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애 유성룡의 정치활동과 임란 극복

        정만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Political life of Ryu Sung-Ryong(柳成龍) can divide wage by 3 steps of time that decide degree and country policy by time, time that take part in execution of country politics as main body bureaucracy, being in mourning that take part in politics by Eongwan. It was time that his mellowed political skill has been accumulated when is Hidyoshi's Invaion of Korea in 1592. While political situation of government just before Hidyoshi's Invaion of Korea in 1592 is spindle that is other people who to Jeongyeorip black hole problem three be, discord was serious. This situation was not improved Hidyoshi's Invaion of Korea in 1592 happens, when Yun Du-Su(尹斗壽) that war early three be guides political situation, Seoae helped in preparation of armaments and Pyongyangsung(平壤城) reclamation as Pyeongandodochechalsa. After capital city is reclaimed, he took the supreme command of war as prime minister between about 6 years until war is ended getting into being in mourning. Because political situation stability and concentration of bureaucracies capacity need preferentially to do, Seoae was not courted greatly to faction and selected competent person in right man and right place. He could get statutory cooperation from Yun Du-Su, Sung Hon(成渾), Sin-Heum(申欽) Lee Hang-Bok(李恒福) etc. that is three that differ political party consequently. And specially, received help in reinforcement with Japan that Ming dynasty forces from Lee Jeong-Am(李廷馣). In the meantime, received fixed cooperation from Bukins but received rejection from underwear Jeong In-hong(鄭仁弘) faction which spindle that insist Strong justification is by Juhwaoguk(主和誤國). But, Yuseongryong should fight with Japan army, and should receive assistance to person as suffering 7 years' war. Also, achieved various government authorization business of and so on that must take the responsibility relief of public welfare successfully gathering government's binding together and public discussion. 유성룡의 정치적 생애는 20~30대의 언관으로서 경연에 참여하여 군덕(君德)을 보필하던 기간과 30대 후반, 40대 초의 중견관료로서 국가정책의 집행에 참여하던 시기, 그리고 40대 후반 이후 의정(議政)으로서 임금을 도와 국가정책을 결정하던 기간의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중 임진왜란은 그의 50대로서 원숙한 정치적 기량과 그의 정치적 역량이 축적되어 있던 시기였다. 임진왜란 직전 조정의 정치적 상황은 정여립 옥사문제로 서인, 남인, 북인 사이에 갈등이 심하였다. 이런 상황은 임란을 만나서도 별로 개선되지 않았는데 전쟁 초기 서인 윤두수가 정국을 이끌 당시에 서애는 평안도도체찰사로서 군비의 마련과 평양성 수복에 힘썼으며 도성 수복 후 영의정으로 임명되면서부터 전란이 종료될 때까지 약 6년간 수상으로서 전쟁을 총지휘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국안정과 관료들 역량의 결집이 최우선적으로 필요하였기 때문에 서애는 붕당의 색목에 크게 구애되지 않고 인재를 적재적소에 발탁하였다. 그 결과 당색을 달리한 서인 윤두수나 성혼, 신흠, 이항복 등으로부터 국정의 협조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이정암으로부터는 명나라가 강요하는 일본과의 강화에 도움을 받았다. 한편 북인들에게서도 일정한 협조를 받기는 했으나 강경명분론을 주장하는 북인 내의 정인홍 일파로부터 주화오국으로 배척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7년 동안의 전란기간동안 유성룡은 밖으로는 일본군과 싸우면서 안으로 명에 대한 지원과 함께 민생의 구제를 책임져야 하는 다난한 국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조정의 화합과 결속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중지(衆智)를 모아 그런 국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던 것이다. 임진왜란을 만나 서애의 군사적 능력은 물론 이를 뒷받침하는 정치적 능력 또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星湖學의 家門的 배경

        정만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논총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history of learning of Seongho. Seongho Yi-ik ’s family was the local power of Kyungki-Do Yo-Ju region,and entered the main stream political world as a military soldier in the middleperiod of Koryo Dynasty. During the end of Koryo and the biginning of Joseon Dynasty, they transferred to a civil official’s family and became the Literati Stratisfication and moved their homeland to Su-Won, An-San. Yi Kye-Son honored the family by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and he he was understood a meritorious retainer. Later on, they resided for generationsin Seoul Sojeong-Dong and earned the literature title for the family. Yi Sang-Eui, the great grand father of Seongho, was noticed by his achievement turning the Seongho family into a Literati and grounded the learning of Seongho. Hehas served his king as the semi-Premier, but during the King Seon-Jo era, while the Dongin Party and Seoin Party seceded from the political literati, he was recognized as a Dongin party. However, during the King In-Jo era, Yi Sang-Eui served as a Bukin party member for a little while and then became a Namin party member. But his interestrelied in increasing his social network through marriage rather than politics. As a result he had 11 children (7 sons and 4 daughters), and their spouses were all from a very prestigious family in that era. Yi Sang-Eui’s social network, during the 17th century from King Hyo-Jong to King Suk-Jong, became the ground understanding of his descendants’ academic and political actions. However this type of family background hindered Seongho’s political success, such as: his father, Yi Ha-Jin’s actions as a Namin party member, and his brother,Yi-Jam’s noron party attack on the memorial to the king. However Yi Sang-Eui’s actions helped Seongho to form an academic transmission based on social network with Yi Won-Jin, Rye Heong-Won and Hur-Mok. It also became the origion of the practical science, in which the basis is on New-Cofucianism and from the learning of Administration that was descended from the Confucianism. 이 글의 목적은 성호학의 유래를 찾으려는데 있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알게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성호의 집안은 원래 경기도 여주지역의 토착세력이다가, 고려중기의 무인집권시대 무장으로서 중앙정계에 진출했다. 여말선초의 변혁기에 문관집안으로 전환해사족이 되었으며 수원, 안산일대로 거주지를 옮겼다. 조선초기에 집안을 일으킨인물은 李繼孫으로 대체로 훈구계열 인물로 파악되는데 이후 서울 小貞洞에 세거하며 文翰하는 집안으로서 이름을 얻게 된다. 성호집안을 사림계로 전환시키면서 가문을 일으키고 성호학 성립의 토대를 닦은 인물은 성호에게 증조부되는 李尙毅였다. 그는 벼슬로도 좌찬성에까지 올랐지만 선조연간 동서인 분당시 동인, 다시 북인을 거쳐 인조 이후는 남인으로 활동했는데 정치적 활동보다는 혼인을 통한 인맥구축에 더욱 힘썼다. 그 결과 7남 4녀의배우자들은 대부분 당대의 명문가자녀들이었다. 이런 인맥이 효종에서 숙종연간에걸치는 17세기 동안 그 후손들의 정치와 학문활동에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가문적 배경은 때로 그 부친 李夏鎭의 남인관료로서의 활동과 仲兄 李潛의 집권노론공격상소처럼 성호의 정치적 진출을 가로 막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했다. 그러나성호로 하여금 李元鎭이나 柳馨遠 許穆과 같이 인맥으로 맺어진 학문적 전승을가능하게 하고, 성리학에 토대하면서도 선진유학으로부터 유래한 실용의 경세치용학에 힘쓰게 해 실학을 배태하였다고 하겠다.

      • 韓國 書院의 歷史

        정만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논총 Vol.29 No.-

        Korean Seowon(書院,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has been considered as a closing phenomenon of the time, so it could not avoid a negative valuation. However, Seowon had been a key to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hosun, the Lee dynasty. Especially, Seowon was very closely related to Sarim, which was a highly influential organization. The history of Seowon had begun in mid 16th century, originated from Seowon of Baek Woon Dong(白雲洞書院). Since 16th century, empowered by Sarim(士林, the Literati) who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political circles, Seowon started the role as a school for cultivating ‘Sarim of influence’, and as a mecca of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Eventually, Seowon provided a large number of Sarim to the political world. As a result, Seowon achieved to grasp the political power up to early 18th century, and this period of time was called "period of Sarim". Seowon was the very matrix of this "period of Sarim" and was one of the central organization that supported it. These Seowon end up its great duty by Tangpyung(蕩平, Impartiality) policy in 18th century and decline of Sarim following social change or down fall, and then it had transformed just as one of the clan organization of gentlemen. Seowon came out from official area of Sarim and it was under control of a clan functioning by being a private stake organization. It have to be undertood through this circumstance for the bad name, 'the lair of extraction against the commons', in later period of chosun. 한국 서원은 그동안 말기적 현상으로만 이해되어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서원은 조선시대의 역사 전개과정, 특히 사림이라는 사회세력의 변천과정과 밀접히 연관되면서 각 시대마다 그 내용과 역할을 변화시켜 나갔다. 한국 서원의 역사는 16세기 중반 백운동서원(후에 소수서원)부터 시작되었다. 16세기 이래 향촌에서는 물론 중앙 정계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던 사림세력에 의해, 사림 세력의 재생산을 위한 학교이며 향촌과 중앙에서 사회, 정치 활동을 전개하는 근거지로 기능하였다. 이를 통해 많은 사림을 양성하여 정계에 공급하였고 그 결과로서 16세기 후반 마침내 집권을 실현, 이후 18세기 초까지 ‘사림의 시대’를 주도하였다. 서원은 바로 이 ‘사림의 시대’를 있게 한 모태였고, 그것을 유지시키는 핵심기구의 하나였다. 이러한 서원은 18세기 탕평이라든가 사회변동에 따른 사림세력의 쇠퇴, 몰락으로 그 역사적 사명을 끝낸 채 양반들의 문중조직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사림의 공적 영역에서 벗어나 문중의 수중으로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문중의 사적인 이해관계를 위한 기구로 변화하였던 것이다. 조선후기 서원에 붙여져 온 대민착취의 소굴이란 표현은 이런 사정 속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