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기업 안전문화 기반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사례연구 - L기업의 코로나19 초기 대응을 중심으로

        정기식,송남일,정종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재난이 발생한 이후 그 피해 규모는 재난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에 크게 좌우된다. 특히 재난관리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중 대응단계는 재난이 발생한 혼란한 상황에서 재난관리조직의 상황통제, 자원조달, 위기 커뮤니케이션 등 조직의 안전문 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기업의 재난대응 과정을 살펴보고 기업의 재해경감활동 체계 구축을 위한 안전문화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의 초기 대응과정에서 최고경영자의 안전리더십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둘째, 위기대응 매뉴얼은 위기상황에서 혼란은 최소화 하였다. 셋째, 전체 구성원들이 재난대응에 효율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자원들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을 때, 조직 의 초기 재난대응력이 향상된다.

      • IT서비스 기업의 안전문화 내재화에 관한 연구 (L사를 중심으로)

        정기식,정다원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 기업이 급변하는 사업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BCMS 도입을 위하여 IT서비스 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의식수준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속연수 가 짧고 상대적으로 젊은 직원들이 나이 많은 장기근속자 보다 안전에 대한 수요가 많았으며, 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프로그래머들보다 인사, 지원, 회계 등의 지원부서에서 근무하는 인원들의 안 전의식이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구성원들은 경영진의 안전에 대한 리더십과 안전의식은 높게 평가 한 반면, 회사의 안전 정책 중 성과관리, 절차준수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여 개인적 수준의 안전의 식보다 조직적 수준의 안전문화 개선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이해관계자 이론의 자본구조 예측가능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기식 대한경영학회 2004 大韓經營學會誌 Vol.17 No.1

        This paper positively investigates that the Cornell·Shapiro's stakeholder theory can predict capital structure of korean firms. To test this idea, 245 firms in the KSE are categorized into 2 different strategic group with related ratio(RR) and specialization ratio(SR), : related and unrelated diversified firm. Cross-sectional multiple regressions with dummy variables show that capital structur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rategic variable. But the sign of strategic variable coefficient is opposite to Barton et al's results. Presumably, the reasons of that due to the differences in management surroundings between Korea and America, namely, manager's perception in the cost of capital, the degrees of informational asymmetries under the owner'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stakeholder theory can predict the capital structure of korean firms, but they lie in management surroundings which different from American firms. This paper positively investigates that the Cornell․Shapiro's stakeholder theory can predict capital structure of korean firms. To test this idea, 245 firms in the KSE are categorized into 2 different strategic group with related ratio(RR) and specialization ratio(SR), : related and unrelated diversified firm. Cross-sectional multiple regressions with dummy variables show that capital structur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rategic variable. But the sign of strategic variable coefficient is opposite to Barton et al's results. Presumably, the reasons of that due to the differences in management surroundings between Korea and America, namely, manager's perception in the cost of capital, the degrees of informational asymmetries under the owner'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stakeholder theory can predict the capital structure of korean firms, but they lie in management surroundings which different from American firms.

      • BCMS활성화를 위한 기업재난관리표준의 개선에 관한 연구

        정기식,장기명,이종현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본 논문에서는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이 2008년 발효된 이후 현 재까지 개정된 내용과 사유를 관찰하고, BCMS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사항을 도출하였 다.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에 따르는 [기업재난관리표준] 등의 행정규칙들의 목적과 적용범위를 살펴보면 기업의 입장보다는 국가 또는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입장에서 기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항공사 오너일가의 갑질파문, BMW 차량의 화재 등의 사고는 해당 기업의 평판을 심각하게 훼손하였으며, 그로인한 피해는 “재해” 수준이다. 이러한 최근의 사업환경 변화에 기업들이 적절히 대비하고 사업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지침이 필요하다. 기업의 재해 경감을 위한 활동을 언제까지 기업의 자율에만 맡겨둘 것인지에 대한 검 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SNS가 발달한 사회 환경에서 특정 기업의 재난이나 사고는 더 이상 해 당 기업의 문제만으로 한정할 수 없다. 또한, 재난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여러 부 서로 나눠진 재난업무의 조정도 검토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는 기업들이 재해경감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BCMS가 활성화 되기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航空 武器體系의 發展이 海軍力에 미치는 影響

        정기식 해군대학 1984 海洋戰略 Vol.- No.30

        오늘날 과학의 발달은 항공무기체계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태평양전쟁 이후, 항공기는 해전에서 해군의 주 공격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수상함들에게는 점차 공중위협이 증대되고 있으며, 포클랜드 분쟁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공대함 유도탄의 위협은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공대함 유도탄은 사정거리가 길고, 명중률이 높으며, 단위 발당 파괴력이 증대되고 있어 더욱 그 위협의 정도들 더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해군에게도 예외일 수는 없으며, 소련과 북괴에 의한 공대함 유토탄의 공중위협은 심각하다 하겠다. 유사시 한국의 해상교통로는 소련의 장거리 폭격기와 함재기의 간접적인 공중위협을 받게 될 것이며, 특히 전방 접적해역의 해군 기동부대들은 소련의 폭격기와 함재기의 간접위협과 함께 북괴 전투기들의 직접적인 공중위협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접적해역에 대한 대공방어체계의 확립은 시급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현재 해군은 공군의 포괄적인 방공망 속에서 간접적인 항공지원을 받고 있으며, 함정의 대공무기체계는 매우 미흡한 형편이다. 반면 공군의 항공기지들은 연안에 고루 위치하고 있어서 해군을 지원하는 데 항공모함에 못지 않는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해군과 공군의 가용한 세력을 기능적으로 결합시킬 때 다음과 같은 5중의 대공종심방어 체계를 만들 수 있다. 즉 외곽 제1선에 해군과 공군의 자동화된 조기경보체계를 운용하며, 제 2선에 공군의 요격기를 운용하여 적기가 기습해 올 때 그들의 사정권 밖에서 요격을 하고, 요격기의 방공망을 침투하여 접근하는 적기는 제3선의 대공 유도탄과 제4선의 함포를 운용하여 축차적으로 격추시키며, 동시에 제 5선의 각종 기만수만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때 한국해군은 효과적인 대공종심방어 체계를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19 대응에서 발신자 특성과 재난 메세지가 구성원의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중관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기식,정종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9 No.2

        연구목적: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위기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평상시 어떤 활동들이 기업에 요구되는지 를 탐색하여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L기업에 재직 중인 종사자를 대상으로 회사의 코로나 19 대응 과정에서 느낀 재난 대응부서, 재난 메시지와 평상시 회사에 대한 인식 및 종사자의 반응행동 정도에 대해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신자 특성은 구성원의 행동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 내지 않았다. 둘째, 기업 내부의 재난 대응 메시지는 구성원의 규범적 행동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재량 적 행동에는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발신자 특성과 재난 대응 메시지는 공중관계성에 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공중관계성은 발신자 특성과 구성원의 재량적 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평 상시 기업 내부의 재난 컨트롤타워에서는 재난 대응 메시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며, 공중관계성 강화 를 위한 구성원 친화적인 기업문화 구축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 Purpose: For effective crisis communic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we present policy measures by exploring what activities are required of companies on a daily basis. Method: Employees working for L company were surveyed about the disaster response department, disaster message, and perception of the company during the company's response to COVID-19, as well as the level of response behavior of the employee. Results: First, caller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changes of members. Second, while the disaster response message within the company had no effect on the members' normative behavior,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scretionary behavior. Third, caller characteristics and disaster response messages had a positive effect on public relations, and public relations appeared to mediate caller characteristics and members' discretionary behavior. Conclusion: Studies on disaster response messages are required in the disaster control tower inside the company in normal times, and activities to build a member-friendly corporate culture for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