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태백산의 위치를 통한 신라의 북계에 대한 연구

        전준호(JoonHo Jeon) 바른역사학술원 2024 역사와융합 Vol.- No.19

        본 연구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기록된 신라의 오악(五岳) 중 북쪽의태백산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신라의 북계에 대한 내용이다. 현 학계에서는이 태백산을 경상도의 소백산, 내지 강원도의 태백산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삼국사기』「신라본기(新羅本紀)」에 기록된 내용들을 살펴보면신라의 위치가 경상도 경주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데, 신라의 북계가 말갈의 땅과 맞닿아있으며 북쪽에서 여러 차례 침략을 받아왔다고 기록하였고 태백산에 올라 제사를 드렸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말갈의 종류에는 태백산 일대에 거주한 백산말갈도 있었다. 즉 기록들의 내용을 토대로 지리적으로 말갈과 신라는 서로 인접해 있으며, 그 태백산을 남북으로 서로 공유하고 있었다. 즉 말갈이 한반도 내에 있지 않은 한 현재 경주 중심의 신라와 그 북쪽에 있는 태백산 개념은 성립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신라의 초기 위치와 함께 말갈과 신라 사이에 있었던 그 북쪽 태백산의 위치를 통해 신라의북계를 연구하였고 여러 문헌 사료와 고지도, 유물들을 종합적으로 교차 검증하여 초기 신라의 위치와 그 북쪽의 태백산 위치를 찾게 되었다. 연구 결과초기 신라의 위치는 요령성 금주시(錦州市) 일대로 이에 대한 유적은 라마동유적지(喇麻洞古墳群)이다. 또한 북계인 태백산은 하북성 승덕시 평천현(平泉 縣)의 칠노도산(七老圖山)에 있는 백두산(白頭山)과 같은 의미를 가지는 ‘광두산(光頭山)’이라는 연구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말갈과 신라의 경계에 있는 산맥인 장령(長嶺)이 칠노도산 이며 그 일대에서 신라의 북쪽 경계가 되는니하(泥河)의 위치를 통해 이를 입증하였다. 그리고 이후의 남·북국시대에발해가 융성해짐에 따라 신라는 동쪽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해주(海州) 암연현(巖淵縣) 동쪽과 계룡산(鷄龍山)이 신라의 서쪽 경계가 되었다. 또한 발해의멸망으로 인해 고구려, 여진, 발해인들 이 요하 서쪽 지역으로 대거 이동하여그곳에 거주하게 되었고 이때 대릉하와 요하 사이에 있는 요령성 금주시의의무려산(醫巫閭山)을 태백산으로 다시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후에 비로소 서쪽의 계룡산, 북쪽의 태백산으로 하는 신라 오악(五嶽)의 개념이 만들어 지게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Silla's Northern Territory based on the location of Mt. Taebaeksan in the north among the five mountains of Silla recorded in the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Currently, it is claimed that this Taebaeksan is Sobaeksan in Gyeongsang-do or Taebaeksan in Gangwon do. However, if you look at the records in 『Silla Bongi (新羅本紀)』 of the Samguk Sagi, you can confirm that the location of Silla is not Gyeongju in Gyeongsang-do. The northern border of Silla is adjacent to the land of Malgal, and it has been invaded from the north several times. and It is recorded that Silla climbed Mt. Taebaeksan and offered sacrifices. Also, among the types of Malgal, there was also Baeksan Malgal that lived in the Taebaeksan area. In other word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cords, Malgal and Silla were geograph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shared Taebaeksan to the north and south. In other words, unless Malgal i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currently the concept of Silla centered in Gyeongju and Taebaeksan to the north cannot be established. Based on this, in order to find the northern region of Silla through the initial the location of Silla and Taebaeksan Mountain to the north, which was between Malgal and Silla, various documents, old maps, and relics were comprehensively cross-checked to found the location of Taebaeksan. Based on this, north border of Silla was studied agai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location of the early Silla Dynasty was in the area of Jinzhou City(錦州市), Liaoning Province, and the relics related to it are the Lama-dong Historic Site(喇麻洞古墳群). In additio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Mt. Taebaeksan in the northern border is Guangtoushan(光頭山) which has the same meaning as Mt. Baekdusan (白頭山) in Qilaotu Shan(七老圖山) in Pingquan(平泉縣), Chengde City, Hebei Province. Jangyeong(長嶺) which is a mountain range on the border between Malgal and Silla, is Qilaotu Shan, and this was proven through the location of Nihe(泥河) which is the northern border of Silla in that area. And as Balhae prospered during the subsequent Southern and Northern Kingdom periods, Silla moved east, and the eastern part of Amyeon-hyeon(巖 淵縣), Haeju(海州) and Mt. Gyeryongsan(雞龍山) became the western border of Silla. In addition, due to the fall of Balhae, Goguryeo, Jurchen, and Balhae people moved to the western area of the Liaohe River in large numbers and settled there. At this time, Yiwulv Mountain(醫巫閭山) in Jinzhou, Liaoning Province, located between the Dalinghe River and the Liaohe River was recognized again as Mt. Taebaeksan. Only then the concept of the five mountains of Silla which consisting of Mt. Gyeryongsan in the west and Mt. Taebaeksan in the north was created.

      • 도로터널 화재안전기준 기반 항만 지역 도로터널 화재 안전성 분석

        하예진,전준호,Ha, Yejin,Jeon, Joonho 한국교통대학교 융복합기술연구소 2021 융ㆍ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Vol.11 No.1

        Recently, the fire safety of road tunnels has been important issues in South Korea. However, proper fire safety regulations has not made for road tunnels. Due to geographical challenges in South Korea, road tunnels should be constructed to secure stable traffic flows. In the Guideline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of Road Tunnels (NFSC 603), main target vehicles are passenger cars. This guidelines cannot support big fires from larger vehicles such as cargo, oil trucks. In this study, fire safety for a road tunnel in port area was analyzed with fire dynamics theory under cargo truck fire scenario. Sujunsan road tunnel in Busan city was chosen as a target tunnel, which links between Busan port and highways to increase cargo shipping. The results show the limitations of present guidelines (NFSC 603) for road tunnel from large fire situations.

      • KCI등재

        장대터널 내 대형화재 발생 시 제연설비 성능 확보를 위한 수치적 연구

        하예진(Yejin Ha),전준호(Joonho Je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6

        본 연구에서는 장대 터널 내 대형화재 시 제연설비 성능을 세부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항만 지역에 위치해 물류 이동이 많은 지역 터널을 기반으로 한 장대 터널을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화재 시나리오는 기존 실규모 실험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대형화재에 해당하는 화물차량 화재로 설정하였다. 지역 터널에서 사용하는 내경이 1250 mm인 제트팬을 시뮬레이션 터널에 동일하게 적용시켰다. 적절한 제연설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제트팬 유량 및 설치 간격의 변화가 연기 거동, 가시거리,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트팬 유량이 감소할수록 긴 역기류가 나타났으며, 인명 안전 기준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라졌다. In this study, a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fire dynamics simulator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a smoke control system in the case of a large fire in a long tunnel. A regional long tunnel that facilitates frequent movement in the port area was simulated. The fire scenario was set as a heavy goods vehicle fire corresponding to a large fire based on the existing real-scale experimental research data. A jet fan with an inner diameter of 1250 mm used in the regional tunnel was included in the tunnel simulation. For the evaluation of the smoke control system performance, the effects of the flow rate and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jet fan on the smoke behavior, visibility, and temperature was analyzed. As the flow rate of the jet fan decreased, backlayering was lengthened, which reduced the time to achieve life safety standard.

      •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다중 연료 적용에 대한 검토

        하예진(Yejin Ha),전준호(Joonho Je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연료는 연소의 4요소 중 가연물에 해당하며 고체연료, 기체연료, 액체연료 등 다양한 형태의 연료가 존재한다. 연료는 구성 성분에 따라 단일 물질로만 이루어진 연료가 있고 다중 물질로 이루어진 연료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치해석 연구는 단일 연료를 적용하여 화재를 해석하고 있다. 최근 FDS(Fire Dynamics Simulator)에서는 다중 연료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 연료를 해석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해 단일 연료로만 해석한 경우와 다중 연료로 해석한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비교하여 다중 연료 적용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다중 연료 중 한 연료의 구성 성분비 변화가 온도, 농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가 화재 시뮬레이션에서의 다중 연료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AZ61 마그네슘 합금의 어닐링 중 Ca의 첨가에 따른미세조직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기범 ( Kibeom Kim ),전준호 ( Joonho Jeon ),김권후 ( Kwonhoo Kim ) 한국열처리공학회 2021 熱處理工學會誌 Vol.34 No.2

        Due to high specific strength and low density, AZ series magnesium alloys have been receiving high interest as a lightweight material. However, their industrial application is limited due to the phenomenon that the strength decreases at elevated temperature by the occurrence of softening effect because of the Mg<sub>17</sub>Al<sub>12</sub> phase decomposition. To solve this problem, many research were conducted to increase the high-temperature strength by forming a thermal stable second-phase component by adding new elements to the AZ magnesium. Especially, adding Ca to AZ magnesium has been reported that Ca forms the new second-phase. However, studies about the analysis of decomposition or precipitation temperature, formation composition, and component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behavior of these precipitated phase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e effect of Ca addition to AZ61 on the phase change and microstructure of the alloy during annealing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initial and heat-treated specimen, AZ61 formed α-Mg matrix and precipitated phase of Mg<sub>17</sub>Al<sub>12</sub>, and AZX611 formed one more type of precipitated phase, Al<sub>2</sub>Ca. Also, Al<sub>2</sub>Ca was thermal stable at high temperatures. And after annealing, the laves phase was decomposed to under 10 μm size and distributed in matrix. (Received February 3, 2021; Revised February 10, 2021; Accepted March 17, 2021)

      • 터널 내 차량 화재에 따른 연기 거동 예측 및 제연 성능 확보 방안 마련

        하예진(Yejin Ha),전준호(Joonho Je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터널과 같이 부분적으로 밀폐된 공간 내에서의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염과 연소가스의 발생으로 많은 인명피해를 주고 있으며, 터널 구체를 붕괴하거나 훼손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몽블랑 터널화재, 타우에른 터널화재, 고타드 터널화재 사고 등 대형화재가 많이 발생했고, 국내에서는 대형화재가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국내에도 많은 터널이 존재하며 환경친화적인 고속도로망 구축과 선형개량등을 위하여 장대터널 건설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터널 내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해 화염, 연소가스 거동을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역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터널화재 시 연료에 따른 화재 거동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기 거동 예측을 위해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실제 터널 상황을 고려하여 화재 시나리오(Scenario)를 설정하였고,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실제로 부산에 존재하는 터널에 대해 화재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온도, 연기 생성량, 가시도, CO2 및 CO 생성량 등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또한, 비상시 연기를 배출하는 적절한 제연설비를 확보하기 위해 제연설비 용량, 대수, 위치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화재시뮬레이션 결과, 각 연료에 따라 값이 다양하게 나타났고 제연설비의 용량, 대수, 위치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SCOPUS

        가솔린 직접 분사식 엔진에서의 실린더 내 화염 거동과 입자배출물 특성

        김태훈(Taehoon Kim),전준호(Joonho Je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9 No.2

        Since gasoline direct injection(GDI) engines have the advantages of improved compression-ratio and high performance, the usage of GDI engines has been increased worldwide. Lean burn from GDI engines improves fuel economy; however, high engine-out particle number(PN) and mass(PM) have been issued from GDI engines. In this study, engine-out PN and PM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from a GDI engine operating in lean and stoichiometric combustion modes with in-cylinder spatiotemporal flame luminosity. A multi-channel optical sensor was used to measure the flame characteristics in the combustion chamber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Lean combustion mode can achieve 10 % less fuel consumption and stable operation under high load and speed. Lean mode shows one-tenth particle mass concentration compared to stoichiometric mode even with strong diffusion flame propagations. The source of large particles(> 50 nm) is highly related to the mixture formation and combustion process, whereas the small particles come from other sources.

      • KCI등재
      • 유럽 실내충돌안전규정에 따른 새마을호 의자의 승객상해 평가

        정현승(Hyun-Seung Jung),권태수(Taesoo Kwon),안인지(Inji Ahn),전준호(Joonho Je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With the introduction of a safety regulation on train structural crashworthiness, there is an interest in knowing the level of occupant safety of existing rail car seats. In this paper, the occupant safety of the Saemaeul-ho two-passenger seat was tested against EU SAFETRAIN project recommendations and ATOC AV/ST9001. Two tests were performed with a sled simulator. two Hybrid Ⅲ 50 percentile dummies, and 4 high speed cameras. Using the results of the test, the occupant behavior and the head, neck, leg injuries of the Saemaeul-ho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