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송연구에 나타난 지역성 분석 : 메타분석과 반복적 비교분석법 활용

        정용복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연구에서 지역성 동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지역성 연구의 목 적, 주제, 방법, 그리고 대상 등을 제시한 후 지역성 연구의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고 찰했다. 분석대상은 2010년부터 2021년 말까지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 된 107편의 학술논문이다. 연구 결과, 지역성 연구의 연구목적은 대부분 실태분석 연구 였고, 연구주제는 프로그램적 지역성, 지리·공간적 지역성, 상호작용적 지역성 연구 순 이었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가 양적연구를 다소 앞서고 있었고, 연구대상은 지역지상 파방송에 편중된 가운데 케이블TV와 지역라디오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를 통 해 지역성 연구가 정책 수립자나 방송 실무에 도움을 주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주제와 대상, 방법론적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방송의 지역성 강화를 위해 서는 광역화 시도, 뉴미디어 플랫폼 진출 기반 조성, 지역채널의 기능과 역할 확대, 방송사와 지역공동체와의 파트너십, 지역사회 공유자원의 활용, 콘텐츠 제작을 통한 지역 성 강화, 자체 제작역량 강화, 보도 저널리즘의 실현 등의 노력은 물론 이를 위한 정책의 개선과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 본 연구는 방송의 탈공간적 환경변화와 불확실성의 시대에서 지역성 개념을 정리하여 방송학 분야에 접목했다는 데에 연구의 의미와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ocalism trends in broadcasting research. After presenting the purpose, subject, method, and object of localism studies, it considered focusing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localism studies. The analysis target is 107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Research Foundation (KCI)-registered journals in 2010-2021.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ost of the research objectives in the localism studies were actual condition analysis studies and the research topics were in the order of programmatic localism, geo-spatial localism, and interactive localism studies; meanwhile, the research subjects focused on local terrestrial broadcasting, cable TV, and local radio research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localism research needs to strengthen various research topics, targets, and methodologie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help policymakers or broadcasting practices. To strengthen the localism of broadcasting, policies should be improved and supplemented and there should be efforts such as wide-area attempts, foundations for entering new media platforms, expansion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channels, partnerships with local communities, use of community-sharing resources, and content produ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nd valuable in that it summarized the concept of localism in the era of post-spatial environmental change and uncertainty of broadcasting and applied it to the field of broadcasting.

      • KCI우수등재

        평창 동계올림픽 대비 드론 측량과 눈 융해 모델을 이용한 잔설량 예측

        정용복,박의섭,조성준,이태종,오태민 한국자원공학회 2017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4 No.6

        For the 2018 Olympic Winter Games, a pilot project was carried out to obtain information, such as the feasibility of the snow storage, melting rate and thermal insulation characteristics. The important factors are the design of insulation system and the reliable estimation of the final snow volume. The volumes of two types of snow stockpiles were estimated by using a simple snow melting model and their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volume measured by aerial mapping using drone.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simple model provided a reliable estimation of snow stockpile volume. The sensitivity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 of initial volume and thermal conductivity of insulation system on the final volume. Finally, rational selection method for adequate initial volume of stockpiled snow and insulation system was suggested.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renewable cooling system during summer using the stockpiled snow during winter season. 동계 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를 위한 눈 저장사업의 타당성과 융해율이나 단열재 특성 등 사업실시에 필요 한 사전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여 눈 저장 시범사업을 수행하였다. 저장 사업 운영시 적절한 단열시스템 설계와 이에 따른 신뢰할만한 최종 잔설량의 추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수치 모델을 사용하여 두 가지 형태로 진행된 눈저장 사례에 대하여 예측을 하였으며 드론기반 항공촬영으로 구축한 3D 모델로 눈의 부피를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이론 모델은 단순하지만 현장 측정결과와 잘 부합하였다. 동일한 모델을 사용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초기 저장부피와 열전도도의 영향을 검토하여 적절한 초기저장부피와 단열시스템을 선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동절기에 저장한 눈의 냉열을 이용한 하절기 냉방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재개발을 위한 기존 광산 안정 해석과 무지보 채광규격 제안

        정용복,선우춘,박찬,이병주,천대성,이동길,조영도 한국자원공학회 2011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8 No.3

        Redevelopment of closed or ceased underground mines is issued domestically due to a sudden rising of metal and mineral price. Rock mechanics based stability analysis on Gagok mine nominated for redevelopment was carried out through the field survey, laboratory and field test, rock mass classification and numerical analyses. Most of the small haulage (2.5 × 2.5 m) is thought to be stable while the upper part of large stope is unstable based on the results. Therefore, additional field investigation on the stope is required for mining ore around the stope. Keyblock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because small scale rock fall is inevitable in underground mines though global stability is confirmed. The result showed that excavation in the direction of 74-254 would cause rock fall within Whajeol formation, so appropriate scaling of loosened rock is necessary in this zone. Based on these, stable spans of stope and haulage without any supports, including pillar size were suggested as 8 × 8 m, 14 × 8 m, 15 × 8 m. 최근 광물자원의 가격 상승에 따라 국내에서도 지하채광방식으로 가행되었다가 중단된 광산에 대한 재개발에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재개발 대상 중 하나인 강원도 삼척 소재 가곡광산에 대하여 기존 자료 조사, 현장 갱도 조사 및 시험, 암반분류와 수치해석을 통해 광산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규모가 작은 갱도(2.5 × 2.5 m)의 경우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나 대규모 채굴적 상부는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채굴적 주변의 광체 개발시에는 배수 이후 추가적인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한다하더라도 다양한 방향으로 갱도가 굴착되는 광산의 경우 중소규모 낙석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갱도 방향에 따른 낙석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평갱도의 경우 금곡부 화절층에서 갱도의 주향방향이 74-254일 경우 천반 낙석이 예상되므로 이 방향의 갱도 굴착시 적절한 스케일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까지 확보한 자료에 근거하여 재개발을 위한 무지보 형식의 갱도와 채광장 및 광주 규격을 각각 8 × 8 m, 14 × 8 m, 15 × 8 m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뉴스의 온라인 유통 구조 연구: 제주지역 언론을 중심으로

        정용복 한국지역언론학회 2023 언론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online distribution of news produced by local media by identify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nterviewing the individuals responsible for news distribution to gather their suggestion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online distribution structur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News managers prioritize a ‘portal first’ strateg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osting articles on Naver and Daum portals over social media and YouTube. The need for news coverage on port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influence of the media, profitability expectations when selecting content partnership companies, expanding the circulation routes of traditional journalism such as newspapers and broadcasting, and creating external effects. However, online distribution of local news was not active. The difficulties can be summarized as internal news production practices within organizations, lack of clear identity, and financial problems. The study suggests ways to revitalize the online distribution of local news, including restoring the basic principles of journalism, strengthening the internal capabilities of local media, improving the awareness of local media executives and journalists, and encouraging local media in the region to work together and support one anoth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언론 뉴스의 온라인 유통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현황을 파악하고, 뉴스 유통 책임자들을 인터뷰하여 온라인 유통 구조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제안점을 살피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스 책임자들은 소셜미디어와 유튜브보다는 다음과 네이버 포털 기사 게재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포털 퍼스트’ 전략이 우선시 되고 있었다. 포털에서의 뉴스 게재의 필요성은 언론사의 영향력 확대 가능성, 콘텐츠 제휴사 선정 때 수익성 기대효과, 신문과 방송 등 전통 저널리즘에서 기사 유통 경로의 확대, 외부효과의 발생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그런데도 지역뉴스의 온라인 유통은 활발하지 못했다. 어려움으로는 조직 내부에 굳어진 뉴스 생산 관행, 정체성의 위기, 재정상의 문제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지역뉴스의 온라인 유통을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저널리즘의 기본원칙 되찾기, 지역언론 내부 역량 강화, 지역언론 경영자와 기자의 의식개선, 권역 내 지역언론 간의 연대와 협력 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CGHscape: A Software Framework for the Detection and Visualization of Copy Number Alterations

        정용복,김태민,정연준 한국유전체학회 2008 Genomics & informatics Vol.6 No.3

        The robust identification and comprehensive profiling of copy number alterations (CNAs) is highly challenging. The amount of data obtained from high-throughput technologies such as array-based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is often too large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and versatile tool for the detection and visualization of CNAs in a genome-wide scale. With this respective, we introduce a software framework, CGHscape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to explore the CNAs for the study of copy number variation (CNV) or tumor biology. As a standalone program, CGHscape can be easily installed and run in Microsoft Windows platform. With a user-friendly interface, CGHscape provides a method for data smoothing to cope with the intrinsic noise of array data and CNA detection based on SW-ARRAY algorithm. The analysis results can be demonstrated as log2 plots for individual chromosomes or genomic distribution of identified CNAs. With extended applicability, CGHscape can be used for the initial screening and visualization of CNAs facilitating the cataloguing and characterizing chromosomal alterations of a cohort of s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