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지에 (圃地) 있어서 들메나무의 종자발아 및 묘목새육밀도에 관한 연구

        정성호,김종원,이근수 ( Seung Ho Chung,Jong Won Kim,Geun Soo Lee ) 한국산림과학회 198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3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Fraxinus mandshurica growing in natural forests of the interior of Korea. Three stimulation methods were used for germination and the seedlings were planted with various densitie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suggested that the 80 seedlings per square meter were proper densities for their growth at a nursery bed. 2) Among the three stimulation methods, 19.9% of germination was shown by the moisture storage, 2.3% by cold and warm stratification, and 0.4% by cold stratification. 3) The 8.1% of the total seedlings showed secondary height growth.

      • 地方化 時代의 地方言論의 役割에 관한 硏究

        정성호 대구보건대학 1995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15 No.-

        사회 각 분야의 급속한 변화를 예고하는 민주화의 조류를 맞게 되었고 그러한 요구는 지방화 시대를 요청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지방적 시대에 있어 지역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지방언론이라고 보아진다. 그러나 한국언론의 구조적 특수성 때문에 지방언론의 낙후성이 나타날 수 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지방언론의 구조적 현상을 분석하는데 있어 지방 및 지방자치가 의미하는 것과 그 방향 및 지방자치제와 지방언론의 상호관계를 통해 지방언론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고자 했다. 지방자치제가 성공적으로 실행되고 위해서는 제방 사회여건 및 정치제도도 중요한 요인이겠지만, 정책 수반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주는 언론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현 단계는 민주화 시대를 열어가는 역사적인 시기로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개혁이 요구되고 있다. 무릇 사회의 여론 수렴과 국가조직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제4부로서의 언론은 지방자치 시대에서도 지방언론으로서 환경감시 및 상관조정의 기능 등이 요구된다. 현재 지방언론을 보는 시각은 다소 부정적이다. 충분한 정보제공이 없고, 전문성이 낮고, 한정적 발행, 제한된 시설, 자립성 등의 문제로 인해 신뢰 또한 낮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완전한 지방자치제를 바라보는 현 시점에서 지방언론은 반드시 독립적이며 지역적 특성이 고려된 방향으로 제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방언론의 역할은 우선 지방민과의 응집력과 참여도를 높여 지방적 특수이익을 보호하고 종합적인 지역발전에 기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역 여론의 형성을 위해 지방회의 토론의 장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방문화 보존 및 확산과 지방행정의 감시·비판자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중부지방 주요활엽수의 직경성장에 (直徑成長) 관한 조사연구

        정성호,최문길,이근수 ( Seung Ho Chung,Moon Gil Choi,Geun Soo Lee ) 한국산림과학회 198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0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iameter increment of seven major selected tree species which grow wild in middle area of Kore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fference in annual diameter increment among seven species according to D.B.H. classes showed to be the strongest in Juglang mandshurica, the second rank Corpus controversa, the third rank Betula platyphylla, the fourth rank Tilia amurensis, the second rank Fraxinus mendshurica, the sixth rank Populus davidiana, and the weakest in Ulmus davidiana. 2) Total diameter increment among seven species according to tree age classes were ranked as follows: Jugbzns mandshurica, Cornus controversa, Betula platyphylla, Tilia amurensis, Fraxinus mandshurica, Populus davidiana, and Ulmus davidiana. 3) Juglans mandshurica showed the highest diameter increment in comparison with other six species, while diameter increment in Ulmus davidiana and Populus davidiana decreased in earlier age than other species.

      • KCI등재후보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성호(Chung, Sungho) 한국공공사회학회 2018 공공사회연구 Vol.8 No.2

        2006년부터 정부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제1차, 제2차 저출산 대책은 정책의 초점을 출산 장려 캠페인, 보육 지원 등 미시적 접근에 두어 저출산의 사회구조적 원인에 대한 근본적 해결에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3차 저출산 대책은 보육중심에서 만혼추세 완화로 방향을 전환하였다. 이러한 방향 전환에도 불구하고 초저출산 추이는 지속되고 있다. 새 정부는 기존의 저출산 대책을 비판하면서 저춝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 ‘국가주도의 정책’에서 `사람중심 정책`으로 출산과 자녀양육을 인권으로 존중하고 청년과 여성의 기대를 높일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 정부가 주장하고 있는 저출산 대책의 방향은 올바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떻게’ 세부 정책을 수립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든다. 보다 구체적이고 근본적인 대책들, 기존의 복지정책과는 차별화된 대책들, 사람들이 수긍할 수 있는 대책들을 어떻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ossibility of paradigm shift in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in Korea. The First and The Second Plan for Low Fertility aim to foster environments in favor of child-rearing. In doing so, governments has employed a mix of programs. These are monetary support families with children, after-school programs, and monetary support for child-care at home. The Third Plan focuses on decreasing the deferred marriage trend. Many observers have commented that the pro-natalist policies in Korea have failed, because there is no evidence that fertility has risen since their introduction. Similarly, New Government maintains that current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have failed in boosting fertility rate. They also maintain Paradigm Shift in Policy Responses in Low Fertility. Paradigm Shift in Policy Responses in Low Fertility means the transition from state-led policy to people-centered policy. Specifically they suggest four main tasks for new policy direction: 1) work and life balance, 2) stable and equal job for woman, 3) structural reform in employment, dwelling, and education, 4) support for all children and family. The policy direction for New Plan seems to be right. However, the question still remains over how this policy direction can be established with detailed policies.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diagnosis is accurate and clear, the solution to the problem is not simple. It is time to listen to the argument that “the nation"s low birthrate does not come from having no children, but from an environment that makes it impossible to give birth, so it is hard to expect the situation to improve without improving the situation.”

      • KCI등재

        강원 영동지역의 인구감소와 지속가능성

        정성호(Chung, Sung Ho)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강원 영동지역의 인구감소 추이를 검토하고, 이 지역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자원은 한계마을론과 지방소멸론에 기초하였으며, 자료는 2015년 기준 강원도 시군단위 장래인구추계를 활용하였다. 추계 결과 인구규모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인구구조에서 고령인구 비율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시 지역의 경우 2035년 고령인구 비중은 2015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미 2015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군 지역은 모두 2035년 40%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시군별 지속가능성에 대한 검토에서 한계마을 기준을 적용하면 2035년 5개 시 지역은 모두 준한계지자체에 속할 것으로 전망되며, 군 지역은 한계지자체 기준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멸위험 지수를 검토한 결과 2035년 영동지역의 모든 시⋅군은 소멸위험 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소멸위험도 증가는 젊은 여성인구 비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데 반해 고령인구 비율은 가파르게 높아지는 상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단지 인구구조의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동지역 시⋅군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review the trend of population decrease in Yeongdong area, Gangwon Province, and to predict the sustainability of the area. Theoretical resources for this purpose were based on marginal village theory and local extinction theory, and the data utilized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of the city and county units in Gangwon Province as of 2015. The projection showed that the population size would not change much, but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would increase significantly. The 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city area is expected to more than double in 2035 compared to 2015, while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in county that already entered the aged society in 2015 is expected to be more than 40 percent in 2035. If marginal village standards are applied in the review of sustainability by city and county, all five cities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quasi-limit zone and all counties are expected to be close to the marginal village in 2035. A review of the risk of extinction indicates that all cities and counties in the Yeongdong area will be at risk of extinction in 2035. The increase in risk of extinction can be attributed to a situation in which the proportion of young female population continues to drop, while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steeply. This study argues that special measures are needed to address the decline in population and aging population, as it is not just a change in the population structure, bu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city and county in Yeongdong area.

      • KCI등재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향후과제

        정성호(Sungho Ch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연구 Vol.48 No.2

        최근 출산력 연구에서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경험적인 수준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2000년대 초반이후 한국의 초저출산 문제는 어느 나라보다도 심각하게 다가오고 있고, 출산력 제고는 가장 긴박한 정책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은 한국의 초저출산 현상의 사회경제적 요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 변수로서 청년실업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사교육비의 부담, 양성평등 관념과 사회인구학적 변수로서 초혼연령이 출산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책들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재의 저출산 현상의 원인에 대한 검토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저출산 대책 역시 단편적으로 추진되어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기존의 정책을 재검토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등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등 정부의 구체적인 실천이 중요한 시점이다. Low fertility has become quite commonplace worldwide, and Europe has experienced below replacement fertility for several decades. In addition, lowest-low fertility, defined as period total fertility rate below 1.3, has rapidly spread in Europe during the 1990s and is likely to expand further. After the turn of century, lowest-low fertility started spreading in Eastern Asia. Korea’s TFR of 1.19 in 2008 is lower than most European countries, although it is higher than the Hongkong(1.02) and Taiwan(1.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lowest-low fertility in Korea. In doing so,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s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labour instability, age at first marriage, expansion of the gender equity, excessive cost of private education on fertility. The low fertility rate could be seen as the expression of unfavorable conditions in society for having and raising children, and also as a lack of confidence in the future. Attention has also been cal led on the cost of child and on the heavy economic burdens laid on couples.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 KCI등재
      • KCI등재

        저출산 요인의 인과모형

        정성호(Sungho Ch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1

        최근 출산력 연구에서 저출산 및 초저출산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수준에서 뿐만아니라 경험적인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중 저출산 및 초저출산이 일시적인 현상인가 아니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인가 하는 질문과 저출산 및 초저출산의 원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는 저출산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2000년대 초반이후 한국의 저출산 문제는 어느 나라보다도 심각하게 다가오고 있고, 출산력 제고는 가장 긴박한 정책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은 한국의 저출산 현상의 사회경제적 요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 변수로서 청년실업률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과 사회인구학적 변수로서 초혼 연령이 출산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초혼연령과 출산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혼연령은 예상대로 출산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년실업률의 경우 예상과 달리 초혼연령과 출산력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저출산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난 것은 정책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출산 및 자녀 양육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육아휴직제도, 선택적 근로시간제, 보육시설 확대 등의 정책 방안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Low fertility has become quite commonplace worldwide, and Europe has experienced below replacement fertility for several decades. In addition, lowest-low fertility, defined as period total fertility rate below 1.3, has rapidly spread in Europe during the 1990s and is likely to expand further. After the turn of century, lowest-low fertility started spreading in Eastern Asia. Korea"s TFR of 1.15 in 2009 is lower than most European countries, although it is higher than the Hongkong(1.02) and Taiwan(1.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lowest-low fertility in Korea. In doing so,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s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labour instability on family formation and fertility. The data includes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 unemployment rate, age at first marriage, and total fertility rate from 1980 to 2008. Contrary to hypothesis the effects of unemployment rate on age at fist marriage and fertilit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rate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on age at first marriage and total fertility rat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As hypothesized, the age at first marriage has a negatvie effect on total fertility rate. However,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m, the rate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has the greatest effects on total fertility rate and age at first marriage.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 KCI등재

        동아시아의 초저출산 추이와 전망

        정성호(Sungho Chung)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2

        합계출산율 1.3 이하를 의미하는 초저출산 현상은 최근 동아시아 국가에서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저출산을 일찍 경험한 일본(1.21)과 1990년대 후반 아시아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급격한 출산력 저하를 경험한 한국(1.23), 타이완(1.15), 싱가포르(1.11) 등이 좋은 예이다. 초저출산 현상은 인구학자는 물론 정책 담당자들 사이에서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초저출산의 지속은 인구구조의 측면에서 인구의 고령화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인구감소를 가져올 것이라는 예측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하여 동아시아국가들은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많은 인구학자들이 주장하듯이 동아시아 국가에서의 저출산 정책은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저출산 정책이 도입된 이후에도 출산력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저출산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정책방향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 정책의 최우선순위 학보, 국가별 특수성 고려 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4개국의 가부장적인 사회구조와 문화적인 전통에 기초하고 있는 기존제도에 대한 포괄적인 개혁과 의식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lowest-low fertility has rapidly spread in Eastern Asia. Today, four of Asian countries -Japan, Singapore, Korea, Taiwan- have among the lowest fertility rate in the world. Why are women choosing to have so few children in those four countries? How are policy makes responding to these tren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lowest-low fertility in four countries. In four countries, the economic recession hindered young people’s economic independence and propensity to marry. Married couples were also depressed with uncertainty toward the future and avoided to have children. Moreo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rising cost of children including 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costs is thought to be the main reason of the recent low fertility in four countries. Each government has initiated a variety of population policies and programs designed to encourage marriage and childbearing. The general consensus about pronatalist policies in East Asian countries seems to be fail, because there is no evidence that fertility has risen after adopting those policies. Given current social and economic trends, it is unlikely that very low fertility will be reversed, at least not in the foreseeable future.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