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후 비교

        정영해,최정숙,김은하,김정숙,최혜금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8 사회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을 파악하고, 정신간호실습 전후를 비교함으로서 정신간호학실습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J도와 G시에 소재한 대학 간호과 2, 3학년 학생과 대학교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이었고, 자료는 2006년 4월부터 11월까지 N병원에서 정신간호실습을 하는 직전과 직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내용과 정도는 정신질환치료에 대한 예산을 제외한 정신질환, 정신질환자, 정신보건시설, 정신질환치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실습 전에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이 가장 심했고 다음이 정신질환 순으로 나타난 반면, 실습 후에는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 정신질환자 순이었다. 편견이 정신질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실습 전에는 결혼, 실습 후에는 자존감에 가장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편견요인은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모두 정신병원이나 보호시설 환경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인식하였다. 편견해소 방법으로서 정신간호실습 전에는 가족 내 상호지지를, 실습 후에는 가족 내 상호지지와 긍정적 대중매체를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은 정신간호실습을 통해 정신질환, 정신질환자, 정신보건시설, 정신질환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감소를 위하여 정신보건센터, 정신재활시설 등 다양한 기관으로 정신간호실습 교육을 확대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간호학과 신입생의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프로그램의 요구도

        정영해,조유향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3 사회연구 Vol.14 No.1

        2개 간호학과 신입생 225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 실천 및 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건강증진행위 실천도구(국민건강영양조사, 보건복지부, 2009)와 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도(정영해, 서남숙, 문소현, 2011)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비만도는 13.3%가 과체중, 흡연율 4.9%, 음주율 70.2%, 운동율 53.3%, 성경험율 4.9%였다. 비만도, 흡연, 음주, 운동은 남여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프로그램 요구 간에는 영양관리와 요통관리프로그램에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는 운동(72.0%)과 체중조절(71.1%)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는 남·여학생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특히 체중조절, 영양관리, 금연,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에 차이가 있었다.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요구도는 흡연여부와 금연프로그램 요구, 운동여부와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요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p<.05)가 있었다. 회귀분석결과에서는 운동프로그램 요구와 관련요인은 성별로, 체중조절프로그램 요구는 성별, 비만도, 흡연이, 영양프로그램 요구는 성별과 주관적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요구는 성별과 운동여부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학과 신입생의 건강상태는 다소 문제가 있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은 저조한 편인 반면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요구도는 높았다. 결론적으로 의료인이 될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입생부터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통하여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 증진하기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시행이 필요하다.

      • KCI등재
      • RISS 인기논문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정영해(Chung Younghae),최정숙(Choe Jeongsuk),김은하(Kim Eunha),김정숙(Kim Jeongsuk),최혜금(Choi Heakeum)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8 사회연구 Vol.- No.16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을 파악하고, 정신간호실습 전후를 비교함으로서 정신간호학실습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J도와 G시에 소재한 대학 간호과 2, 3학년 학생과 대학교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이었고, 자료는 2006년 4월부터 11월까지 N병원에서 정신간호실습을 히는 직전과 직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내용과 정도는 정신질환치료에 대한 예산을 제외한 정신질환, 정신질환자, 정신보건시설, 정신질환치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실습 전에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이 가장 심했고 다음이 정신질환 순으로 나타난 반면, 실습 후에는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 정신질환자 순이었다. 편견이 정신질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실습 전에는 결혼, 실습 후에는 자존감에 가장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편견요인은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모두 정신병원이나 보호시설 환경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인식하였다. 편견해소 방법으로서 정신간호실습 전에는 가족 내 상호지지를, 실습 후에는 가족 내 상호지지와 긍정적 대중매체를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은 정신간호실습을 통해 정신질환, 정신질환자, 정신보건시설, 정신질환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감소를 위하여 정신보건센터, 정신재활시설 등 다양한 기관으로 정신간호실습 교육을 확대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um by comparing the contents and degree of stigma against mental illness and mentally ill patients held by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practicum. The subjects were 191 nursing college students in J do and K City, Korea who had 2-to 3-week practicum at N psychiatric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o November, 2006.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practicum. Stigma against mental illness and mentally ill patients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practicum, with a change in the order so that mentally ill patients were stigmatized less than mental illness itself in the post practicum survey. The subjects"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stigma on the patient was changed as well. Before the practicum, they perceived that the stigma would have the most effect on the patients" marriage. Afterwards, it was changed to the ill person"s self esteem The environment of the mental hospital/facility was perceived to be the biggest cause of stigma. Mutual support among family members was chosen as the preferred method to reduce the stigma before and after the practicum Positive messages from the mass media were also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ost practicum survey. In conclusion,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um seems to reduce nursing students" stigma against mental illness, mentally ill patients, mental health facilities and psychotherapy through direct contact and observation. We suggest providingdiverse practicum environment such as mental health centers and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o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ir stigma.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준비 여부,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개발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정영해,강희순,김정숙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2 사회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대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개발 준비도 간의 관계와 진로개발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내재적 직업가치, 외재적 직업가치는 진로개발준비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진로개발 준비도는 내재적 직업가치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또한 취업준비를 하는 학생이 진로개발 준비도가 높았다. 회귀분석결과 외재적 직업가치는 다른 변수의 값이 동일한 상태에서, 그 값이 높을수록 진로개발 준비도가 낮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진로개발 준비도 관련 요인으로 내재적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 여부, 외재적 직업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진로개발 준비도를 향상시키고 지원할 수 있는 다각적이고 효과적인 상담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시 이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영향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개발 준비도와 대학의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와의 관계와 진로개발의 실제적인 성과물인 취업과의 연계성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필리핀 청소년의 우울, 불안에 따른 자살위험성

        정영해,문소현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2 사회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필리핀 청소년 115명을 대상으로 우울과 불안에 따른 자살위험성 정도와 자살위험성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이 연구결과 자살위험성은 우울, 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살위험성이 높은 상위 25% 그룹과 위험성이 낮은 하위 25% 그룹 간 우울과 불안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본 결과 우울과 불안 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구직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사회심리적 건강의 관계

        정영해,최정숙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9 사회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하는 5개 대학교 간호학과 졸업예정자 190명을 대상으로 구직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1월 6일부터 22일까지 집단면접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구직스트레스는 중간쯤 되었고, 사회심리적 건강점수는 평균적으로 잠재적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 ‘정서적지원추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대상자의 취업여부에 따라 구직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직시도 횟수가 많아질수록 구직스트레스도 높아지고 구직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사회심리적 건강도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자기조절/문제해결, 정서적 표출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비판/자책 점수가 낮을수록 구직스트레스는 낮고 사회심리적 건강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점수에 따라 4가지 대처유형군으로 나누어 본 결과, 사회심리적 건강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수동적대처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학과 졸업예정 여학생들은 대부분이 사회심리적 건강이 잠재적 위험군이나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사회심리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중재가 시급히 필요하다. 특히 스트레스에 수동적으로 대처하는 집단에 대한 집중적인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간호학과 졸업예정자가 학업 및 구직스트레스와 취업 후에 겪게 될 다양한 스트레스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이고 건강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