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졸자 지역이동의 구조 : 연고, 기회, 거리의 상호작용

        정동일(Jung, Dong-Il),박영민(Park, Young-Min) 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학 Vol.22 No.1

        대졸 인재의 역외유출 문제가 그 심각성을 더해가면서,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누적되고 있다.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보면, 대체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규명하는 연구, 개인 수준의 변수들을 활용한 미시적 연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지역이동의 방향과 규모 등에 관한 거시적 구조를 정밀하게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이 논문은 로그선형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대졸자 지역이동의 거시적 양상과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지역이동의 거시적 구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요소로 연고, 기회, 거리를 설정하고, 이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지역정착모형, 수도권집중모형, 근거리이동모형 등 세 가지 일반모형을 제시했다. 세 요소들 간의 좀 더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각 모형별로 2~3가지 세부적인 하위모형을 설정했다. 로그선형분석 결과, 이들 하위모형 중 규모차등적 지역정착모형, 거리-규모차등적 수도권집중모형, 비대칭적 근거리이동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졸자들은 대학 소재지에 정착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았으며, 정착효과는 수도권, 비수도권 광역시, 비수도권 도지역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수도권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수도권 흡인력에 취약했으며, 도지역 대졸자보다는 광역시 대졸자들의 수도권 이동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경제권 내에서 지역 간 이동도 비교적 활발한데, 특히 거점 광역시에서 인근 도지역으로의 이동이 그 반대 방향의 이동보다 2.5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거점 대도시들이 인근 지역으로부터 대졸자를 흡수하기보다는, 오히려 권역 내의 인재 공급지로 기능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출신과 비수도권 출신 간에 지역이동 양상이 매우 상이한 모습을 보인다. 수도권 출신의 비수도권 대졸자들은 수도권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매우 강했지만, 비수도권 출신의 경우 해당지역이나 인근지역에서 첫 경력을 시작할 가능성이 월등히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점들을 토의한다. The brain drain issue in non-Capital regions has been widely recognized and studied as critical social problems of our society. Although past research, mainly focusing on the outward migration of college graduates in specific non-Capital regions, ha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micro mechanisms affecting an individual graduate’s mobility decision,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acro patterns and structure of inter-regional mobility of college graduates. Using the log-linear models, the paper directly tackles this issue.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ree factors, social distance (yeon-go), opportunity distribution, and geographic distance, I introduce three generic models of regional mobility (retention model, unipolar model, and short-distance mobility model) and several sub-models, accordingly. Log-linear analyses reveal that the combination of size-differential retention model, distance-size-differential unipolar model, and asymmetric short-distance mobility model fits best to describe regional mobility structure of college graduates. Specifically, first, settlement effects are strongest in Capital regions and weakest in non-Capital and non-metropolitan regions. Second, Capital-neighboring regions are most vulnerable to Capital region’s pulling power and non-Capital metropolitan regions are the next, Third, while college graduates tend to move to near regions, mobility rates from metropolitan to non-metropolitan regions are 2.5 times stronger than the other way around, meaning that metropolitan regions function as an important talent distributor in broader economic zone. Finally, pre-college residence makes a big difference in mobility patterns; while college graduates originally from Capital region tend to return to Capital region, those originally from non-Capital regions are highly likely to settle down in the same non-Capital region or near aroun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ome potential research themes are suggested.

      • KCI등재

        국내 최초의 육상형 해양심층수 취, 급, 배수시설 건설

        정동호(Jung Dong Ho),김현주(Kim Hyeon Ju),문덕수(Moon Deok Soo),맹주영(Mang Joo Young)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3B

        국내 최초의 육상형 해양심층수 개발시스템이 건설되었다. 수심 300m와 500 m로부터 해양심층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해저면 위 혹은 아래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였으며, 경제성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해저면 예인법, 해수면 예인법, 부선선법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부설하였다. 취수관의 끝단은 항상 해저면으로부터 5m 이상 위치할 수 있도록 취수구 구조물을 설치하여 청정한 해양심층수가 유입되도록 하였다. 배수시설은 해조장 조성을 위하여 수심 7m 지점의 암반 위에 설치되었으며, 정온해역 상태를 선택하여 해수면 예인법에 의하여 부설되었다. 취수관을 통해 유입된 해양심층수는 사이펀 원리에 기초하여 자연낙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펌프피트를 DL (-) 4.8 깊이에 건설하였다. 현재 취,급,배수시설은 시운전 중이며 1000 ton/day 이상의 해양심층수를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해양심층수 개발을 위한 건설 기술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nstruction for Deep ocean water development in land-based system was carried ou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pipe reinforced with wire rope or steep pipe under or on the seabed was installed in order to intake DOW at the water depth of 300m and 500m by hybrid installation method which uses the bottom pulling method in shallow water and surface tow method and laying ship method in deep water. The intake point of pipeline can be kept up at the 5m above seabed in order to intake fresh DOW with a intake frame structure. The pipeline for discharging DOW including even nutrition was installed with the surface tow method. The pump pit was constructed at the DL (-) 4.8 depth for a natural head of water. It is on a trial operation for stable pumping, and 1000 ton/day of DOW can be intake with the developed system.

      • 투고논문 : 고령객사(高靈客舍) 연구

        정동락 ( Dong Rak Jung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이 글은 高靈客舍의 연혁과 건축의 배치형태 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먼저, 曺偉(1454~1503)의 「高靈客館記」와 李斗勳(1856~1918)의 『高靈誌』, 고령현감 趙秉璿의 「伽倻館重修記草」 등 문헌자료와 최근의 발굴 성과를 소개하였다. 고령객사는 1493년(성종 24) 고령현감 申澹이 건립하였는데, 正廳인 伽倻館 9칸과 동대청인 寅賓閣 15칸, 서대청인 餞日軒15칸 등 대략 50여 칸의 규모였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하였으며, 1843년(헌종 8)에는 고령현감 趙秉璿이 가야관 9칸, 인빈각 15칸 등 55칸을 중수하였으며, 폐문루 3칸 등 17칸은 보수하였고, 전일헌 15칸과 庫直家 3칸 등 31칸은 새로 건립해 규모가 103칸 정도로 확장되었다. 가야관에는 왕을 상징하는 殿牌를 모셨으나, 1896년에는 황제를 상징하는 闕牌를 봉안하였다. 1909년에 객사의 기능이 정지되었으며, 이듬해에 폐지되었다. 1930년대 후반에 가야관과 인빈각 등의 건물도 완전히 철거되었다. 고령객사는 가야관을 중심으로 좌우에 인빈각ㆍ전일헌을 `II`형으로 배치하였다. 인빈각은 정면 5칸 중 마루 2칸ㆍ온돌 1칸 등 3칸을 정청의 우측에 붙이고, 나머지는 남쪽 전면으로 나와 있다. 전일헌도 동일한 평면구조였다. 인빈각의 남쪽에는 3칸의 폐문루가 있고, 횡각 3칸으로 두 건물을 연결시켰다. 아울러 내삼문과 외삼문은 가야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었다. 연못은 가야관의 남쪽 정원에 위치했으며, 객사 주위에는 담장을 둘렀다. 가야관은 남향의 정면 3칸, 측면 3칸의 이익공 5량가 판대공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인빈각은 서향의 정면 5칸, 측면 3칸의 이익공 5량가 판대공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고령객사는 15세기 말 건립되어 400여 년 이상 고령관아의 중심 건물로 유지되다가 조선왕조와 운명을 함께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shape of Goryeonggaeksa. First of all, such documentary materials as 「Goryeonggaekgwangi」 of Jo-wi(1454~1503), 『Goryeongji』 of Yi-duhun(1856~1918), and 「Gaya-gwanjungsugicho」 of Jo-byeongseon as well as recent excavation results are introduced. Goryeonggaeksa was founded by Goryeonghyeongam Sin-dam in 1493(the 24th year of King Seongjong). It consists of about 50 kan(間)s including 9 kans of Jeongcheong Gayagwan, 15 kans of Dongdaecheong Inbingak, and 15 kans of Seodaecheong Jeonilheon. Thereafter, there were many restorations, one of which in 1843(the 8th year of King Heonjong) Goryeonghyeongam Jo-byeongseon covered the 50 kans including 9 kans of Gayagwan and 15 kans of Inbingak. In time, 17 kans including 3 kans of Pyemunru were repaired, and 31 kans in total including 15 kans of Jeonilheon, and 3 kans of Gojikga were newly built, which expanded the whole site to 103 kans. Jeonpae, a symbol of King, was dedicated in Gayagwan, and in 1896, Gwolpae, a symbol of Emperor, was newly enshrined. The function as a Gaeksa was discontinued in 1909, and abolished in the next year. In late 1930`s, such buildings as Gayagwan and Inbingak were completely demolished. Goryeonggaeksa had Gayagwan at the center and InbingakㆍJeonilheon at the sides, which formed a `П` shape. Inbingak had 3 kans(two floors and one ondol) at the right side of Gayagwan and the rest of 5 kans at the Southern part. Jeonilheon had the same plan. There were 3 kans of Pyemunru at the Southern part of Inbingak, and the two building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3 kans of Hwaenggak. In addition, Naesammun and Wesammun were arranged in the same line with Gayagwan. The pond was located at the Southern part of the garden in Gayagwan, and Gaeksa was surrounded by fences. Gayagwan was a gable roof building in Yiikgong Oyrangga that consisted of 3 kans in the front(facing the south) and 3 kans at the side, while Inbingak was a hipped-and-gable roof building in Yiikgong Oyrangga which consisted of 5 kans at the front(facing the west) and 3 kans at the side. Goryeonggaeksa was founded in the late 15 century, used as the central building of Goryeonggwana for more than 400 years, and then ruined upon the fall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 필사본 『花郞世紀』를 통해 본 대가야의 멸망과 王室 世系

        鄭東樂(Jung, Dong-La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한국고대사탐구 Vol.9 No.-

        이 글은 6세기 이후 대가야사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대가야의 멸망 시기와 ‘加耶叛’의 실상, 대가야의 왕실 세계 등에 대해 기존의 사서와 필사본 화랑세기를 비교·검토해본 것이다. 이를 통해 대가야사를 새롭게 해석할 여지는 없는지를 고민해보았다. 대가야의 멸망 시기에 대해 삼국사기 나 일본서기 등에서는 560년, 562년(진흥왕 23) 9월 혹은 정월 등으로 혼란스럽게 기록되어 있다.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561년에 대가야가 완전히 멸망한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아울러 ‘加耶叛’과 관련하여 필사본 화랑세기 에서는 557년(진흥왕 18)에 신라가 대가야를 일차적으로 정벌했으며, 이후 반란을 일으키자 561년에 완전히 진압한 것으로 기록하였다. 대가야가 일으킨 ‘반란’은 ‘대가야 부흥운동’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필사본 화랑세기 에 의하면 대가야와 신라의 대외관계는 몇 차례의 변화를 겪었던 듯하다. 522년 결혼동맹을 기준으로 이전에는 양국이 대등한 관계였으나, 의 파탄 이후 신라는 대가야 지역을 점차 잠식하였다. 그리고 557년 대가야를 정벌하여 실질적인 부용국으로 만들었고, 561년 ‘가야반’을 계기로 완전하게 병합하는 수순을 밟아 나간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기존의 사료에서는 6세기 이후 대가야의 왕실 世系에 대해 異腦王과 嘉實王, 道設智와 月光 등이 어떠한 계승관계였는지 명확하지 않다. 이에 비해 필사본 화랑세기 는 비교적 상세하게 전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522년 결혼동맹을 체결한 이뇌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왕은 찬실이었다. 찬실왕은 于勒으로 하여금 가야금 12곡을 작곡케 했던 가실왕으로 추정된다. 찬실을 이어 즉위한 ‘嗣王’은 도설지왕이었다. 도설지는 월광과 다른 인물이었으며, 오히려 도설지왕은 대가야 부흥운동을 이끄는 과정에서 월광과 대립하였던 것으로 전한다. 필사본 화랑세기 는 異腦王→贊失王(嘉實王?)→道設智王으로 이어지는 대가야 왕실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ventional historical records and Hwarangsegi Manuscript in the aspects of the time of Daegaya’s fall, the realities of Gayaban(加耶叛), and the royal line which are the main controversies in the history of Daegaya after the 6th century. Documents Samguksagi or Ilbonsugi records the time of Daegaya’s fall confusingly, such as year 560 or september 562(King Jinheung 23). Hwarangsegi Manuscript suggests that Daegaya was completely destroyed in 561. Also, on the issue of Gayaban, Hwarangsegi Manuscript records that Silla conquered Daegaya in 557(king Jinheung 18), and it quelled a rebellion in 561. The ‘rebellion’ of Daegaya is from the perspective of Silla, and it seems to be Daegaya’s revival movement in essenc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Daegaya and Silla seems to have had several changes. Before the marriage alliance in 522, the two countries were equal, but after the alliance, Silla’s view toward Daegaya changed to client country(附庸國). After the end of the marriage alliance in 529, Silla gradually encroached on the regions of Daegaya. In 557, Silla conquered Daegaya to make it Buyongguk, and finally in 561, it completely annexed Daegaya following the event of Daegaya revival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records does not clearly explain the succession history of Daegaya’s royal line among King Ee Nue, king Ga Sil, Do Sul Ji and Wol Gwang. In contrast, Hwarangsegi Manuscript describes the situation more in detail. According to the Manuscript, Chan Sil rose to crown after king Ee Nue, who secured the marriage alliance in 522. King Chan Sil is assumed to be king Ga Sil, who made Woo Ruk to write 12 music pieces of Gayagum. King Do Sul Ji succeeded Chan Sil. Do Sul Ji was a different person from Wol Gwang, and Do Sul Ji seems to have conflicts with Wol Gwang in leading the Daegaya revival movement. Hwarangsegi Manuscript suggests Daegaya’s royal line from king Ee Nue to king Chan Sil(king Ga Sil) to king Do Sul 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