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에서 DC bias가 인가된 탄소나노튜브의 수직성장과 전계방출 특성

        정성회,김광식,장건익,류호진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5 No.4

        The vertically well-aligned carbon nanotubes(CNTs) were successfully grown on Ni coated silicon wafer substrate by DC bias-assisted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s a catalyst, Ni thin film of thickness ranging from 15~30nm was prepared by electron beam evaporator method. In order to find the optimum growth condition, the type of gas mixture such as $C_2H_2-NH_3$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by adjusting the gas mixing ratio at $570^{\circ}C$ under 0.4Torr. The diameter of the grown CNTs was 40~200nm and the diameter of the C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Ni particles size. TEM images clearly showed carbon nanotubes to be multiwalled. The measured turn-on field was $3.9V/\mu\textrm{m}$ and an emission current of $1.4{\times}10^4A/\textrm{cm}^2$ was $7V/\mu\textrm{m}$. The CNTs grown by bias-assisted PECVD was able to demonstrate high quality in terms of vertical alignment, crystallization of graphite and the processing technique at low temperature of $570^{\circ}C$ and this can be applied for the emitter tip of FEDs.

      • SCOPUSKCI등재

        테이프 캐스팅법에 의한 MCFC Anode용 Ni-WC 박판 제조

        최진영,정성회,장건익,Choe, Jin-Yeong,Jeong, Seong-Hoe,Jang, Geon-Ik 한국재료학회 2000 한국재료학회지 Vol.10 No.10

        MCFC 작동온도인 $650^{\circ}C$에서 음극의 creep과 소결에 의한 구조적 변형을 막기 위해 기계적 합금법에 의한 Ni-WC분말을 합금화하여 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80시간동안 어트리션 밀링을 실시한 분말은 XRD 분석결과 결정규칙이 파괴된 비정질 상을 보였다. 제조된 분말은 적당한 점도의 슬러리로 제조후 테이프 캐스팅법에 의해 green sheet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박판의 두께는 0.9mm였고, 평균 기공 크기는 $3~5{\mu\textrm{m}}$, 기공율은 55%였다. 소결체의 XRD 분석결과 2차성은 생성되지 않았으며, SEM 및 dot-Mapping image를 통해 Ni matrix 안에 W 입자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 고용강화 및 분산강화를 통해 Ni 음극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By the mechanical alloying method. Ni-WC composite materials were prepared to improve the deformation-resistance for creep and sintering of Ni-anode at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650^{\circ}C$. Mechanically alloyed powder w was initially fabricated by ball milling for 80hr, and then amorphization was occurred by the destruction of ordered crystals based on XRD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nd sheet characteristics of Ni-WC anode, tape casting process was adopted. Finally, the obtained sheet thickness of Ni- we after sintering at $1180^{\circ}C$ for 60 minutes in $H_2$ atmosphere was O.9mm and the average pore size was $3~5{\mu\textrm{m}}$ with porosities of 55%. The second phase was not observed in Ni- W matrix while W particles were finely and uniformly distributed in Ni matrix. This fine and uniform distributed W particles in Ni matrix are expected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Ni anode through the dispersion and solid solution hardening mechanisms.

      • 제2차 제품등의 순환이용성 평가계획(2021~2023) 수립 연구

        권상숙 ( Kwon Sangsuk ),전경화 ( Jeun Kyonghwa ),윤서영 ( Yoon Seoyoung ),허소담 ( Heo Sodam ),정성회 ( Jung Sungho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18년 1월 자원순환기본법이 제정되어 제품 생산부터 유통, 소비,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순환 이용을 촉진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제품의 순환이용성을 평가하고 개선을 권고하는 순환이용성 평가 제도가 ‘18년 4월부터 시행되었다. 제1차 제품등의 순환이용성 평가(‘18~’20)는 10개 제품군 252개 제품에 대해 개선권고를 내렸으며 개선완료 및 이행이 진행 중이다. 제2차 제품등의 순환이용성 평가의 제품을 선정하기 위해 기초(1단계) 조사와 상세(2단계) 조사로 대상을 도출하였으며, 사회적 이슈와 개선 시급성 등을 고려하여 9개 제품군을 선정했다. 기초조사에서는 국내·외 정책, EPR(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확대 생산자 책임)제도,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 등의 현황조사, 관련 연구 문헌조사, 공공·민간의 재활용센터 현장조사를 통하여 제품군별 자원 순환 기초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제품군을 분류하고 목록화하여 대상을 설정하고 설문조사와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1차 후보군 Pool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Pool에 대한 전과정 현황조사 및 개선 시급성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그룹의 의견조사를 실시하고 가중치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 부여된 우선순위와 사회적 중요도, 개선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기초조사 단계에서 최종 제품군을 도출하였다. 상세조사에서는 기초조사에서 도출된 제품군과 함께 상향방식(Top-down approach)과 하향방식(Bottom-up approach)을 병행하여 추가적인 후보 제품군을 선정했다. 상향방식으로 기초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제품의 순환이용 단계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제품군을 조사하여 87종의 제품을 도출하였다. 하향방식으로 국내·외 정책과 기술적으로 순환이용성에 대해 논의가 되고 있는 24종의 제품을 도출하였다. 상·하향 방식으로 111개 제품군을 도출하여 현장조사 및 순환이용과 관련된 정성적 분석, 정량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또한 제품 범주에 따른 동질적 요소와 제품 명칭에 따른 포괄적 요소, 제외 요소를 분석하여 57종에 대한 후보제품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57종에 대하여 전문가 평가와 논의를 거쳐 19종의 후보제품을 선정하였으며, 자문, 실태조사 및 정책적 시급성을 고려하여 최종 9종의 대상제품을 선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