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대화형 천 시뮬레이션 기법

        정대현,김구진,백낙훈,유관우,Jeong Dae Hyun,Kim Ku Jin,Baek Nakhoon,Ryu Kwan W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2 No.4

        We present an interactive cloth simulation method based on the mass-spring model,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one in the field of cloth animation. We focus especially on the case where relatively strong forces are applied on relatively small number of mass-points. Through distributing the forces on some specific points to the overall mass-points, our method simulates the cloth in pseudo-real time. Given a deformed cloth, we start from resolving the super-elasticity effect using Provot's dynamic inverse method [9]. In the next stage, we adjust the angles between neighboring mass-points, to finally remove the unexpected zigzags due to the previous super-elasticity resolving stage. 본 논문에서는 질점-스프링 모델(mass-spring model)에 기반한 대화형 천 시뮬레이션(interactive cloth simulation) 기법을 제시하며, 특히 소수의 질점들(mass-points)에 상대적으로 강한 힘이 가해졌을 경우 사실적으로 천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소수의 점들에 대해 가해진 힘을 모든 질점들에 분산시킴으로써 의사 실시간(pseudo real-time) 내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 이는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수행속도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Provot[9]의 역동역학 방법(inverse dynamic method)을 사용하여 초탄성(super-elasticity) 현상을 해결한 뒤, 인접한 질점 간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초탄성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지그재그(zigzag) 현상을 제거하여 사실적으로 천을 시뮬레이션한다.

      • KCI등재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 사망 원인 및 특성 분석

        정대현(Dae-hyun Jeong),권오영(O-young Kwon),구영덕(Young-duk Ko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9

        의료정보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막대한 의료 빅데이터 정보가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빅데이터는 고령화와 의료비의 가파른 상승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큰 분야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전 국민대상 주민등록번호와 전산화된 이용 자료들을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의료 인프라 측면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자료와 통계청 사망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의 사망자 분석 및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강원도 사망률과 관계된 주요 변수로는 자기지역병원 인프라 이용률, 소득수준, 고령화 및 인구 밀도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득격차에 따른 불평등과 지역 의료 인프라 부족 등은 지역의 사망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지역 병원 인프라 개선 및 소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역별 맞춤형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민 사망자를 분석하고, 다양한 사회 지표와 상관분석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해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edical information, vast amounts of medical data are accumulating, and such medical data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solving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rapid rise in medical cost. Especially in Korea, there ar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and computerized usage data for all citizens, so it can be superior to other countries in terms of medical infrastructure that can utilize big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ortality and death rate of Gangwon using the Big Data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ta centered on Kangwon province. As a result of analysis, major variables related to the mortality rate of Gangwon were hospital infrastructure utilization rate, income level, aging population and population density. Therefore, inequalities due to income disparities and insufficient local medical infrastructures were affecting the local mortality rate, and policy support was needed to improve the local hospital infrastructure and incom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eaningful in that medical big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deaths of people in Gangwon, and the causes of the deaths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social indicators and correlation analysis.

      • KCI등재
      • 초분광데이터 3차원 CNN 분류 모델 활용한 딸기의 잿빛곰팡이병 조기진단 기술 개발

        정대현 ( Dae-hyun Jung ),박수현 ( Soo Hyun Park ),김호연 ( Ho-youn Kim ),김정도 ( Jeong Do Kim ),이택성 ( Taek Su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잿빛곰팡이병은 딸기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병 중 하나이며 증식이 빠르기 때문에 조기진단 기술 개발을 통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잿빛곰팡이균을 접종하여 병을 발생시킨 딸기 잎을 중심으로 초분광 영상을 측정하였고, 초분광 이미지에서 육안으로 건강한 부위(Healthy)와, 감염된 부위(Infected)를 식별, 시간경과 후 감염이 전파되는 부위는 무증상 감염 부위(Asymptomatic)로 클래스를 분류하였다. 학습데이터로 획득한 16 x 16 x 150의 정사각형 ROI는 각각 1358, 1056, 696개를 수집하였고 2D 데이터와 3D 데이터를 CNN 분류 모델 개발에 활용하였다. CNN 분류 모델 개발에 앞서 수행한 분류 유효파장 분석에서는 740-760nm 사이에서 -0.6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CNN 분류 모델 개발의 경우 2D 형태로 학습데이터로 개발한 분류모델은 검증오차가 0.76, 3D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활용한 모델은 0.81로 나타났다. 특히 조기진단 기술 개발에 필요한 Healthy 클래스와 Asymptomatic 클래스 구분의 경우 두가지 CNN 모델의 경우 Asymptomatic를 Healthy 판단하는 오차가 0.22 수준으로 이를 낮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효파장대역분석에서 나타난 -0.6 수준으로는 필터영상(멀티카메라 활용)으로 활용한 센서개발에의 활용에는 정확도가 높지 않아 저가 초분광을 직접 활용하여 정밀도 높은 CNN 인공지능 예측 모델을 탑재한 조기진단 센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녹색 분야 키워드 정보를 이용한 녹색기술 분야 네트워크 분석

        정대현(Dae-hyun Jeong),권오진(Oh-jin Kwon),권영일(Young-il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는 녹색기술 분야의 지식지도를 구축하고 국내외 녹색기술 정보를 시계열로 비교 분석하여 녹색 기술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녹색기술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될 영역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녹색기술정보포털 (www.gtnet.go.kr)에서 제공하고 있는 녹색기술 정보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은 키워드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시기별로 나누어 연구주제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전체 영문 키워드 중 상위 100대 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주로 태양광 에너지,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의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년도별 주요 키워드에 대한 추세를 살펴보았을 때, Solar Cell, Nanotechnology, Smart Grid, Fuel Cell 등의 중심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생 에너지의 생성 및 활용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trend in green technology was observed and the domain of the green technology area that will be actively studied in the future was found by establishing knowledge map in green technology area and comparing and analyzing green technology information in Korea and overseas in time ser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keyword of green technology information provided by green technology information portal site (www.gtnet.go.kr) operated b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keyword, and change of study subject was found by dividing the analysis result into periods. In the result of network analysis on top 100 keywords from total English keyword, it was found that renewable energy related areas such as solar energy and biomass had high centrality. When the main keyword trend by year was studied, centrality of solar cell, nanotechnology, smart grid, and fuel cell were found to increase, showing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in generation and use of renewable energy are actively made.

      • KCI등재

        지역 대학의 역할과 지식 네트워크 특징에 대한 연구

        정대현(Dae-hyun Jeong),권오영(O-Young Kwon),정용남(Yong-Nam J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대학이 점차 다른 혁신 주체들과 협력 필요성이 증가되는 상황에서 대학이 중심이 되는 SCIE 논문 지식 네트워크를 지역별로 비교하는 것이다. 지역비교를 통해서 지식네트워크의 특징과 지역적 경계의 중요성, 그리고 지역 산업정책의 지식네트워크에 대한 영향 등을 살펴본 결과 거점대학과 연구 중심대학이 지역 지식 네트워크의 중심성이 높았으며, 지역적 특성이 네트워크의 구조 등에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다른 지역보다 산업체와의 네트워크가, 대전은 대학과 출연연구소, 강원도 지역은 대학간 네트워크가 두드러졌다. SCIE급 이상의 저널 정보를 활용한 지식 네트워크 구조로서 지역적 경계는 다소 두드러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 경계 내에서 지역 산업정책의 영향은 학‧학 네트워크의 특성을 가진 강원도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식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대학의 지식이 좀 더 기업에 연계될 수 있도록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불어 지역산업 선정과 관련해서 일반화된 산업정책 보다는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강조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이와 함께 혁신 차원에서 보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근본적으로 지역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산업 기반 구축이 중요하며 혁신 주체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노력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In the context of an increased demand in universities’ expansion of networks between other innovation actors, this research attempts to make a comparison on university-centered SCIE knowledge networks between regions. Using regional comparison, we have looked into these networks in regards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importance of regional boundaries, and the effect of the regional industrial policy. As a result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we discovered that the point universities and research universities hold high centrality in regional knowledge networks,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re reflected into this network. For instance, the Gyeonggi province had a preeminent level of industry-academy relationship, while for Daejeon it was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and academy, and Gangwon province it was between academy between academy. As a network analysis based on journals above SCIE levels, regional boundaries were not very clear in the network structures. However, within these boundaries, the impact of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were proven to be stronger in the Gang-won province where the academyacademy network was most prominent.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outcome is that for regional innovation, government should more actively implement policies that can link academic institutes’ knowledge to industry by expanding knowledge networks. In addition, we emphasize on the necessity of a regionally-appropriate policy, rather than a generalized industrial policy. And fundamentally, in regards to innovation, establishing a sound industrial infrastructure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efforts to link relevant actors are required.

      • 개선된 물리기반 변형모델링

        정대현(Dae-Hyun Jeong),이종원(Jong-Won Lee),유관우(Kwan-Woo Ryu)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Ⅱ

        컴퓨터상의 물체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켜주는 것은 그래픽스에서 흥미로운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연스러운 변형을 보여주는 방법을 제시한다. 단지 컴퓨터 상에서 물체들이 물리적인 성질만 주어진다면, 물리기반 모델링을 이용해서 어떤 물체들에 대해서도 변형에 대한 동작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개선된 변형 모델은 컴퓨터 게임이나 시뮬레이션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알코올, 니코틴과 행위 중독 연구 주제어 간 연관성과 공존성에 관한 연구

        정대현(Dae Hyun Jeong),이상규(Sang Kyu Lee)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5 신경정신의학 Vol.64 No.1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the five addictions, examining the correlations and co-occurrence among addiction studies. Methods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papers was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nd cooccurrence between different fields of addiction. The analysis covered the entire period and specific time fram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sine similarity, while co-occurrenc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ext network analysis. Results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and co-occurrence among the five addiction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since 2000, studies on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have become more active, leading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research connections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addiction. Second,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alcohol addiction and internet addiction, with shared research topics being actively explored. Finally, the most commonly addressed topic across studies on the five addictions is adolescent addictio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trends in addiction-related research and the insights into the treatment of cross-addiction.

      • 선형방정식의 재구성을 이용한 충돌반응 속도 개선

        정대현(Dae-Hyun Jeong),김은주(Eun-Ju Kim),유관우(Kwan-Woo Ryu)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B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물리기반 모델링을 사용한 다관절체의 움직임을 구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다관절체가 움직이는 동안 충돌이 발생했을 때 충돌반응 시간이 많이 걸린다면 그만큼 시뮬레이션이 자연스럽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충돌반응에서 중요한 선형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짧은 시간안에 다관절체의 충돌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이나 그래픽 툴등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 인증제 실시 방안 연구

        정대현(Jeong Dae hyun),김경남(Kim Kyung nam)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1

        이 글은 대학의 독서 인증제 실시와 관련하여 파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검토하고 지식 기반 사회에서 대학의 독서 인증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표를 둔 논문이다. 핵심 역량은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꼭 필요한 능력을 의미하며, 현대의 교육에서 강조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2015년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총론에서‘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핵심 역량으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역량을 배양하는 데 독서 교육은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독서 인증제도 이러한 역량 배양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러나 현재의 인증제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이 글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인증제의 대학 내 또는 사회적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인증제의 개념을 살피고자 하였다. 법적인 차원에서 인증은‘ 행위나 문서’,‘ 정당한 절차’,‘ 공적 기관’이라는 세 요소를 포함한다. 독서 인증제의 경우도 인증 대상으로서 독서 행위, 인증 시스템, 인증제 운영 기관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신뢰성 있는 제도를 구축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의 인증제 실시 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인증제에 대한 몇 편의 선행 연구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현재 대학 단위에서 독서 인증제를 검증할 수 있는 기관은 4~5개에 불과하다. 이는 대학의 독서 인증제가 그만큼 내실 있게 운영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셋째, 독서 교육이 지식 기반 사회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배양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차원에서 핵심 역량의 개념과 범위, 독서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넷째, 기존의 독서 인증제에서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살피고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을 살피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eek ways that the effectiv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for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in college education. Some colleges have practiced this program, but the concepts of certification are unclear and the effect have not been enough. The core competencies mean autonomic and general ability needed for a knowledge-based society. These competencies emphasis in the latest educational theories.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divided these competencies into six types; self management,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reative thinking, esthetic sensibility, communicative ability and community sprit. Reading education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se competencies.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require internal college or social credibility. This system needs to have proper objects rational processes and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have pubic credibility. This system has some problems which are the composition of organ, selecting books, evaluation methods and awards. Effectiveness verification is ver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