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Liberating Zen: A Christian Experience

        정경일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5 No.1

        This article argues that Buddhist-Christian dialogue in Korea needs to be socially responsible and engaging because the religious neighbors and suffering neighbors in the country are inseparable. Also, it challenges an assumption that Buddhism in general and Zen in particular are by nature socially disengaging. Korean Zen, like any other religious tradition, has both promises and problems in regard to its response to the reality of social suffering. On the one hand, with its emphases on engaged mindfulness, non-attachment, and bodhisattva compassion, Zen may encourage Buddhists (and non-Buddhists) to transform the self and society. On the other hand, Zen shows its limitations, such as enlightenment essentialism and ethical non-differentiation, which discourage Buddhists from engaging in social action. Thus, this article examines both what is liberating and what needs to be liberated in Korean Zen from the viewpoint of a Christian who practices Zen.

      • KCI등재후보

        한, 중, 일의 로마자 표기법

        정경일 우리어문학회 2004 우리어문연구 Vol.22 No.-

        Romanization means the writing systems by roman alphabet are used in non-roman language countries. Most of these countries have their own writing system for native speaker. But foreigners who didn't study a visiting country's language would have many troubles to communicate with native speaker. So many countries use roman alphabet as second writing system for foreigner's conveniences and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hree countries in Asia, Korea, China and Japan also have own romanization which based on their linguistic features. These countries have similar regional and cultural experiences in history, there are many common feature in Romanization. First of all, it was introduced by European missionary at the end of 18th century. After then the system was changed by native speaker continuously. It have also the principle of one phoneme to one letter. But each countries have unique system. korea and China use transcription but Japan use transliteration. For the convenience of foreigners, the system was required to register in ISO. China and Japan already did but Korea didn't yet. 로마자표기란 로마자를 자국 언어 표기의 일차적 문자체계로 사용하지 않는 언어사회에서 외국인의 편의를 위하여 로마자를 이차적인 표기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표기는 19세기 이후 로마자 사용국가가 전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되면서 더욱 확산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 일본은 유사한 지리적, 문화적,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마자표기의 역사적 진전과 표기방식에서도 유사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들 세 나라의 로마자표기는 모두 18세기 이후 서양 선교사에 의하여 로마자 표기가 시작되어 점차 자국인 중심의 체계로 전환되어 왔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리고 모두 일음소 일문자 원칙을 지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로마자 표기는 각각 언어체계의 특성에 독자적인 양상을 나타낸다. 중국은 일관되게 전사법을 유지하고 있으나 ,일본과 한국은 전사법과 전자법의 사이에서 혼란을 빚어오다 현재는 일본은 전자법을, 한국은 전사법을 채택하고 있다. 한편 로마자 표기는 자국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외국인을 위한 것이므로 전 세계적인 표준화 작업이 요구되는데 중국과 일본은 세계표준기구(ISO)에 등록이 되어 있으나 한국은 그렇지 못하다. 이는 남북한간의 합의가 우선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 KCI등재

        긴골동 고구려 벽화무덤 발굴 조사 성과에 대하여

        정경일,김명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1

        Previously, there were no reports of Goguryeo Mural Tombs in Nakrang District, Pyongyang, North Korea. Then in 2009, as the Goguryeo Mural Tomb was first discovered in Dongsandong, so were the Jeonjindong Mural Tomb and the Boseongri Mural Tomb. During the surveys of Goguryeo Tombs in Gingoldong in 2019, two mural tombs were discovered. This paper is a brief report on the excavation of the Gingoldong Tomb No.8 and No.10. Gingoldong Tomb No. 8 is a semi-underground stone chamber tomb(石室封土墓), which consists of a tomb path(墓道), tunnel(羡道), front chamber(前室), passage(甬道) and back chamber(後室). A few murals are kept only in the front chamber(前室) and back chamber(後室) of the tomb. The theme of the murals is the characters and customs. The fresco of the front chamber(前室) is only kept above the south wall, and it depicts a walker and 4 horsemen. There were some murals on the north and west walls of back chamber(後室), depicting the pillars in red chestnut color. Gingoldong Tomb No. 10 is a semi-underground stone chamber tomb(石室封土墓), which consists of a tomb path(墓道), tunnel(羡道), door room(門室) and back chamber(後室). Most of the murals on the two walls of door room(門室), the four walls of the back chamber(後室) and the ceiling have fallen off. Many fragments of frescoes were found during excavations. Judging from the traces of the murals on the wall and the fragments of the murals left on the floor, it can be known that the theme of this tomb mural is the characters and customs. So far, five mural tombs of Goguryeo including Dongsan Mural Tomb, Jeonjindong Mural Tomb, Boseongri Mural Tomb, Gingoldong Tomb No. 8, and Gingoldong Tomb No. 10 have been discovered in Nakrang District, Pyongyang al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academic surveys on the evolution proces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oguryeo Mural Tombs. 종전에 북한 평양시 낙랑구역에서는 고구려 벽화무덤이 보도된 바가 없다. 그러다가 2009년동산동에서 첫 고구려벽화무덤이 조사된데 이어 전진동벽화무덤, 보성리벽화무덤이 잇달아 발견되었다. 2019년에 긴골동에서 고구려무덤을 조사하는 와중에 2기의 벽화무덤을 새롭게 조사되었다. 본고는 새롭게 조사된 긴골동8호무덤과 10호무덤의 발굴 정형에 대한 간략보고이다. 긴골동8호무덤은 무덤길, 안길, 앞칸, 사이길, 안칸으로 이루어진 반지하식의 석실봉토묘이다. 벽화는 무덤칸의 앞칸과 안칸에만 일부 남아 있다. 벽화 주제는 인물퐁속도이다. 앞칸 벽화는남벽의 윗부분에만 남아 있는데 1명의 보행자와 말을 탄 4명의 기마 인물을 그린 행렬도이다. 안칸에는 북벽과 서벽에 벽화가 약간 남아있는데 붉은 밤색으로 기둥 같은 것을 표현한 것이다. 긴골동10호무덤은 무덤길, 안길, 문칸, 안칸으로 이루어진 반지하식의 석실봉묘이다. 벽화는문칸의 양 벽과 안칸의 네 벽면과 천정에 그렸던 것인데 대부분이 박락되었다. 발굴 당시 수많은벽화조각들을 발견하였다. 벽면에 남아 있는 벽화 흔적과 바닥에 떨어진 벽화조각으로 보아 이 무덤의 벽화 주제는 인물풍속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로서 평양시 낙랑구역에서만 지금까지 동산동벽화무덤, 전진동벽화무덤, 보성리벽화무덤, 긴골동8호무덤과 10호무덤 등 총 5기의 고구려 벽화무덤이 조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벽화무덤의 변천과정이나 지역적 특징 등에 대한 진일보의 학술적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로마자 표기법의 언어정책적 현실

        정경일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0 No.-

        On July.2000. the government of Korea formally proclaimed its new system of Romanization. It was the fourth official Romanization since 1945 the establishment of Korea government. However actually most of Korean does not know about the content of romanization, what is worst some of them intentionally ignore it. This paper discussed that the reason why most Korean did not observe the standard of Romanization was the mistake and lack of the policy related education, publication, writing road sign, personal name etc. As a conclusion, I supposed that education of romanization would be started at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it would be included in English curriculum as well as Korean. When writing road sign, we ought to define newly that the fundamental notion what is the Roman letter. Because of most of korean consider Roman letter as English letter. Of course this is not only related with road sign but the basic point of romanization itself. Also when to register the trade name, it would be checked that the writing of the trade name coincide with the rule or not.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어문규범의 하나로 국어를 외국인으로 하여금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이해하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 규범은 현실적으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도로표지 또는 일부 문화재의 표기 등을 제외하고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국어 로마자 표기법이 준수되지 않는 데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는 표기법 자체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표기법에 관한 사회적 인식부족이다. 본고는 후자의 경우에 촛점을 맞춰 이러한 인식부족이 표기법에 대한 교육을 비롯한 언어정책적 차원의 문제에서 비롯되었음을 논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문제인 교육의 경우 그동안 정규 교과과정에서 공식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인식부족이 초래되었으며, 일상적으로 접하는 도로표지의 경우에도 정부와 지자체의 표기법에 일관성이 없어 혼란을 초래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표기법의 개정과 교육의 강화, 도로표지의 일원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등을 논하고 이를 통해 로마자표기법의 조속한 정착에 일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