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모의 단어지도가 유아의 단어인식을 매개로 수용어휘 크기에 미치는 영향
정수지,최나야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유아의 단어인식은 수용어휘 크기의 성장을 촉진하며, 부모의 단어지도는 유아의 단어인식을 향상함으로써 수용어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그러나 부모의 단어지도, 유아의 단어인식, 수용어휘 크기 간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유아의 단어인식을 하위요인으로 구분해 상세하게 살펴본 연구도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단어지도가 유아의 단어단위인식, 단어임의성인식, 단어형태인식, 단어어종인식을 매개로 수용어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세종시와 대전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5세반 유아와 어머니 200쌍이다. 어머니는 설문조사를 통해 부모의 단어인식 지도를 측정하는 5점 리커트 척도에 응답하였고, 유아는 연구원과의 면대면 조사를 통해 단어인식(단어단위인식, 단어임의성인식, 단어형태인식, 단어어종인식) 과제, 수용어휘력 검사, 음운단기기억력 검사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IBM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모형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version 3.4.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단어지도, 유아의 단어인식, 수용어휘 크기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단어인식은 부모의 단어지도와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 간 관계를 유의하게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유아의 단어인식의 하위요인(단어단위인식, 단어임의성인식, 단어형태인식, 단어어종인식)은 각각 부모의 단어지도와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 간 관계를 유의하게 부분매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부모의 단어지도가 직접적으로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를 확장할 뿐 아니라, 유아의 단어인식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수용어휘 크기를 확장함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부모의 단어지도가 유아의 단어단위인식, 단어임의성인식, 단어형태인식, 단어어종인식 발달을 촉진함으로써 수용어휘 크기를 확장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유아의 수용어휘 발달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부모의 단어지도를 통해 유아의 다양한 단어인식을 촉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정수지,신수용 한국무역학회 2022 Journal of Korea trade Vol.26 No.6
Purpose – Considering the recent instability of world economy and its heavy dependence on foreign, Korea must formulate breakthrough approaches to proactively cope with these adverse global developments. As such,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how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GVCs) relates to corporate productivity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Design/methodology – This study utilizes the microdata of Korean manufacturers to develop indicators of GVC participation at the enterprise level and analyzes the effects of GVC participation on the firm’s total factor productivity by using fixed effect model. Findings – Enterprises with highest rates of export-side GVC participation see their productivity grow as their export-side GVC participation rates increase. In addition, when companies are classified by their export-side GVC participation rates, increasing export values improves all firm’s productivity. In particular, those with low participation rates are analyzed to achieve higher productivity by increasing their imports, not only exports, which implies that companies with lower export-side GVC participation can boost productivity by reinforcing their export and import activities. Originality/value – This research paper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s in that it makes a novel attempt to design the indicators of GVC participation at the enterprise level, not at the national or industry level.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dividing companies into subgroups depending on their GVC participation rates for each of export and import and identifying variances in the effect of GVC participation on productivity growth among subgroups.
지역 전래동요에 기초한 문화체험활동이 유아의 지역공동체 의식과 국악능력 및 국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정수지,박형신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학술세미나 및 연수회 Vol.2016 No.-
The study considered experimental activities which not only explored the cultural factors to be found in children’s local traditional songs but also consisted of practising cultural values associated with the songs, by recomposing them in the light of the children’s own experiences and then sharing them with ot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local community spirit as well as their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music.
부모의 단어지도가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에 미치는 영향: 단어인식의 매개효과
정수지,최나야 한국아동학회 2022 아동학회지 Vol.43 No.4
Objectives: Word awareness is an important factor in word instruction for children in late preschool.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parents’ word instruction promotes the growth of preschoolers’ receptive vocabulary size and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is mediated by preschoolers’ word awareness. Methods: The study recruited 200 pairs of five to six-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from 14 childcare centers in Sejong and Daejeon, South Korea. Experimenters asked the preschoolers to answer questions on word unit awareness, word arbitrariness awareness, word morphology awareness, word type awareness, and receptive vocabulary size from experimenters and videos. Par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items on word instruction. Results: First, parents’ word instruction, preschoolers’ word awareness and receptive vocabulary size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parents’ word instruction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receptive vocabulary size and an indirect effect via preschoolers’ word awareness. Last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word unit awareness, word arbitrariness awareness, word morphology awareness, and word type awar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word instruction and receptive vocabulary size were all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e importance of parents’ word instruction to enhance preschoolers’ awareness of various aspects of words. The present results offer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vocabulary instruction programs for preschoolers and parents.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
정수지,오승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전남 K시에 있는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만20세 이상부터 60세 이하의 DSM-V의 진단 기준에 의해 조현병으로 진단을 받고 5년 이상 경과되어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만성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프로그램 참여 의사를 밝힌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을 무선 배정하여 2014년 6월 3일부터 9월 9일까지 주 1회 매 회기 각 90분씩 시행하여 전체 15회기를 실험집단에 실시했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공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었고, 하위요인인 긍정적 요소가 증가하였으며 부정적인 요소는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만성 조현병 환자의 공감능력이 전체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가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empathy of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chizophrenic patients from 20 to 60 years of age who were diagnosed based on DSM-V at Health Promotion center K city, Jeonnam. And they have taken dose medication over 5 years. Of 24 subjects who notified their intention to attend the program, after 12 experimental domains and 12 control domains were randomly assigned, experimental group was implemented overall 15 times, 90 minutes once a week, from June 3, 2014 to September 9. But cotrol group was not given any art therapy program. To check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empathy, the study tested paired sample t-test and analyzed using SPSS 18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and positive elements of experimental group applying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improved, but negative elements were decreased. Secondly, not only empathy ability of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pplying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improved, but also as sub-domain, emotional and Cognitive elements were improved. To sum these results up,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helpful to improve self-esteem and empathy ability of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정수지 한국아동학회 2024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4 No.11
연구목적: 유아기 자기조절능력 발달에는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유아가 자기조절을 하는 과정에는 자신의 인지 및 정서를 인식하고, 돌아보고, 관리하는 과정, 즉 ‘메타인지(metacognition)’가 수반된다. 따라서 부모가 일상에서 유아의 메타인지 과정을 돕는 상호작용을 할 때,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유아 메타인지 상호작용을 개념화하고 구성요인을 밝히고, 부모-유아 메타인지 상호작용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BR/>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모-유아 메타인지 상호작용 척도를 구성하고, 유아기 자녀가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를 검증하였다. 예비문항 초안을 구성하기 위해, 문헌을 검토하고 유아 어머니 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 면접을 실시하였다. 예비문항 초안의 내용 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문항 수정안을 마련하였다. 예비문항 수정안에 대한 어머니 3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예비문항을 마련하였다. 최종 예비문항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기 위해 3~6세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을 활용하여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BR/>연구결과: 첫째, 부모-유아 메타인지 상호작용 척도는 ‘인지조절 메타인지 상호작용’과 ‘정서조절 메타인지 상호작용’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고, 두 차원은 각각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인지조절 차원의 하위요인은 ‘인지인식 상호작용’, ‘문제해결 정보 제공’, ‘문제해결 의논’, ‘문제해결 동기 부여’로 구성되었고, 정서조절 차원의 하위요인은 ‘정서인식 및 수용’, ‘정서조절 전략 지도’, ‘정서조절 이유 설명’, ‘사회정서행동 피드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부모-유아 메타인지 상호작용 척도의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준거타당도(공인타당도, 예측타당도),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유아 메타인지 상호작용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결론: 본 연구는 부모-유아 메타인지 상호작용 척도가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 메타인지 상호작용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되고, 각 차원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이 메타인지 기술, 지식, 경험을 제공하는 상호작용을 측정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유아 메타인지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이 촉진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