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소설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수업방안 연구

        정선희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7

        본고에서는 고전소설의 현대적인 의의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고전소설을 원천 소재로 하여 현대문학이나 문화 예술 분야의 작품을 창작하거나 기획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대학에서의 실제 수업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계와 문화계에 반향을 불러일으키기를 기대한다. 수업시간에는 먼저 고전소설을 활용한 기존의 문화콘텐츠들을 분석하여 그 장단점을 알아보았고, 문화콘텐츠 매체별 특성과 흥행 요인, 기획 시 유의할 사항 등에 대해 논하였다. 이후에는 자신이 소재로 활용할 고전소설 작품을 깊이 있게 읽고 숙고한 뒤 이를 어떤 방식으로 재창작할 것인지에 대해 간략하게 발표하도록 함으로써 새 작품의 문제의식과 주제, 분위기 등에 대한 얼개를 잡도록 하였다. 한학기 수업의 후반부에는 기획서를 발표하게 함으로써 작품의 스토리라인, 캐릭터, 영상 또는 연출 기법, 제작 방식, 연계 상품 등을 제안하게 하였다. 영화, 드라마, 게임, 뮤지컬, 웹툰, 전시회, 방 탈출 카페 등 다양한 매체로의 기획 가능성을 보여주었는데, <운영전>과 <만복사저포기>는 영화로, <박씨전>은 드라마로, <김현감호>는 영화와 드라마로 재창작하려 하였다. 특히 과거와 현재를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 시간여행의 방법을 무엇으로 할지, 배경과 영상을 어떻게 살릴 것인지 등에 대해 고민하였다. <홍길동전>과 <오유란전>은 뮤지컬로 기획하였는데, 최근의 사회 문제들을 예리하게 담으면서도 독창과 합창, 춤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흥겨움을 살리고자 하였다. <호질>, <장화홍련전>을 변용하여 게임의 시나리오를 만들기도 하였는데 게임의 특성상 기획서만으로는 실행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색다른 기획은 <숙영낭자전>을 소재로 하여 회화 전시회를 하겠다는 것과, <강도몽유록>을 소재로 방 탈출 카페를 만들어보겠다는 것이었다. 화가들에게 소설의 중요 장면을 설명하여 그림으로 그리게 한 뒤 전시 회를 열고 소설 설명자와 화가, 관객과의 대화의 장을 마련하면 효과적일 듯하였 다. <강도몽유록>은 십여 명의 여인들이 자신들이 전쟁으로 인해 억울하게 죽은 사연을 이야기하는 소설이므로 방마다 다른 이야기와 비밀들을 숨겨 놓아야 하는 탈출 카페의 시나리오에 적절하였다. 본고는 고전문학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읽힐 문학으로 살아 남기 위해 고전문학 전공자이자 인문학자들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를 고민하는 가운데 시도한 대학교육방안에 대한 중간보고이다. 고전소설을 소재로 하여 현대의 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 창작하는 일이 다소 생소하고 어려운 면이 있어 시행착 오를 겪기는 했지만 고전문학의 매력과 잠재성을 전파하고 확산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라 여겨졌다. 다만 고전소설의 재해석과 정체성 문제에 있어 기획자가 소신과 주제의식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현대인의 감성을 읽어낼 힘을 지니고 있어야 제대로 된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또 이런 기획 과정을 대학에서 교육할 때에는 발표와 토의, 조원의 공동작업을 강화하고,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 과 액션 러닝(Action learning) 등 적절한 수업 방법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문화기술지 기반 수업 ‘주목하기’의 교수학습 개선 효과 : 체육 수업을 중심으로

        정선희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5 문화예술융합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교수자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골프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목하기(noticing)’ 개념을 기반으로 한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교수자는 자신의 골프 실기수업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수업 중 주목한 교수 측면을 자기연구 형태로 기술하였으며, 수업지도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Spradley(1979)의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자가 골프 수업 운영에서 주목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수업의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고, 수업 설계와 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학습 활동은 설계, 실행, 성찰의 3단계로 구성되며, 이론적 이해, 기술 체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셋째, 수업 운영 방식은 기술 지도와 매체 사용에 중점을 두어 체계적 기술 전수와 매체 자료를 통한 이해 증진을 도모하였다. 넷째, 평가 방식은 과정 중심의 평가와 중간·기말고사를 통해 기술 습득과 기능 향상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자문화기술지 방식으로 교수자가 중점적으로 다룬 내용과 그 이유를 분석하며, 향후 골프 수업 설계와 운영에 필요한 교수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in golf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by utilizing the concept of ‘noticing’ based on autoethnography methodology. The instructor observed and recorded their golf classes, documenting the aspects they focused on during the course as a form of self-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eaching journals and analyzed using Spradley’s (1979) domain and taxonomic analysis methods. The findings revealed the key aspects the instructor focused 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golf class: First, the instructor aimed to clearly understand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course, as well as the design and value of the class. Second, learning activities were structured in three stages—design,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and aimed to maximize learning effectiveness through theoretical understanding, skill practice, and interaction. Third, the instructional approach emphasized skill guidance and the use of media to systematically convey techniques and enhance understanding through media materials. Fourth, the evaluation method involved process-oriented assessment along with mid-term and final exam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skill acquisition and functional improvement.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the instructor focused on through the autoethnography approach and provide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future golf course design and operation.

      • KCI등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속 제문(祭文)을 통해 본 바람직한 남성상

        정선희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9 No.-

        This paper investigates aspects of funeral oration in the Samdaerok of Korean Novels, and analyzes funeral orations for male characters to investigate which virtues and characteristics of male characters were praised. In So-ssi-samdaerok and Jo-ssi-samdaerok there were funeral orations for the concubines of the main characters fathers, and in Hyun-mong-ssang-ryong-gi there were funeral orations for the wives of the main characters. These funeral orations praise the women’s daily lives and good deeds, and express deep sorrow. In comparison, funeral orations for male characters such as Jin Gong in Yu-ssi-samdaerok and Cho Gong in Jo-ssi-samdaerok illustrate their talents, personalities, characteristics and walk of life in detail. Thus, Jin Gong has an image of a male who is good and loyal to his parents, magnanimous, virile and smart, and loves learning. Cho Gong has an image of a male who is considerate, impressible, incorrupt and modest, and has foresight and spirituality. The fact that these two male characters’ talents are both similar and different is related to the direction and the atmosphere of the whole narration of each novel. In Jo-ssi-samdaerok, Cho Gong does not have a character flaw, so his wife does not suffer from him but suffers from persecution by other bad men, while in Yu-ssi-samdaerok Jin Gong is vigorous and easily carried away by his emotions, so Princess Jinyang, who is a holy woman, suffers inner conflicts and ends her life in unhappiness. 본고에서는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삽입된 제문의 양상을 살핀 뒤, 그 중 남성 인물에 대한 제문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어떤 덕목과 특성이 바람직하다고 칭송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소씨삼대록」, 「조씨삼대록」에는 주인공의 서모들의 제문이 들어 있었고, 「유씨삼대록」, 「현몽쌍룡기」에는 주인공 아내인 진양공주, 양정렬의 제문이 들어 있었다. 여기서는 주로 그녀들의 일상과 선행을 칭찬하면서 슬픈 마음을 가눌 수 없음을 토로하였다. 이에 비해, 남성 인물에 대한 제문에서는 「유씨삼대록」의 진공, 「조씨삼대록」의 초공 모두 그들의 자질, 품성, 특성, 행적 등을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었다. 그래서 진공은 효도하고 충성하면서도 호탕하고 웅건한 성품을 지녔고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는 남성상이었음이, 초공은 자상하고 감성적이면서도 예지력과 영험함, 청렴함과 겸손함을 지닌 남성상이었음이 드러났다. 두 작품 모두 형제 중에서 비중이 더 큰 인물의 성품에 대한 품평이 잦았고 제문도 그들을 위해서만 지어졌다. 하지만 두 남성의 자질은 비슷하면서도 달랐는데, 이것이 작품 전체 서사의 방향과 분위기와 관련되어 있었다.

      • KCI등재

        자기추측 MBTI 성격유형과 원예선호도간 관련성 분석

        정선희,이상미,허무룡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7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0 No.1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in terms of MBTI personality types and horticultural preferences, where the MBTI personality types were obtained from the predicted results from the typical expressions of the Korean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s self-speculation MBTI preference indicator. The analysis results were organized into two types: intuition type and sensing typ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uition type preferred the herbs with fragrances, while the sensing type showed their preference towards flowering plant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uitive and sensing types with respect to ‘five senses that are the most stimulating in the horticultural process’, ‘plant characteristics’ and ‘interesting horticultural activities’, which imply that different types have different choices. In the comparison between thinking type and feeling type, the thinking type showed their interest in the overall shape of the plant, while the feeling type showed their first interest in the flowers of the plants. The result showed that thinking type and feeling typ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degree of preferences in horticultural activities’, ‘initially interested plant tissues’, ‘five senses that are the most stimulating in the horticultural process’ and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Regarding the judging type and perceiving type in their choices of plant characteristics, the judging type preferred flower plants, while perceiving type preferred herbs with fragrances. The results of self-speculation MBTI personality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regarding the most interested plant tissue and plant characteristics, which leads to a difference in their choices.

      • KCI등재

        모호함을 마주하는 인간의 불안에 대한 연구 - 폴 틸리히(Paul Tillich)와 멜라니 클라인(Melanie Reizes Klein)의 목회상담적 대화 -

        정선희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본 논문은 인간이 피할 수 없는 모호함의 영역을 마주할 때 느끼는 불안에 대한 연구이다. 목회상담의 장에서 알 수 없는 고통과 고난으로 멈추어 서 있는 내담자와 그럼에도 미지의 영역으로 믿음의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함께 그 현장에 서 있는 목회 상담자 모두는 모호함의 영역에 갇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그 모호 함을 견디느냐는 단순히 상담의 결과를 넘어 인생을 살아가는 모든 인간에게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호함을 마주할 때 일어나는 불안에 대해 고찰하며 목 회상담 현장에서 목회상담가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한다. 이를 위해 불 안에 대한 신학과 심리학에 대한 문헌연구를 시도한다. 특히 불안에 대한 신학적 접근을 통해 존재의 용기를 논하는 폴 틸리히(Paul Tillich)의 접근은 실존적인 인간의 구조와 한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는 유한 한 인간이 처한 소외상태는 늘 비존재의 위협 속에 불안할 수밖에 없음을 논증한다. 또한 인간의 죽음 충동의 어두운 면을 조명하며 불안을 심리학의 주요 주제로 삼은 멜라니 클라인(Melanie Reizes Klein)의 두 자리 이론에 대한 연구는 불안을 투사하는 대상과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내담자가 불안에서 벗어나고자 자신을 향한 공격성을 대상에게 투사해 분열시킬 때 상담가가 이를 담아주고 좋은 대상관계로 재경험하도록 돕는 일은 성숙의 과정이 다. 특별히 상담 장면에서 불안을 투사하는 내담자에게 상담적 기술로 이를 분석하고 불안을 감소시키고 제거하기보다 자신의 고통을 드러내도 괜찮은 안전기지로서의 목 회상담의 장을 형성하는 것은 목회상담의 중요한 본질적인 요소이다. 그리고 그 안전 한 공간에서 목회상담가는 내담자와 함께 모호함을 마주하는 존재할 용기를 지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회상담 관계에서 모호한 영역을 마주하려는 시도에서 의미가 있으며, 특별히 불안에 대한 신학적이며 심리적인 대화를 통해 목회상담의 고유성을 발견해 나간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human anxiety when faced with the inevitable areas of ambiguity. In pastoral counseling, both the client, who is stuck in a place of unknown pain and suffering, and the pastoral counselor, who is still there with the client to help them take a step of faith into the unknown, can be stuck in a place of ambiguity. How to endure ambiguity in such a situation is an important task for all human beings in life beyond the outcome of counsel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anxiety that arises when facing ambiguity and discusses how pastoral counselors should exist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review of the theology and psychology of anxiety will be conducted. In particular, Paul Tillich's theological approach to anxiety, which discusses the courage of being, helps u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limitations of existential human beings. He argues that the alienation of finite human beings is always accompanied by anxiety over the threat of non-existence. Melanie Reizes Klein's work on the two-digit theory, which has made anxiety a major topic in psychology by shedding light on the dark side of the human death drive, also gives us insight into who projects anxiety and how to exist. The process of holding and re-experiencing a good relationship with a client who is projecting his or her aggression onto an object in order to escape from anxiety is a process of character development. Especially for clients who project their anxiety in the counseling setting, it is an important essential element of pastoral counseling to analyze it with counseling skills and to create a safe space where it is okay to reveal their pain rather than reduce and eliminate their anxiety. And in that safe space, pastoral counselors must have the courage to be present to face ambiguity with their clients. Therefore, this study is valuable in its attempt to confront the unknown and ambiguous areas of pastoral counseling, and in particular, to discover the uniqueness of pastoral counseling through an theological and psychological conversation about anxiety.

      • KCI등재

        고전소설에서 죽음을 선택한 여성의 감정과 반응들

        정선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Since women who lived in late Joseon dynasty had little freedom of expressing their opinions, their speaking to someone and the world is very meaningful in itself. Moreover, what and how they spoke in the presence of their impending death is very important.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cases of women characters in Korean classical novels who spoke about their feelings in the presence of their impending death. Those women characters are found in <The Story of Woon-Yeong>, <Samhanseubyu>, <Maiden Suk-Young>, <Jusaengjeon>, <Simsaeng jeon>, <Yussisamdaerok>. Some of them said they bore a grudge about being unloved, and some did not cling to love and resigned themselves to fate. Others placed filial duty above love and said love was futile. Each woman character had a difference reason for her determination of death, such as for expressing her will, out of desperation, being unable to overcome the grief, due to sense of guilt and shame or feeling anger.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death of those women characters by examining the emotions of family and other people who judge their death. Their reactions were different for each work. There were cases in which a lover or husband recognized the love of a woman and renounced the world while being sick together, expressed love more strongly, or regretted that they had not met in life even wanting to meet after death. In Korean classic novels, through the death of female characters, through what they say in the face of death, through her emotional expressions, it is highlighted what she wanted to say to the world and the issues the writer wanted to raise in the work. The reason female characters chose death was because of their natural emotions rather than ideological or ethical judgments. 본고에서는 고전소설 중에서 작품 중간에 죽음을 선택한 여성들이 죽음에 처했을 때에 어떤 말을, 어떤 감정으로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운영전>, <숙영낭자전>, <삼한습유>, <주생전>, <심생전>, <유씨삼대록>에서 이러한 여성 인물들이 발견되는데, 사랑과 자기 성취에 대한 간절함을 표출하면서 원한, 불안, 공포, 감사, 죄책감을 드러낸 경우, 정절 훼손 모해로 원통함, 당혹감, 수치심을 드러낸 경우, 자존감, 자부심, 의지로 현실에 저항하면서도 슬픔을 이기지 못하는 경우 등 적극적인 자기표현으로써 자결한 이들이 있었다. 이들보다는 소극적인 자기표현으로 죽음에 이르는 경우들에서는, 자책, 낙담, 한으로 가득하여 우울, 마음의 동요, 자기 억제 등의 감정을 겪으며 병들어 죽은 이들, 울화와 반감이 쌓여 서서히 죽어간 여성들이 있었다. 같은 애정전기소설 속 여주인공들이지만, 운영은 자존감, 감사, 죄책감을, 배도는 포기와 낙담을, 소녀는 자책과 한을 드러내면서 죽음에 이르렀다는 면에서 달랐다. 한편, 조선후기 여성들의 삶을 비교적 현실적으로 담고 있다고 하는 국문장편소설 속 여주인공인 진양공주는 삶과 죽음을 대하는 면에서도 상층여성의 심리를 대변하는 면이 있었다. 내적 분노를 침묵으로 삭이거나 발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때에 병들어 죽곤 했기 때문이다. 죽어간 여성인물에 대한 타인의 반응들도 작품마다 달랐는데, 애인이나 남편이 여성의 사랑을 알아주고 같이 아파하면서 세상을 등진 경우도 있었고, 더 강하게 사랑을 표현한 경우도 있었으며, 생전에는 만나지 못했던 것을 아쉬워하며 사후에라도 만나고 싶어 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고전소설에서는 여성 인물의 죽음을 통해, 그녀들이 죽음에 직면해서 말하는 것을 통해, 그녀의 감정 표현을 통해, 그녀가 세상을 향해 말하고 싶었던 것과 작품에서 문제제기하고 싶었던 것들을 부각시켰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인물들이 죽음을 선택한 것은 이데올로기나 윤리에 경도되고 침윤된 의식적 판단이기보다는 한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들 때문이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