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이 구성주의적 교수ㆍ학습 신념에 미치는 영향

        전수빈,안홍선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이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ECD 교수-학습 국제조사(TALIS 2013)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TALIS 2013에는 국내 177개 중학교의 교장과 교사 2,933명이 참여하고 있다. 분석을 위해 통 제변인을 교사 수준(교사 성별과 경력)과 학교수준(학교 소재지, 학교 SES, 학교 규모, 학교의 개방적 풍토, 교장의 분산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통해 변인들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효능감과 직 무만족은 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신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교사 수준의 통제변인 가운데 교사 성별은 효능감 변인이 투입되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경력은 모든 모형에서 교사의 구성주의 적 신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수준의 통 제변인 중에서 교장의 분산적 리더십은 교사의 구성주의적 신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의 소재지, 학교의 SES와 규모, 개방적 풍토 등은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데 있어 교사의 구성주의적 신념과 태도는 수업 시간에서 창의적 교수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필 수적인 전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구성주의적 신념을 가지고 창의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an unprecedently fast changing world, creativity is regarded as a source of innovation which social organizations, including governments, companies, and even schools, value the most nowadays for their future development. In the same vein, creativity and education is now regarded as inextricable since education often affords the means of creativity development. Therethrough, to ensure the succes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 is fundamental and important. From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s figured ou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reative teaching.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n teacher’s creative teaching. The researchers analyzed TALIS 2013 survey data and finally used samples of 2178 teachers from 158 schools after data cleaning. The researchers used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ver. 6.0 as the data was collected in a stratified manner. The results present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f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n creative teaching after controlling various personal and school level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with hig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end to conduct creative teaching more in their classes. In addition, teachers tend to exert creative teaching in schools where their principals exert distributed leadershi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an implication that to enhance creative teaching in schools, the government as well as schools should develop various political and training programs utmost.

      • KCI등재

        승진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교직문화 탐색

        전수빈,이효정,장환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 and experiences related to promotion system and its implementation process in terms of role conceptualization of the principalship. A total of 28 teachers and administrat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5 groups based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job positions, school levels, and their current condition for teacher promotion readiness. As a result, three main themes including teachers’ perception on principals’ role and status, school culture and attitude toward teacher promotion system and its process, suggestions for future teacher promotion system were emerged and discussed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consider principals’ basic role and power remained essentially unchanged but became a much more burden at the same time. Secondly, the difficulties of teacher promotion system and its process mainly affects teachers’ motivation as well as their perception on promotion. In addition, the generation gap and gender effect on teachers’ motivation and perception on promotion. Finally, suggestions for re-conceptualization and system for teacher promotion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교원에게 있어 승진과 승진제도에 대한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현행 교원승진제도를 통한 승진을 바라보는 다양한 교원의 인식과 이와 관련한 학교현장의 경험을 통해 교원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승진제도의 개선 방향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직위, 학교급, 교육경력, 승진 준비여부 등을 고려하여 5개 집단, 총 2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는 1) 승진을 대하는 교직 환경과 교직 문화, 2) 교원에게 승진과 학교장의 의미, 3) 승진제도 본연의 기능에 대한 의미와 개선 방향으로 정리되었으며, 이에 따른 하위 주제가 도출되어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장의 권한과 역할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여겼으나 동시에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해 부가된 어려움을 함께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승진의 과정과 어려움은 승진에 대한 인식과 승진 동기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세대와 성별 역시 승진에 대한 인식과 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원이 생각하는 승진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 및 제언이 함께 논의되었다.

      • KCI등재

        Absorption kinetics of carbon dioxide into aqueous ammonia solution: Addition of hydroxyl groups for suppression of vaporization

        전수빈,오광중,Jong-Beom Seo,Hyung-Don Lee,Seong-Kyu Kang 한국화학공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0 No.9

        Aqueous ammonia can act as an alternative absorbent for CO2 removal, but it has high volatility and reduces the ammonia concentration. We analyzed the hydroxyl additives 2-amino-2-methyl-1-propanol (AMP), ethylene glycol,and glycerol to reduce the vapor pressure of ammonia solutions. In addition, absorption efficiency groups of aqueous ammonia solutions containing hydroxyl additiv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addition of AMP, ethylene glycol, or glycerol to NH3 reduced the vapor pressure of the absorbent by 14.0%, 22.7%, and 75.2%, respectively. The reaction rate constants of aqueous NH3 containing AMP, ethylene glycol, and glycerol additives at 293, 303, 313 and 323 K are given by k2, NH3/AMP=4.565×105 exp(−1396.5/T), k2, NH3/ethylene glycol=1.499×106 exp(−1978.7/T) and k2, NH3/glycerol=7.078×106 exp(−2413.3/T), respectively.

      • KCI등재

        Desorption kinetic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oil using lab-scale rotary desorber

        전수빈,오광중,Min-Chul Kim,Jun-hyung Cho,정종현 한국화학공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0 No.10

        Thermal desorption of fluorene, anthracene, pyrene, and benzo(a)pyrene in soil contaminated with PAHs was performed using a rotary desorber at temperatures of 300-500 oC, and the dependency of the PAH removal efficiency on the percentage water content, residence time, and thermal desorption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The removal efficiencie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boiling points of PAHs,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decreased with decreasing residence time and heating temperature. The reaction rate constant and activation energies (EA) were estimated to determine the thermal desorption properties of each substance, and the activation energies were found to be 29.50-34.48 kJ mol−1. Freeman-Carroll’s law was applied along with the Arrhenius equation to extract the thermal desorption properties from the data obtained in this experiment.

      • KCI등재
      • KCI등재

        교장공모제 쟁점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

        전수빈,김갑성,이효정,박인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교장공모제를 둘러싼 쟁점들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차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교장공모제가 실질적으로 확대 시행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학교 현장에서 제도에 대한 어떠한 인식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여섯 가지 쟁점들을 기반으로 설문조사 문항을 구성하였고 공모교장이 재직 중인 전국의 모든 초중등 학교와 동일 지원청 내 일반 학교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공모교장의 학교 관리 경험과 전문성 부족에 대하여 공모학교의 구성원들이 일반학교 구성원들보다 경험과 전문성 부족의 문제를 덜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모교장의 학교 운영 권한의 확대에 대해서는 공모 학교와 일반 학교 구성원 간 인식차가 있었다. 셋째, 타당한 교장공모제 시행 비율로 전반적으로 교원들은 공모여부에 상관없이 현행 유지 혹은 축소 쪽으로 응답한 반면 학부모들은 현행 비율을 유지하거나 확대 시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내부형 공모교장 가운데 교장자격증 미소지자 지원 제한의 적정 비율에 대하여 공모여부와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교원들은 현행 유지 혹은 축소 쪽으로, 반면 학부모들은 공모제 여부와 상관없이 현행 비율을 유지하거나 확대 시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임기 만료된 공모교장의 인사 방식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은 공모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 여섯 번째 쟁점인 공모교장 임기의 승진 임용 교장 임기 내 포함 여부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은 공모 여부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교원들이 ‘승진제 임용 교장 임기에 포함해야 함’을 지지하는 반면, 공모제 교장의 경우만 포함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different school members about the issues on the implementation of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ORSP) in Korea. This study also aims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and examine how the issues have been perceived and changed since 2013, when the system was practically expan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at members of the ORSP schools are less aware of the problems of inexperience and lack of professionalism than their counterparts in general school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members of the ORSP schools and the general schools concerning the extension of the authority of the principals who were appointed via ORSP. Third, teachers generally responded to the idea of maintaining or downsizing the ORSP system, while parents said it should be maintained or expanded. Fourth, teacher generally responded to the opinion of maintaining or reducing the current proportion for those who do not have principal licence, while the parents tend to agree on retention or expansion. Fifth, the perception of the members on how to deal with the personnel issues of those who had expired in their term as Openly recruited principals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ir schools were ORSP or not. Sixth, most teachers supported the term as an ORSP principal should be included in the total term as a general, or in other words, promoted principal.

      • KCI등재

        도시재생 거점시설 운영 방법으로서 민간위탁 제도에 관한 연구: ‘잘생겼다 서울’의 민간위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전수빈,이지혜,김정빈 한국도시부동산학회 2019 도시부동산연구 Vol.10 No.2

        Securing core facility is used as a main mean that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Public Private Partnership is necessary in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core facility, and contacting out is one of way to participate private sector in management of core facility. This study aim to suggest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core facility through public private partnership by exploring purpose and process of change in contracting out and analysing feature of contracting out urban regeneration core facilities in 'seoul 20'. Analysis contents is as following. First, task of contracting out core facility have complexity, and complexity is shown in contract and management system. And it is hard to result evaluation of task of core facility management. It oppose with purpose of introducing contraction out. In contradiction to that, direction of change in contraction out toward to enforce supervision and contr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