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언론에 비춰지는 유럽연합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주요일간지 및 경제지를 중심으로

        정세원,박성훈 한국유럽학회 2016 유럽연구 Vol.34 No.4

        본 논문은 국내 대표적인 신문매체인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그리고 대표적인 경제매체인 매일경제신문에 실린 EU관련기사의 내용에 근거한 국내 중심성, 중요도, EU관련 행위자, 주제적 프레이밍, EU와 그 행위자에 관련된 평가 그리고 개념적 은유에 따른 표현들을 분석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조사대상인 한국의 신문들은 EU 에 초점을 맞추기 보단 자국에 초점을 맞추어 EU를 보도하였다. 중요도면에서 살펴보면, 중앙일보와 매일경제는 EU를 부차적인 주체로 두고 보도하였으며, EU의 그리스 채무사태에 관련된 EU기관, 회원국, 관료들이 언론의 집중을 받았다. 무엇보다, EU관련뉴스에서 경제적 프레이밍을 담은 기사가 다른 프레이밍 보다 눈에 띄었는데, EU에 관한평가는 그리스 채무사태로 말미암아 부정적인 평가가 컸다. EU에 관한 개념 은유적 표현들도 이러한 부정적 평가를 반영한 비관적 표현이 발견 되었다. 위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아직도 한국의 신문들은 EU의 경제적인 이미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있었으며, 그리스 채무사태로 말미암아 EU에 관한 한국의 신문들의 평가가 부정적으로돌아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이미지로 미루어볼 때, 한국 여론의 EU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부정적으로 흘러 갈 가능성이 높으며, 한 가지 우려 되는 점은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가 EU에 관한 정치적 사회적 이슈로 옮겨질까 하는 점이다. 따라서한-EU관계가 좀 더 다양한 분야로 확장 되고 심화되면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변화를 꾸준히 관찰 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researchers of this paper collected EU-related news items in two Korean prestigious newspapers (Chosun and Joongang Dailies) and economic newspapers (Maeil Kyungje Shinmun) from April to June 2015. We analysed the collected articles based on six elements of substantiv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plore EU discursive representations. The six elements are focus of domesticity, degree of centrality, EU actors, thematic framings, evaluation and the expressions based on conceptual metaphors. This paper could draw out following findings. First, Korean newspapers were more likely to employ ‘local context’ or ‘local hook’ in reporting EU-related news articles. In terms of ‘degree of centrality’, Joongang Daily and Maeil Kyungje Shinmun were more likely to report the EU as a secondary theme in their articles. The media were more likely to focus on EU institutions, member states and official who are related with Greek debt crises. Like the empirical studies, EU-related economic framing was the most evident than other framings. Recently, the Korean media gave negative evaluation to the EU. Considering these aspects of EU images in the Korean media, the Korean public understandings about the EU would become negative. Furthermore, such negative evaluation would spread to other aspects of Korean society. As EU-Korea relations becoming diversified and deepened, future research should continuously investigate the dynamics of EU images.

      •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보조 경로를 이용한 에너지 인식 라우팅 알고리즘

        정세원,이채우,Jung Se-Won,Lee Chae-Woo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6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제약적인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해서 보조 경로 기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에너지를 고르게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수명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최근 네트워크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On-Demanding 방식 기반의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다. 그 중 PSR(Power-aware Source Routing)은 경로 탐색 동안에 선택된 하나의 경로만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DSR(Dynamic Source Routing)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경로를 주기적으로 교체함으로써 네트워크 수명을 늘린다. 그러나 이는 경로 교체 동안 발생되는 잦은 플러딩(Flooding)으로 인해 라우팅 오버헤드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경로 탐색 동안 설정된 보조경로(Backup Route)를 사용해 플러딩의 발생 없이 경로를 변경시키는 HPSR(Hierarchical Power-aware Source Routing)을 제안한다. HPSR은 보조 경로를 사용한 잦은 경로 변경 통해 네트워크 수명을 증가시키면서도 플러딩의 감소로 라우팅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OPNET을 사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HPSR의 성능을 검증한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algorithm for the energy constraint ad-hoc network which efficiently spread the energy usage over the network through the backup route scheme in order to increase the network lifetime. Recently, the various energy-efficient routing algorithms based on On-demanding method are proposed. Among them, PSR(Power-aware Source Routing) increased the network lifetime through the periodical route alternation depended on the use of the battery while DSR(Dynamice Source Routing) uses only the route selected during the route discovery phase. But PSR has a problem that it increases the route overhead because of the frequent flooding for the route alterna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we propose HPSR(Hierarchical Power-aware Source Routing) which uses the backup route set during the route discovery in order to alternation the route without the flooding. HPSR increases the network lifetime due to the frequent route alternation using backup route while it decreases the routing overhead due to the reduced flooding. In this paper, we also prove the performance of HPSR through the simulation using OPNET.

      • KCI등재
      • KCI등재

        Information Diffusion in YouTube Video Networks: The Case of Koreans' EU Perceptions

        정세원 한국EU학회 2019 EU학연구 Vol.24 No.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Korean perceptions of the EU on the internet. Among the internet media platforms, this study focused on analysing EU-related YouTube videos filmed in the Korean language over the last four years from the anniversary of Brexit Referendum.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a social network of Korean YouTubers. The social network shows the information diffusion process so that the results could address how EU images were spread to the Korean viewers. For facilitat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NodeXL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visualisation. For the data collection periods, this study set two separate periods based on two years before the referendum (From 23 June 2014 to 22 June 2016) and two years after the referendum (from 23 June 2016 to 22 June 2018). Afterwards, this study will compare two social network maps to explore how Korean perceptions of the EU were shaped after the Brexit Referendum. The results can be summarised into three points. First, the information diffusion structure of EU perceptions has become improved in terms of its network density and improved scope. Second, the information diffusion network has become more connected, efficient and accelerated among members of the network. Third, the range of influential information diffusers has been more diversified, and this led to more complicated diffusion network in South Korean society. In conclusion, this study calls for further inventions of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between the EU and South Korea, reliable quality assurance system of EU-related information in Korea and narrowing perceptual gap regarding EU-related information in South Korea from digital divide.

      • KCI등재

        도시 브랜드의 지속가능성 연구 : 유튜브 공간에서의 모스크바의 도시 이미지를 중심으로

        정세원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6

        Moscow is Russia’s capital and megacity. Despite the fact, Moscow does not have an effective and appropriate brand strategy. Also, there is no sufficient studies on this topic, so it needs to be properly examin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ustainability of Moscow’s city branding by focusing on its city imageries on YouTube. This study adopte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the main quantitative methodologies. The results show that Moscow is described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a capital of assertive Russia. Also, Moscow has no proper brand promotion and online communica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four major suggestions. First, the Moscow metropolitan government could consider devising better logos and slogans, which would increase its visibility. Second, the government might establish an independent online communication strategy department. Third, the government should cope with the negative images due to Russia’s current situation. Fourth, it should constantly review how Moscow is represented in online media. 본 연구는 러시아의 수도이자 메가시티인 모스크바의 도시 브랜드의 지속가능성을 모스크바 관련 유튜브 동영상에서 비춰지는 도시 이미지를 중심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현재 모스크바는 메가시티의 지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브랜드 전략이 부재한 상태이며 보완이 시급한 상황이다. 관련 선행연구도 적은 관계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방법론으로는 도시 브랜드 연구에서 주로 사용하지 않은 정량적 접근법인 사회·의미 연결망 분석법을 채택하였다. 본 방법론을 통해 모스크바 도시 브랜드는 주로 관광지의 이미지와 호전적인 러시아의 수도로서의 이미지로 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 상황으로 보았을 때 도시 이미지 및 브랜드 재생을 위한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그 무엇 보다 시급하다. 이러한 특성을 근거로 다음 사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모스크바의 가시성을 끌어올려 줄 수 있는 브랜드와 로고 개발이 시급하다. 둘째, 모스크바 시청이나 관련 기관에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부정적인 이미지에 대처할 수 있는 전략이 아울러 중요하다. 넷째, 다각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모스크바의 이미지나 브랜드를 관찰하고 유용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Understanding EU’s Digitalised Public Diplomacy: Socio-Semantic Network Analysis of 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s Official YouTube Channel

        정세원,윤성원 한국유럽학회 2022 유럽연구 Vol.40 No.3

        Since the Internet revolution, global actors have actively employed digital diplomacy as a tool for promoting their values and priorities to broader audiences. In this light, this study specifically looks at the 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 (EEAS)' official YouTube channel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Union’s digital performances for its public diplomacy. This paper employs an analytic method―Socio-Semantic Network Analysis―to explore the information diffusion structures and the impact of the Union’s messages to the world. The monitoring period of this paper is from January 2013 to May 2022. Based on this, the results offers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U’s current status as a global acto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EEAS’ official YouTube channel. First, the EU is highly likely to focus on its internal issues like EU institutions, major figures and normative values in disseminating its message through videos. Second, the EU’s neighbouring regions as well as Russia turned out to be its major target of its digital public diplomacy although the production was mainly made in English. Finally, the EU attempted to make localised approaches by producing the videos in Arabic or Georgian. Subsequently, there are three suggestions to be made for enhancing the EU’s global reach of digital diplomacy efforts. First, the EEAS could consider extending its target of digital promotion from the Union’s neighbours to wider regions like Asia or global South. Second, it could increase more video contents created in different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for strengthening its localisation strategy. Finally, it could develop more customised contents that contain more local contexts.

      • KCI등재후보

        영어판과 러시아어판 유튜브 동영상을 통해 본 상트페테르부르크 도시이미지 비교연구

        정세원 한국국회학회 2023 한국과 세계 Vol.5 No.2

        This study investigates Russia's second city, St. Petersburg. Specifically, it focuses on exploring perceived images of this city from Russia and external society. Its research medium is YouTube videos covering St. Petersburg in English and Russian languages. This study employed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allows implement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interpretations, for finding out the images from the two sides. This study used NodeXL as a tool for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visualisation of the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ussi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erceived images of Saint Petersburg. The only difference is Russia perceived this city as a living space and international community does it as a tourist destination. However, when Russia’s current situation with Ukraine does not improve, the city will be isolated from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might negatively impact on its capacity as a global actor. Thus, this study calls for an appropriate action from Russia for overcoming a potential problem. 본 연구는 러시아와 국제사회가 인식하고 있는 러시아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도시 이미지에 주목하고자 하며,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를 통해 도시이미지를 비교해 볼 계획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차별을 두어 정량적 방법론 중 정성적 해석이 가능한 혼합적 방법론인 의미 연결망 분석법을 활용했다. 본 연구는 영어판과 러시아판으로 제작된 상트페테르부르크 관련 동영상을 SNS 분석 도구인 노드엑셀(Node XL)을 활용해 수집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러시아와 국제사회가 인식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이미지는 상당히 유사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가장 명확한 차이점은 러시아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삶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한편, 국제사회는 여행지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향후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전개에 따라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될 수 있기에 러시아로서는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