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410A 냉매를 사용한 열펌프용 열교환기의 형상에 따른 성능특성 연구

        정규하,박윤철,오상경 대한설비공학회 2004 설비공학 논문집 Vol.16 No.4

        The air and refrigerant side heat transfer performances are key parameters to improv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fan performance. Design of the fins, treatment of the tube inside, tube diameter and tube array effect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The heat exchanger is used as a condenser at cooling mode and used as an evaporator at heating mode in the heat pump system. The heat pump system uses R410A as the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rs are consisted with 7 mm diameter tubes with slit-type fin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variation of arrangement of the refrigerant path and air flow rate and refrigerant pressure drop and heat transfer rate were measured with a code tester. The capacity of the 3 path heat exchanger is more efficient than 2 or 4 path heat exchangers in heating or cooling modes.

      • KCI등재

        각도와 거리 설정에 따른 출판 만화 연출의 특징

        정규하(Jeung, Kiu-Ha),김소원(Kim, So-w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5

        출판만화는 드라마, 영화 등과 함께 대중적 인기를 얻고 있는 매체로서 인정받고 있고 나름의 확립된 장르적 특성이 있다. 그러나 연출에 대한 연구는 영화, 드라마, 연극 등의 다중 매체에 비해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안수철의 각도와 거리개념을 적용하여 기본적인 연출의 요소 중에서 각도와 거리의 설정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고 분류해봄으로써 이론적으로 분류된 기능들이 실제적으로 그러한 기능을 실행하는지 살펴보고 그 외 부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점을 중점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우선 각도와 거리설정은 장르별 만화의 분위기에 따라 특정 설정이 빈도가 높게 나타나리라는 예상으로 접근을 시도했지만 예상과 달리 장르의 특징보다 작가 개인적 기호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으며 각도와 거리설정의 기능적 측면은 표현적 공간에 국한된 설정이며 강렬함을 표현하는 기능으로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물리적 공간의 설정이다. 이러한 만화 연출의 특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만화연출의 폭을 넓혀보고자 한다. Published comics are widely recognized as a popularity-gaining media as well as Soap opera and the movies, and it also has a established characteristic of category. However, compare to the multimedia such as the movies, soap opera and playes, the research on direction is not yet satisfactory This research mainly tries to investigate on, first, whether the theoretically classified functions do actually practice their parts or not, and else, what other additional functions should be considered, by classifying the set up of basic direction functions, angles and range, which the most-cited angle and distance notion of "Ahn Su Cheol" in comic education field. First, although we tried to approach with the expectation of angle and distance set up that will have a high frequency of certain set ups according to the atmospheres of comics of genre, unlike the expectation, they are rather displayed depending on the personal taste of the writers. The functional aspects of angles and distance set up are the fixing that are only limited in the space of representation, and it is the set up of physical space that should come first as the function of expressing the intensity. As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mic direction, this research will help the range of comic direction to be broadened.

      • KCI등재

        만화 입시 실기의 문제점과 대안

        정규하(Jeung Kiu-Ha),이헌우(Lee Heun-woo)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2

        한국의 입시에 관한 첨예한 문제제기는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만화 관련 학과에서도 예외가 없다. 창의성부재와 패턴화, 각 학교별 자율적 실기고사 유형에 따른 문제점, 평가의 문제점이 지적되는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실기시간의 확충, 창의성 평가를 위한 별도의 실기도입, 그리고 창의성 평가를 공교육이 장기간에 걸쳐 전담해 주는 방식 등이 거론된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전제는 대학은 학생들에게 대학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정이 우선되어야 하며, 무엇을 가르칠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능력을 가진 학생이 선발되도록 입시의 문제가 출제 되어야 한다. 진학 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예상과 다르게 나타날 경우 평가의 기준을 다시 살펴 볼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대학에 많은 것이 요구 되는 것은 학생선발의 주체가 대학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갖추어야할 능력을 요구하는 것도 대학이고 이를 평가하는 것도 대학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선발과정을 거쳐 좋은 인재를 확보하고 교육을 통해 성장시켜야만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question acutely raised regarding Korea's entrance test is not just a matter of yesterday or today. It is not an exception to cartoon related fields, which lack of creativity and patterning trend, problems according to the types of autonomous performance tests for each school, problem of evaluation are being pointed out. As such alternative, methods such as expansion of time for performance test, introduction of extra performance test for evaluating creativity, and public sector exclusively taking in charge of creativity evaluation, and etc. will be made as the subject of discussion.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assumption is to establish what Universities are intending to teach to students first, and to teach such thing, the questions of their entrance tests should contain relevant criteria so that students with relevant abilities would be selected. Even after entering school, constant monitoring would be necessary, and if it shows different results as expected, the criteria should be reviewed again. As such, the reason for Universities requiring much things is because the Universities are, the subject of student selection, the subject which requires certain abilities to students, and the subject of evaluation. Therefore, it is because a University can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only when good talented students are obtained through such process of selection and ar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 KCI등재후보

        웹툰에 나타난 새로운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정규하(Jeung Kyu-Ha),윤기헌(Yoon Ki-He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7

        웹툰이 활성화 되면서 웹 형식에 맞는 새로운 표현 형식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웹툰에 나타난 새로운 표현양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그 하나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CG사용의 보편화, 컬러만화의 대중화가 그에 속한다. 두 번째는 웹기반에서 생성되는 특징으로 세로 스크롤의 경향, 시간 개념의 도입, 애니메이션적인 연출 효과, 매체 최적화 제작 경향, 다양한 미디어 접목 시도를 들 수 있다. 웹기반의 만화 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이 노정되고 만화가나 만화계의 저작권 등의 해결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그러나 웹툰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 표현양식의 변화는 보다 만화의 지평을 넓혀 줄 것이다. As webtoon became activated, new forms of expression corresponding to a web format were appeared. New form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he first is regarding on the computer, which includes a wide use of CG, and color comics. The second is related to web-based one, which includes the trend of a vertical scroll,the introduction of concept in time, animation stage effects, the manufacture trend of media optimization, and the various media mixing. While problems regarding web-based comics service such as copyright and cartoonist become manifested, webtoon will widen new horizon of comics with its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in the form of expression.

      • KCI등재

        웹툰에 나타난 특징적 말칸 연출에 대한 분석

        정규하(Jeung, Kiu-HA),윤기헌(Yoon, Ki-He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6

        만화의 구성요소는 칸, 칸새, 말칸(말풍선)이다. 말칸은 청각적 요소가 완전히 배제된 회화나 청각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영화, 애니메이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만화만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만화의 연구대상에서 말칸은 소외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몇 안되는 선행연구들에서는 말칸의 형태적 특징과 기능에 대해 분명하게 짚고 있다. 웹툰이 일반화된 현재의 시점에도 이러한 말칸의 특징과 기능들이 그대로 계승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다만 웹의 환경적인 요소가 만화 연출 전반에 걸쳐 변화를 유도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말칸에도 그 영향이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웹툰에 나타나는 말칸의 특징으로 분류할 만한 관점은 두 가지로 첫째는 말칸의 배치 문제이다. 웹 공간의 무한확장성은 만화의 칸새를 넓게 활용하는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에 따라 말칸도 영향을 받아 그 특징을 이용해서 배치하는 경향이 일정부분 나타나고 있다. 이를 분류해 보면 일반 배치형, 외곽 배치형, 상하 배치형, 스크롤 활용형으로 그 특징을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세로스크롤을 활용해 읽어 들어가는 가독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둘째는 형태적인 문제로 웹툰의 제작 기법이 디지털화되면서 나타나는 다양한 표현방법에 따라 그만큼 말칸 자체의 형태적 표현의 폭이 넓어진 특징이 있다. 그 외 제작형태에 따라 ‘칸 외 배치형’, ‘칸 내 배치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향은 원고 제작에 있어서 출판형태의 원고를 제작한 뒤 여러 매체에 맞는 연출로 편집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편집 시에 매체의 특성을 활용하느냐 원본의 이미지를 그대로 고수하느냐의 판단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것이다. 만화는 본질적인 속성을 유지하면서 각 매체의 특성에 따라 변화되어 적용되는 부분들이 생겨나고 있다. 또한 앞으로도 생겨날 매체의 특성에 따라 그 모습을 변화해 갈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에 새로이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하고 분류하여 기록하는 일은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고 후행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Comics has three components: cuts, gap between cuts, speech balloons. Still, it is true that speech balloons are not commonly subject to the study for comics. A few preceding researches pinpoint exactly the morphological features and functions of speech balloons. In today when webtoon becomes generalized, these features and functions are continued as they are and are used in webtoon. We can catch that speech balloons are also affected since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web induce the change in the overall comics directing. There are two perspectives to sort out the features of speech balloons: first, the placement issue of speech balloons. The unlimited expansion of web space gives the environment for comicss to use the gap between cuts as wide as they can. It leads to turn out some of the ways to place the balloons, so we can sort them out general placement, exterior placement, the upper and lower placement, scroll-use type. Second, as the directing techniques for webtoon become digitalized by the morphological issue, speech balloon itself has been expanded its ways to express by various expression methods. Analyzing and classifying, recording the newly emerged conditions on the preceding study are worthy of trying and will become the cornerstone for the follow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