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회논문]개인 및 조직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이원 네트워크 분석과 MR-QAP 방법론 활용을 중심으로

        정보영 ( Boyoung Jung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3 지식경영연구 Vol.24 No.4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values and orientation in shaping the competitiveness of a multinational company (MNC) based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variables on the competitiveness attribute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 through MR-QAP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employees in 15 different teams at a Korean automotive company headquartered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impact of network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ompeti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competitivenes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ompetitiveness.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 social responsibility, supportiveness, innovation, and performance orient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petitive organizational culture, while emphasis on rewards and stability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es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dynam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moting strategic approaches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희귀한 부위, 유두에서 발생한 사마귀모양암 1예

        민재 ( Min Je Jung ),김혜원 ( Hye One Kim ),강석영 ( Seo Young Kang ),김진철 ( Jin Cheol Kim ),정보영 ( Bo Young Chung ),박천욱 ( Chun Woo Park ) 대한피부과학회 202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9 No.3

        Verrucous carcinoma is a rare, low-grade, well-differentiated varia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t occurs mainly on the soles, but has also been reported in other locations, including the buttocks, hand, anus, and genitalia. A 38-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n asymptomatic skin lesion of the nipple. She first noticed the lesion three months prior. A solitary, cauliflower-shaped, black polypoid mass was observed on her right nippl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superficial lesion resembling verruca vulgaris. It was composed of relatively well-differentiated cells with severe epidermal proliferation, and some tumor cells were observed in the dermis. The final diagnosis was verrucous carcinoma. Complete excision of all the lesions was performed. The patient had no recurrence. We report an interesting case of verrucous carcinoma that occurred at a relatively rare site; only one previous report of verrucous carcinoma associated with the breast or nipple was found. (Korean J Dermatol 2021;59(3):234∼236)

      • KCI등재

        백석 시 연구

        정보영(Jung, Bo-Young)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4

        그간 백석 시 연구는 주로 그의 과거지향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전근대와 근대가 길항하는 시기 백석이 보여준 전통적 세계는 더 이상 갈 수 없는 세계에 대한 갈망이었으며, 그와 같은 과정을 통해 종합적으로 ‘갈매나무’로의 선택을 하게 된다. 이는 그가 과거 전통적 세계가 복원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이며,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하게 되는 것이다. 본고는 기존 연구에 동의하지만, 그렇다면 ‘갈매나무’에 이른 뒤 소급적으로 그의 시를 보게 될 때 역시 그의 과거지향성이 유효한가에 대한 의문을 갖는다. 소급성은 현재의 행위를 통해 과거의 의미가 뒤바뀌게 되는 것을 뜻한다. 과거의 행위들이 점진적으로 연결되어 현재 행위의 결과를 만들어 낸 것이 아니라, 현재 행위를 통해 과거의 잠재되어 있던 행위는 달라지며, 그 의미를 다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소급적으로 보는 백석 시는 그간 드러나지 않았던 그의 삶에 대한 의지를 엿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반복되는 실패 양상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소급적으로 백석 시를 본다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출발한다. 첫째, 최근의 백석 시 연구는 그가 북에서 창작한 작품까지 연구되고 있다. 그가 북으로 가기 전까지 발표한 작품들은 어느 정도의 연구가 이뤄진 것이 사실이며, 기존 연구의 해석 틀 안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백석시 연구는 완결적 위치에 이르렀는가. 그렇지 않다. 현재의 시점에서 소급적으로 다시 보게 되는 백석 시는 또 다른 층위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새로운 지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소급적으로 백석 시를 본다는 것은 새로운 의의를 갖게 된다. 마지막 한 가지는 백석이 과거의 여러 기억들의 영향 속에서 결국 ‘갈매나무’에 이르게 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단지 ‘갈매나무’에 이른 것이다. 결과적 측면으로 그것에 이른 게 아니며, ‘갈매나무’로의 선택을 하였기 때문에 백석의 과거는 또 달라지게 된다. 특히나 그의 시에서 나타나는 텅 빈 세계, 사라진 세계에 대한 형상은 단순히 그의 쓸쓸한 정서만을 함의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은연중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며, 현재를 살아내기 위한, 말하자면 지양(止揚)을 위한 행위였던 것이다. 외롭다거나 슬픈 감정의 토로의 이면에 숨겨진 실패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고에서는 「남신유동 박시 봉방」에서 나타나는 생각의 층위를 다섯 가지로 나눠 ‘갈매나무’에 이른 순간을 확인할 것이며, 이후 소급적으로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 「수라」까지 과거에 드러나지 않았던 실패의 양상을 통해, 즉 불가능성 속에서 그가 진정으로 찾고자 했던 가능성이 무엇인지 논의해볼 것이다. 더불어 내적 의식이 무엇인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백석 시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시선을 견지할 수 있는, 활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So far, the study of Baek Seok’s poetry has been mainly focused on his past oriented disposition. The traditional world of Baek Seok’s time when the pre-modern and the modern period were antagonistic was a desire for a world that can no longer go. Baek Seok makes a choice of ‘Dahurian buckthorn Tree’ comprehensively through this process. This is the moment Baek Seok realizes that the traditional world can not be restored, and establishes his subjectivity. We agree with the previous study, but I doubt whether his past orientated disposition is valid even when we reach ‘Dahurian buckthorn Tree’ and then retrospectively read Baek Seok’s poem. ‘Retroactively’ represents the change of the past behind meanings through the current act. Not the way past actions are progressively linked to the outcome of the current action, but the way present actions become potential behavior of the past changes, and the meaning of the past can be grasped again. Retrospectively read Baek Seok’s poetry make readers see the will of his life which has not been revealed yet, which emerges with repeated failure patterns. Looking back at Baek Seok’s poetry retrospectively starts in two respects. First, recent Baek Seok’s poetry studies have been analyzed from his works in North Korea. It is true that the works he published before he went to North Korea has been studied up to a certain level, and the results hasn’t far progressed from the interpretive framework of existing research. If so, has Baek Seok’s poetry research reached its final position? No it has not. Baek Seok’s poetry, which is retrospectively revisited at the present time, provides a new point to look at another level. Therefore, it gives us a new meaning to see Baek Seok’s poetry retrospectively. One last thing is that Baek Seok did not finally reach the ‘Dahurian buckthorn Tree’ in the influence of past memories. He just reached the ‘Dahurian buckthorn Tree’. Baek Seok’s past changes because he did not come to it as a final conclusion and did make a choice of ‘Dahurian buckthorn Tree’.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the empty world, the lost world in his poem is not merely embracing his lonely emotion. It was an implied act of progressing in order to live up to his identity and live for the present, so to speak. You will be able to see the hidden aspects of the failure behind his confession of lonely or sad feeling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see the moment of reaching ‘Dahurian buckthorn Tree’ by dividing the level of thought that appears in 「South Sinuiju Yudong Park Bong Bang」 into five categories. Moreover, by retroactively reading 「The village has become a ghost in all directions」, 「The white Donkey, Natasha and Me」 and 「Sura」 we will find out the aspect of failure that has not been revealed in the past and discuss what the likelihood he really sought in impossibility. In addition, we want to analyze what is inner conscious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of Baek Seok’s poetry will provide a way to stand a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조직학습활동에서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정보영(Boyoung J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의 단일고리학습활동이 삼중고리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중고리학습활동이 매개하는지, 또한 이 매개효과를 연구자 연령이 조절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지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연구자이며 자료수집에 있어 유의표집을 활용하였고, 결측치와 이상치를 제외한 총 274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활용하였으며, 변인간 관계 구명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Hayes가 제시한 PROCESS 모형(model 14)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삼중고리학습활동은 선행변인으로 지목한 단일고리학습활동, 이중 고리학습활동 등과 각각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가설로 설정한 이중고리학습활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의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을 채택하였다. 즉,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가 조직학습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단일고리학습활동은 이중고리학습활동을 거쳐 삼중고리학습활동을 촉발시키며, 이 가운데 연령이 높을수록 고차원적 학습활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정부출연 연구기관 종사자의 조직학습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과학기술 인재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on of double-loop learning activity with age as a moderator in the effect of single-loop learning on triple-loop learning activity of researchers working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ith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study as the researchers working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purposive sampling was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total of 274 respondent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with exclusion of missing data and outliers. Th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etc. were utilized along with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Hayes’s PROCESS model (model 14)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triple-loop learning activity of researchers working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as found to have correlation with single- and double-loop learning activity. In addition, medi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on of double-loop learning activity with age as a moderator was shown to be significant, supporting the hypothesis of the study. Such results imply that as the researchers in a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develop organizational learning activities, the single-loop learning activity triggers the triple-loop learning activity through the double-loop learning activity, and that older the researchers are, more influence will be in effect on higher-order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su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activating organizational learning activities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on the talent development in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