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세계화시대 비교교육학 연구의 문제와 과제

        정영근(Tschong Young kun)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1

        세계화에 따른 교육영역 전반에서의 국제적 움직임과 변화는 교육학연구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어 다양한 영역과 분과에서 비교연구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PISA나 TIMSS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 교육학 영역의 국제비교연구는 전통적 학문관심과 인식의 틀을 넘어서서 정치․경제적 차원의 정책 결정 및 국제협력에 긴밀하게 관여하고 있다. 특히 세계체제의 관점에서 시도되는 국제비교연구들은 교육제도, 교육예산, 수업방법, 학교 및 사회교육정책, 교과서의 내용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부분을 국가 간의 비교대상으로 다루고 있는바, 무엇보다 교육행정학 관점의 정책비교연구가 눈에 띄게 증가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국제비교연구가 일상화되는 상황에서도 비교교육학 자체의 학문적 성격이나 연구방법론 그리고 교육학의 다른 분과학문들과의 관계를 검토하는 학술적 논의를 찾아보기란 의외로 어렵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최근의 비교교육연구가 글로벌시대의 세계체제분석과 맞물려 경제․ 정치적 측면의 사회과학화 된 국제정책연구라는 성격을 지니게 되는 경향성의 이면에 어떤 문제가 내 재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 최근의 국제적 비교교육연구들이 어떠한 학문적 인식과 실천적 관심을 추구하는지 및 그것이 ‘비교’라고 하는 교육학적 방법이 지니는 의미와 어떤 관계를 이 루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관심사이다. 연구의 세부내용은 비교교육연구의 발생과 현황 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국제적 교육정책연구에서 나타나는 ‘비교’방법의 문제점을 고찰하는 순으로 구성 되게 된다. 그리하여 세계화시대의 비교교육연구가 궁극적으로 어떠한 특성과 과제를 지녀야 할 것인 지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을 함으로써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보다 진전된 후속연구 및 논의 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Forschungsthematisch bedeutet die Globalisierung für die Vergleichende Erziehungswissenschaft eine Verschiebung der Analyseeinheiten weg von Nationalstaaten, Gesellschaften und Kulturen, gedacht als voneinander unabhängige Entitäten, hin zu Transfers, Diffusionsund Rezeptionsprozessen und Überlagerungen als Momente weltgesellschaftlicher Prozesse, nämlich als Weltgesellschaft und Weltsystem. Die neuen internationalen Leistungs- und Qualifizierungsforschungen , die Bildungspolitik und Bildungsadministration einschließen, greifen ein Postulat auf, eine selbstverständliche Internationale Wissenschaft zu sein. Sie führen nicht nur den Vergleich zwischen den Nationen durch, sodern erstellen auch Rangfolgen. Gegenüber diesen Studien und ihren Resultaten nehmen sich alle bisherigen Arbeiten aus dem Rahmen traditioneller Vergleichender Erzieungswissenschaft eher provinziell aus. Das aus der modernen Form der Rationalität entstehende Modell der Vergleichung beinhaltet aber offenbar Schwierigkeiten. Sie liegen in der Natur der Vergleichung als Behauptung oder als konzeptionelle Herstellung von Gleichheit, die die Vergleichsmethode selbst problematisch macht. Der Vergleich von Gesellschaftssystemen und demzufolge auch der Vergleich von Erziehungssystemen mussen sich angesichts dieser Gegebenheiten der Untersuchungseinheiten und Methoden neu vergewissern. Vergleichende Erziehungswissenschaft muss zu einem Mittel werden, um den Anderen zu verstehen, vor allem denjenigen Anderen, der sehr verschieden ist und der die Welt mit einer anderen Vernunft und anderen Gefühlen anschaut. Vor diesem Hintergrund kann eine Vergleichende Erziehungswissenschaft nicht umhin, sich in mehrfacher Hinsicht neu zu situieren. Um die Komplexität ihrer Erkenntnisgegenstände unverkürzt zur Geltung zu bringen, wird sie darauf angewiesen sein, die tradierten Forschungserfahrungen und die theoretischen Einsichten perspektivisch in der mehrfachen Referenz von gesellschaftlicher Modernisierung, sozial-kultureller Konfiguration und transkultureller Wanderung zugleich und gleichermaßen zu dimesionieren.

      • KCI등재

        독일 초등교원 양성체제와 한국에의 시사점

        정영근(Tschong Young-K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6

          독일의 교원 양성제도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그 유사성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로 독특하며 그에 따라 초등교원 양성체제 역시 한국과 확연한 차이를 지닌다. 그렇지만 한국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독일 초등교원 양성과정을 개관하기조차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독일 초등교원 양성의 역사를 고찰하고 교원양성제도 자체가 지니는 일반적 특징에 근거하여 양성단계의 구조와 세부내용에 대해 서술한다. 대학에서의 교직과정과 그 이후 실습학교의 수습근무를 근간으로 하는 독일의 2단계 양성교육체제의 핵심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상세히 개관함으로써 독일의 초등교원 양성과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제시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는 독일의 초등교원 양성체제를 비판적으로 논의함으로써 독일의 제도적 특성이 지니는 상대적 우월성 및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세계화시대 및 유럽연합의 출범으로 인해 쟁점화 되고 있는 현안들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독일의 초등교원 양성제도가 한국에 줄 수 있는 시사점들을 추론하여 정리하였다.

      • KCI등재

        실천적 교육학은 실천할 수 있는가? W. Carr의 phronesis 해석과 교육적 실천의 문제

        정영근 ( Young Kun Tsc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3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및 교육의 이론-실천 관계는 교육철학 연구자의 주요 관심사로 그간 한국교육철학학회에서도 여러 차례 논의되었다. 또한 2000년대 들어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실천 개념에 근거하여 교육철학을 실천철학으로 이해하면서 교육적 실천을 논의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 논의와 글에서는 영국의 교육학자 W. Carr의 아리스토텔레스 해석을 수용하여 연구자의 논지를 전개하고 있는바, “교육철학연구와 교육실천”을 주제로 했던 2013년 춘계학술대회에서도 그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arr의 phronesis개념 이해를 고찰한 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Ⅰ-Ⅵ권의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Carr의 내용과 비판적으로 비교·서술한다. 그 결과 Carr가 phronesis를 합리적 추론 및 판단의 측면에 치중하여 해석함으로써 제시할 수 있었던 “practical educational science”가 과연 교육적 실천에 적합한 이론적 구상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인간 영혼의 총체적 관점에서 도덕적 행위의 결단과 선택 그리고 그 책임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이 Carr의 논의에서 배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 부분에서는 Gadamer와 Habermas의 철학적 개념과 이론 틀에 의지하여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제시한 Carr가 역시 동일한 기반에 근거하는 독일의 교육학적사조 및 논의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점을 한국의 상황과 연계하여 제시한다. In der gegenwartigen Diskussionen der Allgemeinpadagogik in Korea beobachten wir immer wieder den Versuch, Padagogik als eine Wissenschaft zu bestimmen, die auf die Erziehungspraxis gerichtet wird. Dabei berufen sich die Autoren haufig auf einen britischen Erziehungswissenschaftler namens W. Carr, der sich aufgrund der Aristotelischen Nikoma- chischen Ethik seine Begrundung der `educational practice` als ‘social practice` zu rechtfertigen unterfangt. Es scheint sehr seltsam zu sein, dass alle Autoren in der koreanischen Diskussion verlassend auf Carr seine Meinung zitieren und wiedergeben, was die Aristoteles-Interpretation angeht. Die Intention dieses Beitrags ist zu prufen, inwieweit Carrs Interpretaion in Bezug auf ethische Tugenden in der Nikomachischen Ethik Gultigkeit fur die Erziehungswissenschaft beanspruchen kann. Um dieses Ziel zu erreichen, wird zuerst die Carrsche Darlegung der Sache zusammengefasst und dann die Nikomachische Ethik vom ersten bis zum sechsten Buch grundlich untersucht und hinsichtlich auf die padagogische Praxis interpretiert. Danach werden Unterschiede der Interpretation zwischen Carrs und von mir kritisch vergleichend untersucht. Als das Resultat dieser Untersuchung ist herausgestellt worden, dass Carr bei der Auseinandersetzung mit dem Phronesis-Begriff hauptsachlich auf die Rationalitat des Menschen konzentriert und dabei den Entscheidungs- und den Verantwortlichkeitscharakter des Handelnden vollig vernachlassigt hat. Aus dieser Tatsache ergibt sich die Frage, ob sich seine ‘practical educational science’ uberhaupt praktizieren lassen kann, ohne dass sie das gut gemeinte Handeln eines Menschen auf seine Entscheidung und Verantwortung einbezieht.

      • KCI등재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정영근 ( Young Kun Tschong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4 No.-

        한국 사회가 다문화화 하는 데 결정적 요인이 된 것은 이주 근로자들과 결혼 이민자들이지만 그 외에도 우리 사회 안의 다문화성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감춰진 이웃이라 할 수 있는 화교와 혼혈인 그리고 더 나아가 북한탈출 입국자 또한 고려해야 한다. 그런데 외국에서 유입된 문화적 소수자를 중심으로 사회의 다문화화를 고찰하고 이해하려는 시각은 한국 특유의 상황에 따른 접근방식이다. 한국 사회 다문화화의 직접적 계기가 외국인 이주 근로자의 유입 및 결혼 이민자의 증가에 따른 사회통합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문화주의 담론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변화 자체는 글로벌 경제교류 및 전 세계적으로 대량 소비되는 문화상품으로 인한 지역문화의 탈지역화와 지구적 차원의 문화동질화 현상을 야기하는 지구화(globalization)의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사회 다문화화의 직접적 동인이 무엇인지 논의하면서 이를 지구화의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그 다음에는 사회의 다문화화에 따른 교육정책당국과 학계의 대응이 어떠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여 비판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이어서 다문화적 사회상황에서 인간의 삶이 교육학적으로 구상되어야 할 필요성을 논의하기 위해 다문화교육의 이론적 전제가 되는 상호문화성과 상호문화능력 개념을 제시하고 다문화교육의 실천적 과제를 언급하게 된다. 이 글은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을 통해 일반교육의 성격을 지닌 상호(다)문화교육이 궁극적으로는 국민 모두에게 필요한 기초교육이 되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epublic of Korea is experiencing the social and economical effect due to the global change. In terms of the workforce, it is going through the sea change by becoming a nation of emigration from immigration. As of August 2007, foreign residents have reached more than 1,000,000 including short-term foreign population. Thus, the total population of foreign residents composes of 2% of legally registered population. Migrant workers and women immigrants by marriage are the central reasons of Korea`s multiculturalism. In addition, Korean Chinese, who are the unseen neighbors among us, multiracial people, and North Korean refugees are the increasing flow of multiculturalism. Our perspectives to observe and understand multiculturalism through the flow of incoming population that are cultural minority reflect Korea`s unique situation. Although the aforementioned factors, the influx of foreign workforce and immigration through marriage, may be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discussion in an effort to solve problems for social union, it also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that was induced by global economy and cultural byproduct immensely consumed worldwide. Our government policy and educational policy offered by groups of people are generally focused on matters that are caused by women immigrants by marriage or multicultural families. These policies tend to show an approach to assimilate Korean society.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research focus on the social needs and applications as a civil education. And the majority of the researchers` majors are Educational Sociology or Social Studies Education. However, when we approach multiculturalism and/or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vital that we understand culture as a whole that is not given to oneself, rather it is one`s act of lifetime development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s with other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ur profound understanding of relations among various cultures that can embrace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ty is pivotal.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idea of interculturality can be seen as something that is constructed on a basis of equality and mutual respect so that one can play a role as a multicultural citizen. In other words, it is a formation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s an effort to understand a set of concepts defined as intercultural competence, we can consider the concept of empathy, a formation of solidarity, multicultural education at preschool age, the respect and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providing educational curricular reflecting multicultural perspectives. From this discussion, we can see the need to underst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can address the multiculturalism in our society from the perspectives of general education. Thus, it behooves us to experience and discuss topics and knowledge regarding multiculturalism, and it is important for all of us to develop an education from preschool to middle and high school that can foster intercultural competence early on. It can be seen as a novel try and effort in the frame of inter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ty in the global era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umanity through interactions among diverse individualities that have been indispensable elements to appreciate education through an anthropological-ont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이미지 시대의 교육학: 그림과 영상의 교육적 연관성에 관하여

        정영근 ( Young Kun Tsc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50 No.-

        오늘날 영상은 모든 분야에서 막강한 지배력을 발휘하고, 인간의 삶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며, 또한 물질문명 속에서 상업적으로 대단한 성과를 올리고 있다. 교육학에서도 영상 및 영상매체는 마치 교육방법을 개혁할 핵심 분야인 양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그림과 영상이 인간에 대해 지니는 의미와 작용력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영상의 인간학·인식론적 본질에 대해 탐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상생활과 배움에서 그림과 이미지가 홍수를 이루는 영상시대의 교육학이 그림과 교육의 관계를 어떻게 정의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지를 고찰하는 것이 본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철학의 관점에서 그림을 인류의 문명사적 발달단계와 연관하여 분석한 V. Flusser의 논의를 살펴볼 것이며, 교육학의 주요관심사가 될 글과 그림의 관계를 그간 기호학자 및 미술사학자 그리고 그림이론가들이 어떻게 규정지으려 했는지를 간략하게 서술할 것이다. 또한 그림이 교육의 역사적으로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를 언급하고, 그림이 인간의 지식구성에 지니는 교육학적 기능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결론 부분에서는 한국의 교육학 연구에서도 그림과 교육의 관계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Ein Großteil dessen, was heute als Interaktivitat bezeichnet wird, vollzieht sich primar uber die sinnliche Vermittlung der Augen, seien es Bilder, seien es Worte auf dem Bildschirm. Bilder haben unbestreitbar einen enormen Einfluss auf Identitat und Verhalten des Menschen und auf die Vorstellungen von Realitat. Bilder stehen fur die leichte Unterhaltung und unreflektierte Sinnlichkeit. Sie konnen aber auch schnell Information und Orientierung bieten und Sachverhalte auf einen Blick vermitteln, die nur umstandlich mit Sprache auszudrucken sind. Vilem Flussers Theorie nach ist eine Kultur- und Geistesgeschichte zwangslaufig auch eine Mediengeschichte. Das Denken wird also durch die Medien beeinflusst, in denen es sich ausdruckt. Wissen und Kultur werden auf Medientechnik zuruckgefuhrt. Als zentraler Bestandteil alltaglichen Lebens beeinflussen Bilder Bildungs-, Erziehungs- und Lernprozesse, ob es nun im Sinne von didaktischer Instrumentalisierung, Aufarbeitung, Reflexion oder Nutzung in padagogischen Zusammenhangen. Der Blick auf Bilder und Bildlichkeit eroffnet vielfaltige Perspektiven und Forschungshorizonte in der Erziehungswissenschaft, etwa in Bezug auf Funktionen, die Bilder in Zusammenhangen von Bildung und Erziehung haben sollen und haben konnen. Die asthetische Dimension von Bildung wurde durch den auf eine verkuerzte Rationalitaet fixierten padagogischen Diskurs verdrangt oder instrumentalisiert und damit auch das Potential der sinnvermittelnden Sinnlichkeit von Bildern in deren Bedeutung fur ein kreatives und kritisches Selbst- und Weltverstandnis verkannt. Nunmehr wird allerdings der Zusammenhang von Bild und Bildung allmahlich in einem sich wandelnden padagogischen Diskurs zu einem spannenden Thema der Erziehungs- und Bildungswissenschaft. Eine padagogische Bildwissenschaft, die dem Zusammenhang von Bild und Bildung auf der Spur ist, gibt es jedoch erst in Ansatzen.

      • KCI등재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1)

        정영근(Young kun Tschong)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도상적 전환’(iconic turn)이라는 문화과학에서의 패러다임 변동이 인간의 인식과 교육에 주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시대적 전환이 교육학에 주는 영향과 시사점을 고찰하기 위해 ‘언어학적 전환’에서 ‘그림 및 도상적 전환’으로의 패러다임이 넘어가게 되는 과정을 서술하고, 그에 따른 그림 인간학적 관점의 형성이 교육과 교육학에 주는 의미를 파악하며, 이와 같은 전환의 연속적 과정에서 교육학적 지식과 교육학의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세부내용으로는 먼저 ‘도상적 전환’으로의 패러다임 이동이 발생하게 된 학문사적 배경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장했던 철학과 미술사학 분야의 주창자들의 관점과 문제제기를 통해 살펴본다. 그 다음에는 그림과 영상의 인간학적 차원을 파악하려 시도했던 Belting의 독특한 관점을 설명하면서 그것이 교육학적 사유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를 해석하는 부분에서는 독일의 경우 이러한 전환이 교육학 연구에 어떻게 수용되고 내용화되는지 언급하고, 또 ‘도상적 전환’에 따른 지식의 관점 변화를 소개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러한 전환의 시대에 교육학이 영상과 문자 텍스트 사이에서 어떠한 인식관심과 실질적 대처를 해나가야 할지 제안하고 있다. Die Bedeutung von Bildlichkeit für Erkenntnisfragen hat in den 1990er Jahren in den Geisteswissenschaften zu einer ikonischen Wendung bzw. zum ‘pictorial turn’ oder ‘iconic turn’ geführt. Die ikonische Wendung steht in kritischer Abgrenzung zum ‘linguistic turn’ von R. Rorty und damit zu sprachanalytischen, philosophischen und linguistischen Positionen, die jede Form der Erkenntnis als Problem der Sprache darstellen. Seitdem gewannen Bilder neben Repräsentationen von Wirklichkeit in Form von Texten als Quelle von Erkenntnis zunehmend an Beachtung, so auch in jüngerer Zeit in den Sozial- und Erziehungswissenschaften. Für Boehm ist das Kunstbild als jenes Bild zu betrachten, das seiner Genesis wie seiner Geltung nach diese Erkenntnisfunktion geradezu verkörpert. Aber Belting betrachtet das Bild aus anthropologischer Perspektive. Während Boehm die Arbeit am Bild vordringlich unter dem Aspekt des Bildes als Medium der Erkenntnis und der Reflexion auf Wahrnehmung betrachtet, sieht Belting den Hauptweg dieser Arbeit in einer anthropologisch orientierten Wissenschaft, die sich als Sach- und Kulturkunde des Bildes versteht. Inwieweit ein ‘iconic turn’ zu einer Vertiefung der Bildung des Menschen beiträgt, lässt sich aus der Praxis noch nicht beantworten. Es gibt aber durchaus trifftge Gründe, warum das Bild bzw. Bilderwelten in den Fokus der pädagogischen Diskussion rücken. In dieser Abhandlung wird versucht, die ikonische Wendung aus pädagogischer Perspektive zu interpretier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