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 놀이의 문화재적 가치 분석

        정성미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Plays are changing by tim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the society and culture. Also, along with that, people’s recognition on them or the value of them is changing as well. Children’s plays, too, have value as cultural properties just like adults’ plays that are the objects of cultural properties. However, research on children’s plays has mainly dealt with the value of them as cultural contents or approached them pedagogically. In fact, not much research has approached children’s plays as cultural properties. They have establishe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s to protect events that have been hard to b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they are shared too widely and universally. Also, the objects to be registered as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extended to not only plays that were excluded previously but to the area of living culture in general. Therefore, from now 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children’s plays around us, explore the value of them as cultural properties, and aggressively find out how to develop them sustainably. The concept of children itself as well a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encouraging the birth of toys, one of the play relics, are very useful to examine modern play culture. Also, among all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re is innate value intimately combined in it. Although presently, ‘intangible’ things are not included in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f we look at the play relics only, we can find they are equipped with a lot of intangible attributes, for example, traditional knowledge contained in them, methods of playing, or methods of making play tools. Therefore, we should not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merely. In the current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system, this author thinks that the system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can be the one that can complement the fault that we have not been able to preserve or utilize those intimate attribut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properties properly. 놀이는 시대적․사회문화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며 동시에 놀이에 대한 인식과 가치평가도 달라진다. 어린이 놀이 역시 문화재의 대상이 되는 성인놀이에 상응하는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어린이 놀이는 주로 교육학적 접근이나 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연구가 중심을 이루었을 뿐이지 문화재로서의 접근과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보편적으로 널리 공유되고 있어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 어려웠던 종목을 보호할 수 있는 법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또한 등록문화재 등록대상이 기존에 제외되었던 놀이를 포함한 생활문화 전반으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어린이놀이에 주목하고, 문화재적 가치를 탐구해보며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어린이라는 개념 자체와 놀이유물인 장난감의 탄생을 추동했던 사회문화적 배경과 그 과정을 통해 근대놀이문화를 살펴본다. 모든 유형과 무형 문화유산 간에는 태생적으로 친연적인 조합된 가치가 내재되어 있다. 현재 등록문화재는 ‘무형’은 등록 대상에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놀이유물의 경우만 놓고 보더라도 놀이에 담겨있는 전통지식, 놀이하는 방식, 놀이도구를 제작하는 방법 등과 같은 무형적인 속성이 많다. 때문에 유형문화재적 특성에만 초점을 두지 않아야 한다. 현행 문화재 지정제도에서 이러한 유형과 무형의 친연적 속성을 제대로 보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 등록문화재 제도라고 생각한다.

      • 숙련변화에 따른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정성미,오은진,노우리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우리나라 여성 노동시장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성별 임금격차는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며 수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2012년 이후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해 2016년 이후 성별 임금격차가 가파르게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30%에 달하는 높은 수준임.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고학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동안 숙련의 대리변수로 사용했던 학력수준으로 성별 임금격차를 설명하기 어려워짐. 또한 남성 중심의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산업사회에서 요구되었던 숙련과 여성이 다수 분포하고 있는 서비스 기반 사회에서 요구하는 숙련은 다를 것임. 더구나 최근들어 기계발달로 전통적 숙련이 이미 기계나 컴퓨터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숙련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됨.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에 분석하던 방식으로 여성노동시장을 해석하여 성별 임금격차를 살펴보기에 어려움이 따름. ○본 연구는 노동시장의 일자리 특성 및 임금과 연관이 높은 숙련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숙련에 따른 일자리 변화와 임금과의 관계 그리고 성별 임금격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이를 위하여 직무기반으로 작업(task)에 필요한 숙련의 내용 및 수준을 이용하여 공통요인으로 묶이는 숙련에 따라 일자리 변화와 이에 동반되는 성별 임금격차의 원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장기적인 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것임.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의 현황과 기록학적 분석 시론

        정성미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50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was a nationwide movement from the bottom of the uprising, which opened Korean modernization. Before and after the said revolution, the map of East Asian powers changed. It was an event with very significant meaning. When the revolution occurred in 1894, the peasant revolutionaries could not escape from the yoke of the traitors who rebelled. However, as time passed, recognition of the event also changed. Since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994, concerns and interests regarding the event have increased. Studies on this revolution have also been invigorated, thus shedding new light on the incident. By focusing on the historical sources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is article, the current status and archive of the event is studied, its value reviewed, and its collection, classification, arrangement, and description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val studies. 1894년에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은 전국에 걸쳐 일어난 밑으로부터의 항쟁이다. 이 사건은우리나라 근대화의 서막을 열었으며 이 사건을 전후로 동아시아의 세력판도가 달라지는 전환점이 된 의미가 큰 사건이다. 동학혁명에 대한인식은 1894년 당시 동학농민군은 반란을 일으킨 세력으로서 역적의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근현대의 질곡을 거쳐 점차 변화되었다. 마침내 1994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을 기점으로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연구도 활발해지면서 재조명되었다. 본고에서는 동학농민혁명사료를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의 현황과가치 및 성격을 살펴보았으며 시론적으로 기록학적 관점에서 수집과분류, 정리와 기술에 대해 검토하였다.

      • KCI등재

        강화되는 지역정체성이 향제줄풍류에 미치는 영향

        정성미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Wha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s the change which happened by the tension between gyeongje and hyangje. Gyeongje julpungryu which settled safely in major musical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has become very threatening to hyangje julpungryu. The tension between the two has become a momentum driving a new change. Namely, as new pungryu groups are organized, solidifying the local communities those groups belong to. Especially, pungryu groups containing leaders with strong driving forces, grow as a kind of cultural campaigns, seeking popular activities. Strengthening of local identity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sense that it serves as a motive for a new pungryu group can come into being. However, recent efforts by members of pungryu groups to make orally inherited pungryu songs into scores play a negative role of making music which is one-time, not-leaving-trace, incessantly moving being into something fixed and stereotypical. W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pungryu groups which were originally expansive in network exchanges become closed ones. It is partly because of the fact that they are cultural assets. But, it is also because of strengthening local identities where only the members of a specific group can play the music. Even if pungryu groups advertize preservation of tradition, the preservation or transmission should be made in a new paradigm. They should not be stereotypical pungryu music in specific regions protected by the institu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Rather, the groups should continue to invent logic to counter institutional and state ideology. Through such an energetic regeneration process, transmission of pungryu music over generations naturally takes place. a new experiential world must be constructed in a wa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ld times. As the thesis that "We are proud of hyangje julpungryu, because it is culture of sharing and onjoying together" was important to the pungryu men in the past, current pungryu men need to create thesis which is generated and within groups, and distributed to the people, and enjoyed by people. The, this heritage can become sustainable.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경제(京制)와 향제(鄕制)와의 긴장관계가 발생하면서 나타난 변화이다. 주요 음악기관과 교육계로 안정적으로 편승한 경제줄풍류(京制줄風流)는 향제줄풍류(鄕制줄風流)의 전승에 매우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다. 이로 인한 경․향간의 긴장은 새로운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이 된다. 즉 새로운 풍류단체가 생성되면서 지역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특히 강한 추진력을 가진 리더가 있는 풍류집단에서는 일종의 문화운동으로도 확장되어 대중적인 실천 활동을 모색한다. 지역정체성의 강화는 분명 새로운 풍류단체가 생겨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풍류모임의 구성원들이 요즘 들어 더욱 열의를 보이고 있는 악보화 작업은 일회적이고 자국이 남지 않으며 끊임없이 생동하는 실체인 음악을 고정화․정형화 시키는 부정적인 역할도 한다. 본래 네트워크 교류 확장적이었던 풍류집단의 성격이 폐쇄적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문화재 종목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점차로 다른 지역에서도 강화되는 지역 정체성으로 인하여 특정 단체에 소속된 사람만이 그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폐쇄적 집단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풍류단체의 경우, 전통의 보존이라는 표제어를 전면에 내세우더라도, 이때의 보전이나 전승은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행해져야 할 것이다. 무형문화재 제도 아래서 정형화된 해당 지역만의 풍류음악이 아니라, 오히려 제도와 국가적 이데올로기에 맞설 수 있는 대응논리를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렇게 활발한 재생산 과정을 통해 세대와 세대 간의 소통을 통한 전승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전통시대 전승되어 온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새로운 경험세계를 구성해 가야 할 것이다. 향제줄풍류는 “나눔과 어울림의 문화여서 자랑스럽다”는 명제가 과거 선배 풍류인들에게 매우 중요했듯이 앞으로 집단 안에서 생산해서 유포하고, 대중들이 향유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명제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이 유산이 지속가능하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