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이식 후에 발생한 이상자궁출혈 환자에서 시행한 자궁경하 자궁내막 절제술의 효과에 관한 연구

        정다정 ( Da Jung Chung ),박기현 ( Ki Hyun Park ),경아 ( Kyung Ah Jeong ),신종승 ( Jong Seung Shin ),배상욱 ( Sang Wook Bai ),이병석 ( Byung Seok Lee ),조동제 ( Dong Jae Cho ),송찬호 ( Chan Ho S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6

        목적 : 신이식 후 발생한 이상자궁출혈의 치료로써 자궁경하 자궁내막 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신촌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이상자궁출혈을 주소로 내원한 62명의 신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자궁경하 자궁내막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시술 전 에스트라디올, 황체형성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프로락틴을 측정하였다. 시술 후 6개월 간 추적 관찰하였으며 치료에 실패한 8명에서는 levono Objective :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hysteroscopic endometrial ablation as a surgical management of abnormal uterine bleeding developed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62 patients referred

      • KCI등재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그래프트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다양한 아민 그룹의 도입과 바이오센서 지지체로서의 응용

        정다정(Da Jung Chung),김기출(Ki Chul Kim),최성호(Seong Ho Choi) 한국고분자학회 2012 폴리머 Vol.36 No.4

        다양한 아민 그룹으로 개질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이하 MWNT) 지지체를 기반으로 하여 페놀 화합물을 검 출하기 위한 티로시나아제가 고정된 바이오센서를 개발하였다. 방사선 중합법을 이용하여 MWNT에 글리시딜메타 크릴레이트를 중합한 후 중합 사슬의 아미노화 반응을 통해 MWNT에 다양한 아민 그룹을 도입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SEM, XPS 그리고 TGA에 의해 평가되었다. 그리고 제조된 물질을 기반으로 제작된 티로시나아제가 고정화된 바이오센서의 전기화학적 특성도 평가하였다. 본 효소 바이오센서는 0.1-0.9mM의 페놀을 검출할 수 있다. 결합효과, pH, 온도 그리고 다양한 페놀화합물에 대한 반응과 같은 여러 가지 변수에 대하여도 최적화하였고 상용 레드와인에서의 페놀화합물 검출도 연구하였다. A tyrosinase-immobilized biosensor was developed based on various amine-modifi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NT) supports for the detection of phenolic compounds. MWNTs with various amine groups were prepared by radiation-induced graft polymerization of glycidyl methacrylate (GMA) onto MWNT supports and the subsequent amination of poly (GMA) graft chains.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poly (GMA)-grafted MWNT supports and the aminated MWNT supports were investigated by SEM, XPS, and TGA. Furthermor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tyrosinase-modified biosensor based on MWNT supports with amine group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ponse of the enzymatic biosensor was in the range of 0.1-0.9mM for the concentration of phenol in a phosphate buffer solution. Various parameters influencing biosensor performance have been optimized: binder effects, pH, temperature, and the response to various phenolic compounds. The biosensor was tested on phenolic compounds contained in two different commercial red wines.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요도 및 방광 평활 근종: 증례 5예 및 문헌적 고찰

        현주 ( Hyun Joo Jung ),이상희 ( Sang Hee Lee ),정다정 ( Da Jung Chung ),전명재 ( Myong Jae Jeon ),박주현 ( Ju Hyun Park ),김세광 ( Sei Kwang Kim ),김재욱 ( Jae Wook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목적: 여성의 방광과 요도에 발생하는 평활 근종에 대한 5예의 경험과 문헌 고찰을 통하여 방광과 요도의 평활 근종의 크기, 위치와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적합한 치료 방침을 적립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5년 4월까지 본원에서 방광 및 요도 평활 근종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여, 환자들의 증상과 평활 근종의 크기, 위치, 방광경 및 방사선 검사 결과, 수술 방법, 조직학적 검사 결과, 합병증 및 재발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원에서 요도의 평활 근종을 진단받은 예는 4예였으며, 방광의 평활 근종을 진단받은 예는 1예였다. 요도의 평활 근종은 모두 만져지는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크기가 작고 측면으로 치우칠 경우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고, 크기가 작아도 정중앙에 위치할 경우 자극성 증상 및 폐색성 증상을 나타내었다. 크기가 큰 경우에도 측면에 위치할 경우 폐색성 증상보다는 자극성 증상을 나타내었고 정중앙에 있을 때 폐색성 증상을 나타내었다. 방광의 평활 근종은 우연히 발견되었으며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았다. 5예 모두 수술적 제거를 시행하였으며, 합병증이나 재발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방광 및 요도의 평활 근종은 매우 드물며, 무증상에서 비뇨기계 자극성 또는 폐쇄성 증상 등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평활 근종의 위치와 크기가 증상과 관련이 높다. 심한 출혈이나 폐색성 급성 신부전이 아닌 경우 즉각적인 수술을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수술적 생검 또는 제거를 통해 악성을 비롯한 다른 종양과의 감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병증이나 재발은 드물다. Objective: Leiomyomas of the bladder and urethra in women is very rare. We present five cases of histologically proven the female urethral and bladder leiomyomas identified over a 15-years period at our institution, together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focused on the symptom and proper management. Methods: Five women pathologically confirmed bladder or urethral leiomyoma were reviewed by the medical record, retrospectively. Results: One patient with bladder leiomyoma was asymptomatic, but four patients with urethral leiomyoma had a palpable mass on physical examination. The leiomyomas posited laterally were less symptomatic than other leiomyomas posited medially, and the symptoms were especially obstructive ones. All of them were removed by excision, and any complication or recurrence was not occurred. Conclusion: Leiomyomas of the bladder and urethra are rare and associated with variable symptoms depending on their locations and sizes. It is not necessary immediate operation except to excessive bleeding or acute complete obstruction. Complete excision follow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 is the most reliable means of distinguishing leiomyoma from other more common and usually malignant tumors of the genitourinary tract.

      • KCI등재

        방광탈 교정에 있어서 전질벽 협축술, prolene mesh를 이용한 전질벽 협축술과 복식 전질벽 협축술에 따른 수술 성적의 비교

        현주 ( Hyun Joo Jung ),전명재 ( Myung Jae Jeon ),정다정 ( Da Jung Chung ),박주현 ( Joo Hyun Park ),김세광 ( Sei Kwang Kim ),김재욱 ( Jae Wook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목적: 중앙부의 결함이 있는 방광탈의 교정은 전질벽 재건술 중에서도 전질벽 협축술을 시행하게 된다. 전질벽 협출술의 방법으로는 접근 방법에 따라 질식과 복식이 있고 최근 들어 합성 재료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질식 전질벽 협축술, prolene mesh를 이용한 질식 전질벽 협축술과 복식 전질벽 협축술에 따른 수술 성적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999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전질벽 협축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에서 1년 이상 추적 관찰을 시행한 138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을 질식 전질벽 협축술을 받은 환자, prolene mesh를 이용한 질식 전질벽 협축술을 받은 환자 그리고, 복식 전질벽 협축술을 시행 받은 환자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세 그룹의 환자 수는 각각 72명, 28명, 38명이었으며, 연령, 폐경 여부, 분만력, 체질량 지수, 내외과적 질병력과 추적 관찰 기간 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열, 질미란, 배뇨근 부전증 발생 유무는 차이가 없었고 질방광루의 발생은 없었으나, 수술 후 요로 감염 발생 빈도는 prolene mesh를 이용한 질식 전질벽 협축술을 받은 환자에서 많았고. 수술 후 상처 감염, 수술 전후 혈색소의 차이, 수술 시간과 재발은 복식 전질벽 협축술을 받은 환자에서 많았다 (p<0.05). 결론: 중앙부 결함의 전질벽 재건술에 있어 고전적 방법의 질식 전질벽 협축술이 prolene mesh를 이용한 질식 전질벽 협축술과 복식 전질벽 협축술에 비해 합병증과 재발 면에서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As for the method of surgical correlation of the central type of anterior vaginal wall defects, there are anterior repair, anterior repair with prolene mesh, and internal anterior repair.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currence rates, complications and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three surgical procedures. Methods: We identified one hundred and thirty-eight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s for the central type of anterior vaginal wall defects from March 1999 to May 2005.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data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reviewed the outcomes.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recurrence rates and complication rates for the results, and compared them by ANOVA test and Kruskal-Wallis test. Results: The number of cases of anterior repair, anterior repair with the mesh, and internal anterior repair were seventy-two, twenty-eight and thirty-eight consecu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age, menopause status, parity, BMI (Body mass index) and history of pelvic surgery and the medico-surgical illness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ver, vaginal erosion, detrusor overactivity and voiding difficulty after the operations. The incidence of the postoperative urinary tract infection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the anterior repair with prolene mesh (p=0.018), and drop in hemoglobin, operation time and wound infec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the internal anterior repair (p=0.0001, 0.004 and p=0.028). The recurrence rate of the dis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nal anterior repair group than in anterior repair or anterior repair with the mesh groups (18.4% vs. 1.4% and 0%). The recurrence rat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uration after the surgery. Conclusion: The recurrence rate of the disease after internal anterior repai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hen anterior repair or anterior repair with the mesh was done. As for the complications, urinary tract infection was increased after the anterior repair with prolene mesh and drop in hemoglobin and wound infection were increased after the internal anterior repair. We concluded that the conventional anterior repair is more suitable method for the correction of the central type of anterior vaginal wall defects than anterior repair with mesh and internal anterior repair.

      • KCI등재
      • KCI등재

        복압성 요실금 수술시 tension-free vaginal tape의 치료 성적; 요도 괄약근 부전증 환자와 비요도 괄약근 부전증 환자의 비교

        여화 ( Yeo Hwa Jung ),전명재 ( Myung Jae Jeon ),정다정 ( Da Jung Chung ),박주현 ( Joo Hyun Park ),김세광 ( Sei Kwang Kim ),김재욱 ( Jae Wook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목적: 요도 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와 비요도 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에서 TVT 시행 후 치료 성적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TVT의 요실금 환자 치료에 있어서의 치료 효과에 대해 평가 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 후 TVT를 시행받은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요실금은 요역동학 검사에 의해 진단되어 졌으며 복압상승시 배뇨근 수축없이 불수의적으로 요실금이 있는 경우 복압성 요실금으로 정의하였다. 요역동학 검사 (Dantec-5000 system, Copenhagen, Denmark)는 uroflowmetry, multichannel cystometry, urethral pressure profilometry로 이루어졌다. ISD는 MUCP<20 cmH2O이거나 VLPP<60 cmH2O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NISD는 MUCP>20 cmH2O이고 VLPP>60 cmH2O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환자들은 수술 후 1, 3, 6, 12개월 후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60.74±10.00세,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57.20±10.94세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없었다 (P>0.05). 분만력, 신체질량지수 (BMI), 폐경된 환자의 비율, 호르몬 치료 시행받은 기왕력이 있거나 현재 호르몬 치료중인 환자의 비율 모두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방광 충만 검사상 뇨의를 처음 느꼈을 때의 방광 용적, 정상 뇨의를 느꼈을 때의 방광용적, 강한 뇨의를 느꼈을 때의 방광용적, 최대 방광용적 모두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MUCP는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46.81±24.29,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75.70±32.61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VLPP는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53.48±10.12,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107.23±42.95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요류검사상 최대요속, 평균요속, 총 요량에서도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수술 후 1, 3, 6, 12개월 후 두 그룹간에 완치율을 비교한 결과 수술 1개월 후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87%,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100%로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53) 수술 3, 6, 12개월 후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배뇨곤란, 새로 발생한 절박뇨 (de novo urgency), 요로 감염 발생은 추적 관찰기간에 관계없이 두 그룹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요도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와 비요도 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 모두에서 TVT가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reatment outcomes of tension free vaginal tape (TVT) for intrinsic sphincter deficiency (ISD) and non-intrinsic sphincter deficiency (NISD) patients i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and to evaluate whether TVT can be effectively used in both groups of SUI patients. Methods: 111 women with SUI treated by TVT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Division of Female Pelvic Medicine and Reconstructive Surgery, the Yonsei Medical Center from Jun. 2003 to Jun. 2005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1 patients with ISD, and 80 patients with NISD. SUI was diagno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urodynamic tests. Urodynamic studies (UDS) include uroflowmetry, multi-channel cystometry and urethral pressure profilometry.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at 1, 3, 6,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and those with any follow-up los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demographics between ISD and NISD groups; mean age, parity, BMI, menopausal status and HRT (P>0.05). Maximum urethral closure pressure (MUCP)(46.8124.29 vs.75.7±32.61 cmH2O; P<.0001) and Vasalva leak-point pressure (VLPP)(53.48±10.12 vs 107.23±42.95 cmH2O; P<0.0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other parameters of UDS except MUCP and VLPP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cure rates of the two groups at 1 month follow up (87.0% vs 100%; p=0.005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3, 6 and 12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voiding difficulty, de novo urgency, urinary tract infection) between two groups irrespective of follow-up months. Conclusion: Tension-free vaginal tape is effectiv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both ISD and NIS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