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사에 관한 연구 현황 분석

        정모희 한국국악교육학회 2020 국악교육 Vol.49 No.49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이어져 왔을 국악교육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에 앞서 그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를 영역별로 분류하여 검토한 것이다. 먼저 교육학 영역 안에서 국악교육사를 살펴보고자, 한국교육사, 음악교육학, 국악교육학 안에서의 국악교육사와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고 음악사 영역인 한국음악사 안에서의 국악교육사를 살펴보았다. 이후 음악교육의 기능을 담당했을 국가음악기관 관련 연구와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논저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교육사에서는 음악교육에 관한 언급 자체가 소략하여 국악교육사에 대한 세세한 기술은 기대하기 어렵고, 음악교육학과 국악교육학에서도 국악교육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단행본은 찾기 어려웠으며, 국악교육을 위한 한국음악사라는 간단 서술 정도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 한국음악사의 여러 논저들은 국악교육사에 관한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있지는 않아 아쉬움이 있지만, 국악교육사 연구를 위한 훌륭한 지침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연구논저들 중 국가음악기관에 관해 음악사적으로 연구한 글들은 다수 보이지만 국악교육의 관점에서 연구한 논저들은 많지 않다. 그중,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간추려보면 6편이 대표적인데, 전인 교육적 관점에서의 연구, 국가음악기관의 교육관련 연구, 현대 교육적 관점에서의 전통음악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 관점의 논저들로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이제까지 한국음악 분야에 있어 전통음악 전승의 역사를 음악교육의 역사로 보는 시각이 미미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한국음악사와는 별개로 교육학적 시각에서 국악교육사가 하나의 학문영역으로 정립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학적 관점에서 각 시대별로 전승된 음악적 형태들을 찾고 그에 따른 교육 이념과 사상, 교육 목적과 내용, 방법 등을 정리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음악사를 통해 각 시대별 음악의 수용자, 향유계층을 밝히고 그 음악의 전승 형태에 대한 연구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reviews literatur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confirm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must have been passed through ancient times. First, I looked a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in Korean education literatures. Then I reviewed Music history literatures and literatur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Finally, explored literatures on Korean music history related to Korean education history. As a result, in Korean education literatures, music education is rarely mentioned, so detailed mentio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not expected. Also, in a lot of music history Music history literatures and Korean music history books, books that systematically summarized Korean music education history were difficult to find. It was only briefly mentioned as ‘Korean Music Hist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Research literatures on Korean Music Hist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does not directly include content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but they will provide great guidelines for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Among the research, many of them studied national music institute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history,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re are 6 research articles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y, and they can be put into three categorie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ll-round education, research of national music institute abou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Korean music scholar, and research abou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educ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how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passed down the generation was not typically considered a part of history of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as a separate academic field from history of Korean music. To achieve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Korean music, we must find the forms of music that were performed in each generation, and must organize educational philosophy, thought, purpose, and methodology accordingly. We must also identify the class which played and enjoyed music in each generation through exploring Korean Music History and systemize research on how each music has been passed down.

      • KCI등재

        영천 명주농악의 음악문화적 가치

        박소현,정모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2 국악교육연구 Vol.16 No.2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명주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명주농악’은 학계에서 논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주농악의 근원과 전승 계보를 추적하고, 현재 영천문화원의 지지로서 복원된 연행물의 연행과 음악적 특징을 조명하여 명주농악의 음악문화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명주농악의 유래를 소급하기 위한 마을의 유물유적과 함께 역사적 고증이 필요하지만, 명주농악이 정월달에 한 해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대보름 굿’에서 유래하였다는 점에서 충분히 근원을 소급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둘째, 명주농악은 전승과 계보에 대한 충실한 기록 보존이 다소 미흡하지만, 영천시를 대표하는 음악 문화이자 민속놀이로 풍부한 가치가 있다. 셋째, 명주농악의 판제 구성은 당제로부터 시작되어, 한해 농사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 전형적인 ‘두레농악’으로 지방 문화재로서의 보존과 전승의 가치가 있다. 넷째, 명주농악은 음악적으로 ‘질쇠[질굿가락]’, ‘탈쇠[자진모리]’, ‘춤쇠[굿거리]’ 등의 독특한 민속어휘가 쇠가락의 명칭으로 전승되어 다른 지역과 변별되는 특이점이 있다. 명주농악의 연행은 경상북도 동남부 지역권 농악의 전형적 특징이 있다. 당굿의 전통에서부터 비롯된 명주농악의 판제와 음악적 내용을 보았을 때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의 전통성과 향토성이 돋보인다. 이처럼 명주농악을 통해 전통 농경사회의 삶과 문화적 모습을 함께 엿볼 수 있음은 명주농악이 가진 전통 문화유산으로서의 소중한 가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