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 정신전력교육 수업 주제에 대한 요구분석

        전해님,박인우,현승범,정태윤,유기웅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69

        This study attempted to select topics to be considered first in future classe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understanding, and priority of class topics recognized by major groups related to TI&E class. To this end, we derive 63 potential class topics and survey company commanders, and TI&E officers, and the soldier group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t-test and Borich's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on a total of 347 questionnaires, various demands appeared for each group. By summarizing this, we selected 23 topics with priorities in two or more groups as core topics, and 21 topics with priorities in one group as essential topics. In the case of 19 topics that did not show priorities, they were included as selected topics because content experts verified them in the selection process and showed the importance of more than 4 points in the survey. In future weekly TI&E education, it suggests that the core topic should include at least once a year in basic task education, and essential topics should include in basic tasks or current affairs security education. And we could consider selected topics as sub-topics of core or essential topic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methods of motivation, unificat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 added in the 2019 textbook, and group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values.

      • KCI등재

        사관학교 맥락에서 학습자 질문에 대한 연구

        전해님,박인우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3 한국군사학논집 Vol.79 No.3

        본 연구는 육군사관학교 맥락에서 학습자의 질문에 초점을 두고 혼합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의 76%, 교수자의 91%가 학습자 1인이 1주일 동안의 수업 중 질문을 2회 이하로 한다고 응답했다. 학습자 질문저해요인(김수란, 2014)에 대한 응답은 학습자의 경우 사회-관계적 특성이, 교수자의 경우 인지적 특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부 요인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 저학년과 고학년, 남생도와 여생도의 응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 면담과 주제 분석을 통해 생도들이 질문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5개 범주 10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mixed study focusing on learners' questions in the context of the Military Academy. As a result of the survey, 76% of learners and 91% of instructors answered that one learner asks less than two questions during class for a week. As for the response to the learner's question-inhibiting factor (Kim Soo-ran, 2014), learner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socio-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structor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cognitive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ed factors were found in the response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lower and higher grades, male and female cadets. 10 topics in 5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group interviews and topic analysis on why cadets do not ask questions.

      • KCI등재

        국내 개봉 영화에 나타난 군인 캐릭터 분석

        전해님,윤영민 국방정신전력원 2023 정신전력연구 Vol.- No.75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22년까지 연간 박스오피스 순위 50위(한국/외국) 내 영화에 등장하는 군인 캐릭터 280명을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군인 캐릭터의 성별, 계급, 직업 이미지(선함과 악함, 유능함과 무능함), 관계성(적군 및 아군과의 관계: 우호적-적대적)이 어떻게 재현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활용해 배경 시기와 개봉 시기, 제작 국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군의 등장과 역할이 제한적이었고 실제에 비해 장교, 특히 장군의 비율이 높았다. 직업 이미지는 ‘선함’과 ‘유능함’의 평균값이 높았으며 6.25 전쟁기의 캐릭터가 선한 것으로, 병영문화혁신기의 캐릭터가 유능한 것으로 그려졌다. 또한 진보정권 시기 개봉 영화, 특히 군사정권 시기를 배경으로 한 캐릭터의 ‘악함’이 두드러졌다. 외국 영화의 캐릭터는 더 유능하며, 한국 영화의 캐릭터는 아군에게 더 적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군사정권 시기의 군인이 재현되는 이미지, 아군끼리 적대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 등을 극복하고 국군의 유능함을 보일 수 있는 전투 스토리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280 military characters appearing in films which was within in the 50th place in the annual box office rankings (2004-2022, Korea/foreign) by content analysis. The gender, class, image of civil servants (goodness and evil, competence and incompetence), and relationship (enemies and allies: friendly-hostile) of military characters were analyzed. In addi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timing, release timing, and production country were analyzed using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ppearance and image of female military characters were limited. And the proportion of officers, especially generals, was higher than in reality. As for the job image, the average value of "goodness" and "competence" was high. Characters during the Korean War were depicted as good, and characters during the military culture innovation period were depicted as competent. In addition, the "evilness" of the characters set in the period of the progressive regime, especially during the military regime, was prominent. The characters of foreign films were more competent. The characters of Korean movies were more hostile to our forces. It is recommended to overcome the image of the military regime and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our allies. It is also necessary to discover a combat story that can show the competence of the Korean military.

      • KCI등재후보

        신병정신전력교육 방안 연구 - 질문과 토의를 중심으로 -

        전해님(Jeon, Hae-nim),정한겸(Jeong, Han-kyeom) 국방정신전력원 2019 정신전력연구 Vol.0 No.57

        신병정신전력교육은 훈련병들이 군인이자 민주시민으로서 자신의 임무와 역할, 군 조직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군인으로서 가치를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전체 군 복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자신감으로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병교육부대와 입대 장병들의 특성을 고려한 신병정신전력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육군훈련소 정훈공보부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방법으로 질문과 토의를 중심으로 한 ‘Why 캠페인을 적용한 정신전력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훈련병의 군 복무 가치 형성에 가장 필요한 ‘핵심 Why 질문’과 이를 뒷받침하는 세부 토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원활한 토의를 위해 교육생은 사전학습을 실시했다. 실제 수업에서 교관은 질문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짧은 핵심강의로 배경지식을 전달한다. 이후 교육생들은 토의와 발표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교관은 강평을 실시하여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주었다. 수업 종료 후에는 서술평가를 실시하여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보는 기회로 활용하였다. 위와 같은 새로운 교수방법을 실제 훈련병에게 시행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 교육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Why 캠페인을 적용한 정신전력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에서 ‘교육에 참여했다’, ‘과제를 이해했다’고 응답하는 인원이 많았다. 또한 각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 2차례에 걸쳐 ‘핵심 Why 질문’을 응용한 설문(Likert 5점 척도)을 실시하여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큰 평균차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은 전 문항에서 교육 전-후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더불어 초기 교수방법에서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였다. 교육전일 뿐만 아니라 수업시간에도 사전학습을 추가 편성했으며 직접적인 참여가 제한되는 발표 시간을 축소하였다. 또한 토의 방법을 2가지로 구분하였다. 과제의 성격에 따라 상호 동료교수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짝 토의, 흥미와 자극으로 의미기억을 일화기억으로 바꿀 수 있는 분대 토의를 실시하였다. 질문과 토의를 중심으로 한 신병정신전력교육은 이유와 목적을 설명한 교육으로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군 복무와 관련된 핵심가치를 내면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교수방법을 더욱 정교화하여 다양한 신병교육부대로 확대 적용해 보고 장기적으로는 이 교육이 전체 신병교육훈련 과정 및 실제 군 복무에서 긍정적인 행동변화를 이끌어내는지에 대한 면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정신전력교육 수업에 대한 형성적 연구

        전해님(Jeon Haenim),현승범(Hyeon Seungbeom) 국방정신전력원 2021 정신전력연구 Vol.- No.65

        본 연구는 육군에서 시행하는 「내적가치 함양교육」에 디지털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 이하 DST)을 접목하기 위한 형성적 연구이다. 선행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DST를 접목한 내적가치 함양교육」 수업의 절차와 수업의 단계별 주요 수업 활동을 도출한 후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이를 수정했으며 교수 프로그램 패키지 초안을 제작하고 1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형성평가를 시행하였다. 형성평가 이후 최종 수정된 9단계의 수업 절차와 31개의 주요 수업 활동을 제시하였다. 형성평가 결과 92.3%의 학습자가 수업의 2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하였으며 수업의 내용과 매체, 길이와 난이도는 대체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업의 목적(기대효과)인 내적가치 함양에 대해서는 수업 전-후 자기보고식 검사(12개 문항)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수업 후의 평균이 향상되었으며 Wilcoxon 부호순위검정 (p=.05)에서는 6개 문항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현장 평가 및 실제 규모의 수업을 시행해보아야 한다. 또한 수업의 기대효과 달성 여부에 대한 교육 과정 외 평가가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 야전부대에서 이 수업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보완 또한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formative study to incorporate digital storytelling into the 「education for the intrinsic value」 conducted by the Army.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the procedures and primary class activities for the 「Education for the intrinsic value with DST」class were derived. This was modified through expert validation. Afterwards, a draft of the teaching program package was produced and form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Finally, the revised nine-step class procedure and 31 primary class activities were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formative evaluation, 92.3% of learners achieved both goals of the class. Also, the contents, tools, length and difficulty of the class were generally considered appropriate. The expected effect of the class, the internal value development, was indirectly confirmed through self-report inspection before and after the class. As a result, In all questions, the post-class average was improved than before. Wilcoxon code ranking test results (p=.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x questions. For the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additional formative evaluations and actual scale classes should be implemented. In addition, assessments should be elaborated to assess whether the expected effects of the classes are achieved. Institutional modifications are also required to use classes in general field fo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