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부처의 성과지표 개발방향 - 외국인정책의 성과지표 개발사례 분석 -

        전주상 한국거버넌스학회 201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8 No.1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ways for improving task performance indicators for foreigners' policy that is rising as a new policy. The tasks of foreigners' policy in 2009, based on 'The 1st Basic Plan of Foreigners' Policy (2008-2012)' are composed of 4 policy objectives -13 priority projects- 178 detailed tasks. They have somew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policies. Basically many tasks have characteristics of establishing infrastructures. And task performance indicators are centered those of process or simple output. So there are not a few limitations in measuring substantive performances objec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eveloping outcome or result - centered indicators, complementary use of customer satisfaction indicators, developing indicators for measuring efforts of departments carrying forward the task, and developing representative and core indicators, in improving task performance indicators for foreigners' policy.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영역의 정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외국인정책의 성과지표를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제1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2008-2012)」에 입각하여 2009년도 시행과제로서 4대 정책목표 -13개 중점과제- 178개 세부과제로 운영되고 있는 외국인정책의 사업들은 타 영역의 정책들과 비교하여 인프라 구축 측면의 사업들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성과지표들도 과정지표와 단순한 산출지표 중심으로 설정되고 있어 통상적인 정부 부처의 성과지표와 다소 상이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업의 성과를 객관적․실질적으로 파악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으며, 향후 보다 실질적인 성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성과 중심의 지표 개발, 만족도 지표의 보완활용, 사업추진부서의 노력 측정지표 개발, 대표지표 및 핵심지표 개발 등이 요구된다.

      • KCI등재

        지방직 인턴공무원제 도입을 위한 시론적 연구

        전주상,하혜수 한국거버넌스학회 2008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5 No.2

        Promotions of competent persons at local level seems currently to be crucial agenda in consistent with taking for being granted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balanced personal recruitment take an important role for strengthening the national competence. On the contrary, the roles of local knowledge production and personnel fostering ability become more weaker and weaker under our circumstance. Thu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local internship for government officers' recruitment is supposed to be an alternative for balanced center-local development and flexibility for current local government officers recruitment system. The internship program is one of the ways reflecting representative bureaucracism, in a certain part, on the local government personnel system. In addition to this, the internship is made up of a series of procedures that the qualified and college graduates applicants(or graduates to-be) should be selected by college presidents' recommendation and screening process and finally recruited as general administrative personnel with the 8th degree position after testing eligibility for public officials through the 1 years internship. It will be expected that the competent personnel at local level is more likely to be protected and renovated social strong attachment to better-educational background. Moreover, it will contribute, in the long run, to facilitation on local economic and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center and the local. This system, however, seems to be not well-come for capital region including Seoul and the selective and limited approaches will be necessary. 최근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적 자원의 개발능력 제고와 균형인사가 중요한 가치로 대두됨에 따라 지역의 인재 육성이 주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오히려 지역의 지식창출기능과 인재육성기능이 약화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중앙과 지방의 균형 발전과 현행 지방공무원 인사제도의 경직성 완화를 실현할 수 있는 기본적인 대안으로 지방직 인턴공무원제를 제안하였다. 이 제도는 지방공무원 인사제도에 대표관료제 이념을 부분적으로 도입한 것으로서, 일정 자격 요건을 갖춘 광역자치단체 해당권역내의 대학 졸업생(또는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대학의 장 추천 및 전형절차를 거쳐 인턴으로 선발한 후, 1년의 인턴십 기간을 통하여 공직적격성을 검증한 후 일반직 8급 공무원으로 임용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가 본격적으로 도입될 경우 지역 우수 인력의 역외 유출 방지와 학별 위주의 사회 분위기 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경우 이 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도입 시에도 타 자치단체와는 달리 차별적이고 제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 KCI등재

        지방행정 혁신주체의 특성과 혁신성과의 관계 연구 - 충남ㆍ북 28개 기초자치단체의 행위자 특성을 중심으로

        전주상(全宙相),정연정(鄭演禎) 한국지방정부학회 2006 지방정부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지방행정 혁신 주체의 특성과 혁신성과간의 상관관계를 이론적, 경험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지방행정 혁신과 관계하는 지역특성 변수들을 도출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05년 행정자치부 주관으로 이루어진 250개 자치단체의 행정혁신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충남 북 혁신주체(자치단체장, 공무원, 지역주민)의 특성으로 정의되는 변수들과 지방정부 행정혁신 성과의 관련성을 도출한다. 충남 북 28개 자치단체의 경우는 자치단체장의 전직경험, 지역정부 공무원 수, 재정자립도, 지역주민의 1인당 지방세 부담액에 따라 그 혁신성과가 상이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지역의 혁신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이러한 4가지 부문에서의 역량 정비가 선결과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행정 혁신의 성과는 다양한 지역적 특성변수와 관계되며, 양자가 상호관련성을 가지면서 진행될 때 그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나아가 평가방식의 개선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variables which are correlated with accomplishments of local government innovation, by pursu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local government innovation and the innovation participants. Thus, utilizing evaluation outputs for 250 National Local Governments, Innovation 2005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 Home Affairs, this article illustrates relevant factors, defined as features of local government heads, public officers and residents, assuming highly correlated to the 28 local government innovation accomplishments of both of ChungNam and Chungbook.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ccomplishment tends to vary in professional records of local government heads, the number of local public officers, financial independence ratio and the ratio of taxation against local income per person. Maximizing, therefore, the accomplishment, we need to develop possible alternatives and programs in oder to expand capability of three participants and local finance beforehand. In sum, this articles emphasizes that local government innovation programs are supposed to be incorporated with various spheres of local setting, and the outcomes will progress in company with the capability of the local innovation participants.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행체계에 관한 연구

        전주상(Joo-Sang Jeon),김종성(Jong-Seong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4 No.1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British and American organizing systems related with climate change, and looks for implications of a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setups in Korea. In Britain, a dual system is built where the primary job of eas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is carried out by a newly-formed ministry and other functions by existing environment-related ministries. And in the United States, the government is distributing new jobs among existing ministries while keeping their functions as original as possible, and is executing the policy focusing on establishing new programs rather than reorganizing the system. However, the case of Britain show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clear range of the unified function when discussing reorganization, since conflicts between policies still exist despite the formation of a new ministry. And in policy execution systems that are centered on existing ministries, like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the primary implication would be that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and advanced control system and developments of various programs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should be set forth as a premise.

      • KCI등재후보

        예산과정상의 주민참여제도에 관한 연구

        전주상(Joo-Sang Jeon) 한국정당학회 2008 한국정당학회보 Vol.7 No.2

        본 연구는 최근 대의제의 위기와 관련하여, 대의제의 보완기제로서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국내외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주민참여예산제도 도입 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민참여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브라질의 포르투 알레그레 시사례와 우리나라의 울산광역시 동구 사례를 비교분석한 결과, 두 사례는 도입배경과 제도화 수준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주민의견의 반영이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주민의 대표성이 적절하게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에서 공통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우리나라의 경우 주민참여예산제도 도입 시 조직의 효율적 구성, 관련 법령의 정비, 갈등완화전략 모색 등의 기본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는 데 있어서는 주민참여예산제도가 대의제의 대체기제가 아닌 보완기제라는 인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ases of civil-participatory institution on government budget system, regarded as an alternative for representative democracy, with respect to the crisi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bringing policy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the institution. It is emphasized that two cases of Porto Alegre, Brazil and Ulsan, Korea differ from background and institutional levels of the civil participatory institution on government budget system deriv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In spite of the differences, two cases illustrate commonalities in terms of reflection of civil opinion on the positive side and inappropriateness of civil representation on the negative side. Based upon these results, we need to set up strategic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composition, related law making, and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s when it is introduced.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hat the civil participatory institution of government budget system is not one of the replacement but supplementation.

      • KCI등재

        지역기반시설 설치사업의 갈등구조 분석

        전주상(Joo-Sang Jeo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과학연구 Vol.26 No.4

        This study searched for an alternative to settle the conflicts on facility locations that have persist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The water reservoir construction project in Mt. Sungmee, which was suspended, was selected as the instance in which to analyze the causes and structures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resident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implications that must be considered in pushing ahead with similar projects hereafter. This instance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the residents’ learning have rectified most of the long-standing problems of information asymmetry; thus, reasonable system reforms that should be made by the government must now be emphasized. Secondly, the government’s unilateral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in this instance caused a bigger conflict, eventually leading to the suspension of the project. This suggests the need for the current conflict management of the government, based on coercive measures, to change into one centered around negotiations with the resident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validity of the project has constantly been the main issue in this case of Mt. Sungmee, there is the need to both reinforce the preliminary review of the project plan and underline the importance of a primary local government more active in mediating two sides. Las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stitutional strategy to settle cases where a compromise is not successfully reach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