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 환수와 제재적 처분

        정기종(Jung, Ki-Jong) 경희법학연구소 2014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Vol.7 No.1

        국민건강보험법에서는 보험자와 요양기관의 관계를 규율하기 위해 부당이득 환수 및 업무정지, 과징금 부과, 위반사실 공표와 같은 제재적 처분을 두고 있다. 현물급여를 원칙으로 하는 동법의 특성상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요양기관에 대한 감시 및 규제는 상당히 광범위하며 구체적으로 나타나므로 그 세부적 기준을 확립하고 해석의 틀을 마련해야 한다. 우선 부당이득환수의 성질에 대한 명확한 논의가 우선되어야 하는바, 본고에서는 국민 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환수 규정이 그 특성에 비추어 민법 제741조의 특수한 형태라기보다는 법치주의 확립을 위해 마련된 공법상의 고유한 제도로 해석된다고 보았다. 부당이득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국민건강보험법 자체만이 아니라 각종 의료 관련 법규 등과 복합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 요건 및 유형을 검토하기 위해서 통일적 기준을 세우기보다는 구체적 사안에 따라 대법원 및 하급심 재판례 등을 정리하는 방법을 통하여 실무에서 주로 문제되는 부분이 무엇이고 그 해석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필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선고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의해 임의비 급여 진료행위에 대한 그동안의 판시에 변경이 있었으므로, 부당이득 전체 체계 파악에 있어서도 일정한 수정이 불가피하다. 업무정지처분의 경우 부당이득환수와 유사한 요건을 규정하고 있어 그 해석 역시 기본적으로 같게 볼 수 있으나, 요양기관이 직접 보험급여비용을 받지 않았더라도 제3자를 통해 이를 지급하도록 하였다면 동 처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과징금부과처분은 최근 법 개정으로 의약품 리베이트와 관련된 요건이 추가되었는바 기존의 업무정지처분에 갈음하여 부과되었던 것과 별개로 나누어야 한다. 그 밖의 각 처분별로 법규의 해석 및 소송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it has set administrative sanctions such as collection of unlawful profits, business suspension, penalth surcharges and publication of violating facts for regulation relations between insurer and medical care institutions. The insurer,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regulates medical care institutions broadly and extensively due to the principle of remuneration in kind. Regarding this, it is important to review detailed standards about administrative sanc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Collection of Unlawful Profits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It would be constructed as a intrinsic system from Public Law, not Article 741 of Civil Law. To determine whether these are unlawful profits or not, not only shoul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itself be considered, but also many different medical regulations as well. Thus, for analyzing conditions and categories, the study could discover what the main issue is. We can then interpret the issues by organizing cases in the Supreme and Inferior Court. The system of unlawful profits has to be changed in partially due to the recent case of Grand Bench of Supreme Court, which has changed the judgement about discretionary grants. The conditions regarding administrative dispositions of business suspensions is similar to the collection of unlawful profits. However, it has a distinction that medical care institutions could be imposed by administrative dispositions when given insurance benefit costs directly and paid by a third party. Authority could impose penalty surcharges not only in lieu of business suspensions, but also prohibiting rebate when buying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in view of recently amended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In addition, this study deals with interpretations of each administrative sanction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nd court precedents.

      • KCI등재

        냉동변성 방지제가 pH 조절법으로 제조한 닭가슴살 수리미의 냉동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진상근,김일석,김수정,정기종,이제룡,최영준,Jin, Sang-Keun,Kim, Il-Suk,Kim, Su-Jung,Jeong, Ki-Jong,Lee, Jae-Ryong,Choi, Yeung-Joo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3

        냉동변성 방지제가 pH 조절법으로 제조한 닭 가슴살 수리미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C(명태수리미: 수세 2회, 4% 설탕+5% 솔비톨+0.3% 인산염 첨가), 나머지 처리구들은 폐계 가슴살 활용하여 T1(닭 가슴살 수리미: pH 11.0, 0.3% 인산염 첨가), T2(닭 가슴살 수리미: pH 11.0, 5% 솔비톨+0.3% 인산염 첨가) 및 T3(닭 가슴살 수리미 : pH 11.0, 4% 설탕+5% 솔비톨+0.3% 인산염 첨가) 처리구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에서 대조구의 조단백질 함량이 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수분,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T3 처리구가 높았다. pH, 보수성 및 콜라겐 함량은 대조구가 모든 처리구에 비해 높았고,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해 낮았지만, 근원섬유단백질 함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가열감량은 T2 처리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았다 $L^*$값, $a^*$값 및 $b^*$값은 전 저장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처리구간에는 T1 처리구가 T2 및 T3 처리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T1과 T3 처리구는 $L^*$값이 감소하여 냉동저장 직후에 비해 저장 1.5개월에 현저하게 감소하였지만, $a^*$값은 증가하였다(p<0.05). W값은 냉동저장 직후에는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고, 저장 1.5와 3개월에는 T3 처리구가 대조구와 T1 처리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Myoglobin 함량과 met-Mb 비율은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 간에 유사하였으며, met-Mb 비율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경도는 냉동저장 직후에 대조구가 모든 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저장 1.5와 3개월에는 현저하게 낮았다(p<0.05). 경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는 냉동저장 직후에 비해 1.5개월에 감소하였지만, 모든 처리구는 냉동저장 직후에 비해 저장 1.5개월에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응집성과 검성은 냉동저장 직후에 대조구가 모든 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냉동저장 1.5와 3개월에는 T3 처리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대조구가 모든 처리구에 비해 pH와 보수성이 높았고,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았다. 그러나 냉동변성 방지제 첨가와 pH 조절한 수리미는 저장기간 동안 염용성단백질 함량이 높고 안정된 조직감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sugar, sorbitol, polyphosphate)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surimi manufactured by pH adjustment (pH 11.0) during freezing storage. The final surimi was divided into experimental units to which the following treatments were randomly assigned: C (Alaska pollack surimi: two washings, 4% sugar +5% sorbitol ${\pounds}'$ 0.3% polyphosphate additive): T1 (chicken breast surimi: pH 11.0 adjusted, 0.3% polyphosphate additive): T2 (chicken breast surimi pH 11.0 adjusted, 5% sorbitol +0.3% polyphosphate additive); T3 (chicken breast surimi: pH 11.0 adjusted, 4% sugar +5% sorbitol +0.3% polyphosphate additive).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control was higher than all treated samples, however the moisture, crude fat and crude ash of T3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p<0.05). The pH, WHC and collagen content of the control were higher than all of the treated samples, and these values decreased with storage time for all treatments and the control (p<0.05). The cholesterol content of the control was lower than all treated samples, but the myofibrillar protein contents of all treated sample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p<0.05). The cooking loss of T2 was lower than the control and the other two treatments (p<0.05). The $L^*,\;a^*\;and\;b^*$ values of all treated samp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during freezing storage (p<0.05). The W value of T3 at 1.5 and 3 months of freezing storag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and T1 (p<0.05). The myoglobin and met-Mb contents of the control were similar to all treated samples, and the met-Mb content of the control and all treated sample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p<0.05). Immediately after freezing, the hardness of the control was higher than all treated samples, however it was lower after 1.5 and 3 months of frozen storage (p<0.05). The cohesiveness and gumminess of the control were higher than all treated samples immediately after freezing, however the values for T3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the other two treatments during frozen storage for 1.5 and 3 months (p<0.05).

      • KCI등재

        울금 추출물 함유 저지방 소시지의 냉장저장 중 품질 특성

        김일석,진상근,박기훈,정기종,김동훈,양미라,정영신,Kim, Il-Suk,Jin, Sang-Keun,Park, Ki-Hoon,Jeong, Ki-Jong,Kim, Dong-Hoon,Yang, Mi-Ra,Chung, Young-Si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3

        울금 추출물을 0, 2.5 및 5.0%를 첨가하여 제조한 저지방 소시지를 냉장 저장시키면서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울금 추출물의 첨가에 의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처리구의 조지방 함량, pH 및 TBARS 값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p<0.05), 저장 전 기간 동안 대조구와 처리구 간 보수력, 가열감량, 전단가, 육색, 조직감 및 총균수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2.5% 투입한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받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울금 추출물은 지방산화 억제 및 관능적 측면에서 2.5% 첨가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curcumin extract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were studied. Sausage products were produced with three different formulations including 0%, 2.5%, and 5.0% curcumin extract. Low-fat sausages made with the addition of curcumin extract had lower (p<0.05) crude fat content, pH and TBARS values than the control sample. The addition of curcumin extract did not affect the water 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shear force, meat color, texture profile, and total bacterial count in low-fat sausages duringstorage (p>0.05). With regard to sensory evaluation, 2.5% curcumin extract added to low-fat sausages resulted in a high overall acceptability (p<0.05). In conclusion, low-fat sausages with added 2.5% curcumin extract had a higher acceptability and lipid oxidative stability during storage than products without curcumin extract.

      • KCI등재

        바비큐 및 장조림 소스로 제조한 사슴고기 통조림 제품의 품질특성 비교

        김일석,진상근,하경희,박기훈,정기종,박석태,곽경락,박정권,강양수,Kim Il-Suk,Jin Sang-Keun,Hah Kyung-Hee,Park Ki-Hoon,Jung Gi-Jong,Park Seok-Tae,Kwuak Kyung-Rak,Park Jung-Kwon,Kang Yang-Su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6 No.1

        캔에 105 g씩 충전하여 $121^{\circ}C$에서 30분간 가열처리한 두 종류의 사슴 캔 개발 제품(T1; 바비큐 소스, T2; 장조림 소스)의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슴 캔 제품의 품질 특성에 있어 T1이 T2에 비하여 pH, 염도, 당도는 낮고, TBARS 및 VBN은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30^{\circ}C$에서 저장 60일 전 기간 T1과 T2 모두 6.0 이상의 좋은 점수를 얻었기에 상품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nned deer meat produce with prepared BBQ sauce (T1) and Jangjorim sauce (T2). The mixture were stuffed into cylindrical can (about 150 g each) and thermally processed at $121^{\circ}C$ for 30 min, the sample were stored at $30{\pm}1^{\circ}C$ for 60 days and analyzed with an interval of 30 days. pH, salinity, saccarinity of T1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at of T2. TBARS and VBN of T1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T2. In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all product obtained good score (p>6.0) in overall acceptability during whole storage at $30{\pm}1^{\circ}C$. Theses result should be useful in developing guidelines for canned deer meat preparation by consumer and processors.

      • [구조강도부문] 도어시일 설계를 위한 고무 품 전용비선형 해석 프로그램 개발

        김헌영(Heon-Young Kim),정기종(Ki-Jong Jong),김호(Jung H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1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11_2

        Door-Seal is a mechanical element which has the function of isolating dust, rain, noise and vibration from outside of a car. The basic requirements of door-seal are a good sealing and minimizing door closing effort these two requirements conflicting with each other has increase the difficulty in design process with highly nonlinear material, rubber and foam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design process, a conventional analysis tools are hard to reflect all design parameter of door-seal. A new design tool is needed to promote the overall efficiency of design and save cost & tim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exclusive design program for door-seal only. Non-linear finite element formulation has been developed using rubber and foam material description and a solution procedure for conflict problems are installed into formulation. Private pre-processor and post-processor are designed to have effectiveness in considering all design parameters and concept of managing all work-process including minimum door-closing velocity analysis has involved. To verify practical use, a automotive door part and door-seal component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commericial analysis tool and test

      • 모바일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철도시설물 정보추출 가능성 분석

        이광일(Lee Kwang Il),김선일(Kim Seon Il),성동일(Sung Dong Il),송낙현(Song Nak Hyeon),정기종(Jeong ki Jong) 한국측량학회 2015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5 No.4

        국내외적으로 철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운행 정시성 확보를 위해 철도시설물의 유지보수 효율성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철도시설물에 대한 정밀한 공간정보가 구축된다면, 정확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운용 방법을 개선하고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차량에 탑재하여 취득한 모바일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반, 궤도, 전차선로 분야 철도시설물의 위치 및 형상정보 추출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The precise geospatial information of railway facilities will help to improve the maintenance efficiency and management methods.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y of extracting railway facilities such as the roadbed, tracks and catenary from Mobile LiDAR data.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wenty-five of railway facilities can be visually interpreted and extracted by the geometry and intensity enhancement.

      • 돈육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조성 및 관능 특성에 미치는 미생물제제 및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 효과

        진상근,김일석,송영민,박기훈,정기종,김동훈,이정일 진주산업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6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13

        3원교잡종(LY×D) 돼지를 이용하여, 60일 동안 미생물제제 K를 3% 급여한 A 처리구와 O를 3% 급여한 B 처리구 및 가고시마흑돼지에게 10% 고구마 사일리지를 급여한 C 처리구로 각 처리구별로 30두씩 공시하여 사양 시험 후 돈육의 지방산, 아미노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열육의 관능검사에서는 B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처리구 간에 지방산 조성 변화를 보면 palmitic과 palmitoleic acid 함량은 C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Aspartic, threonine, serine, glutamic, isoleucine과 phenyl alanine 함량은 C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Proline, alanine, cystine, valine, methionine, leucine과 histidine 함량은 B 처리구가 다른 두 처리구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아미노산 함량을 보였다(p<0.05). A total of 90 pig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microbes and sweet potato silag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About 60 kg pigs were randomly alloted into one of three experimental diet groups (A: Supplemented with 3% K microbe; B: Supplemented with 3% O microbe; C: Supplemented with 10% sweet potato silage). Pigs were slaughtered at approximately 110 kg live weight and fatty acid, amino acid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pork loin. In cooked meat, sensory evalu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The palmitic and palmitoleic acid content of C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p<0.05). In amino acid composition,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isoleucine and phenyl alanine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 산삼 배양액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진상근,김일석,송영민,허선진,박기훈,정기종,김동훈,노정만 진주산업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6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13

        Berkshire를 이용하여 70일간 산삼 배양액 급여 시 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산삼 배양액의 급여에 의해 육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회분, pH, 가열감량, 콜레스테롤 함량, 육색, 조직감의 응집성과 검성,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수력, 지방색 L^(*)값, 지방산 중 linoleic acid(18:2), arachidonic acid(20:4), 필수지방산의 함량, 아미노산 중 threon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histidine, lysine 및 총아미노산 함량은 산삼 배양액의 급여에 의해 감소하였다. 전단가, 조직감의 표면경도, 경도, 씹힘성, 지방산 중 stearic acid(18:0), oleic acid(18:1) 함량, 아미노산 중 serine, glycine, cystine, methionine, tyros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은 산삼 배양액의 급여에 의해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산삼 배양액의 급여는 돈육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효과 외에 뚜렷한 이화학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급여된 산삼 배양액 내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낮고, 급여수준이 낮은 결과로 사료되어진다. A total of 60 pigs (Berkshire)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CMG)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About 60 kg pigs were randomly alloted into one of two experimental diet groups (C:commercial diet feed; T:commercial diet + 1 L CMG per day for 70days). Pigs were slaughtered at approximately 110 kg live weight, and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pork lo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Water-holding capacity was decreased by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while shear force was increased. However, pH, cooking loss and cholesterol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different treatments. In color, L^(*) of fat was decreased by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Brittleness, hard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in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group. In fatty acid, stearic acid (18:0) and oleic acid (18:1) were higher in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group, whereas linoleic acid (18:2) and arachidonic acid (20:4)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In amino acid, serine, glycine, cystine, methionine, tyrosine and phenylalanine were higher in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group, whereas threon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histidine and lysine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