유재원,이채린,박미라,윤지현,강성룡 한국습지학회 2019 한국습지학회지 Vol.21 No.1

        The Seocheon and Yubu Island mudflats in Geum Estuary are important stopover sites for migratory birds as energy supplementation area in the East Asia-Australasian Flyway. Benthic invertebrates in the tidal flats are important food resources for the migratory birds. In other words, benthic invertebrates in the tidal flats play an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energy flo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nthic invertebrate assemblag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eocheon and Yubudo tidal flats in the Geum Estuary. As a result of the benthic invertebrate assemblage during the fall migration season, the total species number was 147, density and biomass were 1,772±1,342 individuals/m2 and 445.1±807.6 g/m2, respectively. Based on the appearance species and the density data, the result of analysis of mutual similarity among sampling site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was the Macrophthalmus-Heteromastus community and Group B was the Spio-Urothoe-Mandibulophoxus community. Group B showed higher mean species number, density and biomass than Group A. The BIO-ENV analysis showed that the benthic invertebrate assemblages were most affected by the combination of sand content % and sediment sorting (ρ=0.500). The variables of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pecies number and biomass were sediment sorting (p=0.015) and the pore water DO(Dissolved Oxygen, p=0.003) in sediment, respectively. 금강하구 서천 및 유부도 갯벌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의 이동경로상 에너지 보충을 위한 중요한 중간 기착지점으로, 갯벌의저서성무척추동물은 이들의 중요한 먹이원이 된다. 즉, 갯벌의 저서성무척추동물은 에너지 흐름의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담당한다. 금강하구 서천 및 유부도 갯벌의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 분포와 환경요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가을철 이주 기간에 실시한 저서성무척추동물의 군집 분포 조사 결과, 저서성무척추동물은 총 147종, 밀도와 생체량은 각각1,772±1,342 개체/㎡, 445.1±807.6 g/㎡으로 나타났다. 출현종과 서식밀도 자료를 기반으로 각 정점 간 상호 유사도 분석결과, 크게 2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A 군집은 칠게-고리버들갯지렁이 군집(Macrophthalmus-Heteromastus community) 이었고, B군집은 달걀얼굴갯지렁이류-단각류 군집(Spio-Urothoe-Mandibulophoxus community)이었다. B 군집이 A 군집에비하여 평균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등이 월등히 높았다. BIO-ENV 분석 결과,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은 퇴적환경변수인 모래함량과 분급도 조합에 의한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ρ=0.500)으로 나타났다. 종수와 가장 큰 상관성을 보이는환경변수는 분급도(p=0.015)로 나타났고, 생체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환경변수는 공극수 DO(p=0.003)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