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가치소비자를 위한 가치소비 플랫폼 서비스 제안 -커뮤니티 매핑을 중심으로-

        전세진,구유리,이수민,이해인,김희원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사회적으로 윤리적 가치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보 접근과 서비스 사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윤리적 가치소비의 실천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로인해 가치소비 문화 발전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현재 연구는 특정 분야에 국한되어 있으며, 사용자 경험 개선과 정보 접근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윤리적 가치소비를 촉진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플랫폼 및 서비스 디자인을 커뮤니티 매핑(Community Mapping)을 중심으로 제안했다. 연구과정에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Double Diamond Model)을 활용하여, 윤리적 가치소비 현황과 커뮤니티 매핑 사례를 분석하고, 사용자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확인하였으며,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도출하고, 서비스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연구 결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가치소비 플랫폼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정보 접근성 문제와 가치소비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윤리적 가치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한 플랫폼을 제안하여 지속 가능한 윤리적 가치소비를 장려하고 긍정적인 사회문화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Social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thical value consumption; however, the practicality of ethical value consumption is hindered by issues related to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service usability. This obstacle may impede the development of a value consumption culture. Current research in this field is often limited to specific areas, and there is a lack of focus on improving user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a platform and service design with a focus on community mapping to facilitate ethical value consumption and enhance the user experience.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the Double Diamond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thical value consumption and community mapping examples. User surveys were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 areas and propose service ideas. As a result, a mobile application-based value consumption platform is suggested.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user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the challenges in ethical value consumption. It proposes a platform designed with considerations for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value consumers, encouraging sustainable ethical value consumption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 positive social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관여하는 새로운 생리활성 단백질 SPP2의 발굴

        전세진 한국생명과학회 2023 생명과학회지 Vol.33 No.1

        심장 발생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전사인자들의 기능에 대한 규명 등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줄기 세포에서 매우 효율적인 심근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새로운 생체 ​​활성 분자를 찾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 마우스배아줄기세포(mESC) 유래 심근세포의 Illumina 발현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미분화 mESCs와 비교하여 mESC 유래 심근세포에서 4배 이상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 276개 유전자가 스크리닝되었다. Secreted phosphoprotein 2 (Spp2)는 후보물질 중 하나이며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에 대한 슈도수용체로서 BMP2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심근 형성과의 연관성은 알려진 바 없다. 우리는 mESC 세포주인 TC-1/Kh2와 E14를 이용하여 기능성 심근세포로 분화하는 동안 Spp2 발현이 증가함을 검증하였다. 흥미롭게도, Spp2 분비는 배아체(embryoid body, EBs) 형성 후 3일차에 일시적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Spp2의 분비가 ESCs의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Spp2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BMP2를 처리하면 분화 경로를 근모세포에서 골모세포로 전환되는 특성을 가진 C2C12 마우스 근모세포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mESCs의 분화와 유사하게, Spp2의 전사는 C2C12 근모세포가 근관으로 분화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분화 초기 단계에서 Spp2의 세포외 분비가 극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Spp2-Flag 재조합 단백질로 처리하면 C2C12 근모세포의 근관으로의 분화가 촉진되었다. 종합하면, ESCs를 심근 세포로 분화시키는 새로운 생체 ​​활성 단백질로 Spp2를 제안한다. 이것은 심근 형성의 분자 경로를 이해하고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줄기세포 요법의 실험적 또는 임상적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강유역의 중소하천에 대한 계획하폭 산정

        전세진,안태진,박정응 한국수자원학회 199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1 No.6

        본 연구는 한강유역 중소하천 계획하폭 산정공식을 결정하기 위하여 216개 구간의 중소하천에서의 계획홍수량, 유역면적, 하상경사, 실제하폭을 수집한 후, 1) 최소자승법(least squares, LS), 2) 최소중간치자승법(least median squares, LMS) 및 3) 재가중최소자승법(reweighted least squares, RLS)을 이용하여 경험적인 계획 하폭 공식을 결정하였다. 한강유역에서의 기존하폭 산정공식과 비교하기 위하여 계 This paper presents the empirical formulas for determining the design-width for medium rivers in the Han river basin. The design flood, the watershed ares, and the channel slope of 216 medium rivers in the Han river basin are collected. the design width f

      • KCI등재후보

        하천제방의 비정상침투해석을 위한 무차원 설계홍수파형에 관한 연구

        전세진,권경준,안원식,Jeon. Se-Jin,Kwon. Kyung-Jun,Ahn. Won-Sik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4

        제방을 설계하거나 기존제방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침투해석이 필요하다. 미국, 유럽 등과 같이 대규모하천이 대부분인 외국에서는 댐에서와 같이 정상침투해석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와 일본하천의 경우는 홍수지속시간이 짧아 설계홍수파형을 정상상태로 해석할 경우에는 과대한 외력을 주게되므로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를 고려한 비정상 침투해석을 하여야한다. 이 경우 하천수위와 지속시간에 대한 홍수파형이 필요하나 국내에서는 명확한 기준이나 지침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침투해석에 사용되는 설계홍수파형을 유도하였다. 수위자료가 양호한 낙동강 수계 진동 등 5개 수위관측지점의 과거 주요홍수에 대해 지속시간별 홍수위를 조사하여 무차원화를 시켰다. 그리고 통계적.확률적 처리를 통하여 무차원 설계홍수파형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홍수파형의 적정성은 과거 발생한 원홍수사상과 금회 유도한 설계홍수파형을 이용하여 침투해석을 시행하고 일본의 방법과 비교해서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동수경사법과 한계유속법에서 오차는 각각 진동 <TEX>$0{\sim}0.7%,\;0{\sim}0.7%$</TEX>, 현풍 <TEX>$1.6{\sim}4.0%$</TEX>, <TEX>$1.7{\sim}4.1%$</TEX>, 왜관 <TEX>$0.6{\sim}3.6%$</TEX>, <TEX>$0.6{\sim}3.7%$</TEX>, 낙동 <TEX>$2.0{\sim}8.1%$</TEX>, <TEX>$2.0{\sim}8.1%$</TEX>, 정암 <TEX>$1.2{\sim}9.8%$</TEX>, <TEX>$1.3{\sim}9.9%$</TEX>로 나타났다. 상관성(<TEX>$R^2$</TEX>)은 <TEX>$0.983{\sim}0.999$</TEX> 정도로 매우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의 방법보다 합리적이며, 실무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seepage should be analyzed to design or reinforce the levees. The steady seepage analysis is an usual application in USA and European countries where the large scaled dams and levees are existed. However, Korea and Japan, where the reaching time is short, the excessive forces are applied on the levees at the short reaching time if the seepages are analyzed in steady condition. Accordingly, the unsteady analysis based on the variation of time is necessitated. In the unsteady analysis, the flood wave type is necessary. No criteria and standards, however, are derived for the unsteady seepage in Korea. In the study, the flood wave type is derived for the unsteady seepage. The major reliable flood surface data are collected in 5 stations including Jindong of the Nakdong river basin. The data are sorted in duration, and they are non-dimensionalized. The statistical method is also applied to derive the waves. To verify the study, the seepage is analyzed by the derived wave and applied to the prototype. The results are also compared with the Japanese Method. The errors between the hydraulic gradient and critical velocity method are <TEX>$0{\sim}0.7%$</TEX>, <TEX>$0{\sim}0.7%$</TEX> at the Jindong, <TEX>$1.6{\sim}4.0%$</TEX>, <TEX>$1.7{\sim}4.1%$</TEX> at the Hyunpoong, <TEX>$0.6{\sim}3.6%$</TEX>, <TEX>$0.6{\sim}3.7%$</TEX> at the Waegwan, <TEX>$2.0{\sim}8.1%$</TEX>, <TEX>$2.0{\sim}8.1%$</TEX> at the Nakdong, and <TEX>$1.2{\sim}9.8%$</TEX>, <TEX>$1.3{\sim}9.9%$</TEX> at the Jeongam,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TEX>$R^2$</TEX>) between each method is relatively high as <TEX>$0.983{\sim}0.999$</TEX>. This means the results are more logical than the Japanese method, and the study is applicable to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s.

      • KCI우수등재

        파형강판 구조물의 내공변위를 활용한 개선된 안전도 평가 절차 제안

        전세진,이병주 대한토목학회 202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0 No.1

        파형강판 구조물의 안전도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은 아직까지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뒤채움 흙의 고정하중이 지배적이고 활하중 효과는 매우 작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선된 안전도 평가 절차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절차는 Soil- Culvert Interaction (SCI) 방법에 기초하여 축력과 휨모멘트의 복합작용이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있고, 산정된 소성지수에 따라 유지관리 방안을 차별화할 수 있으며, 내공변위 계측값을 활용하여 평가의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안된 평가 절차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여 개선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절차를 적용하여 실구조물 및 실대형 실험체의 안전도를 평가하였다. 기존의 교량 내하력 평가 방법은 내하력을 크게 과대평가한 반면 제안된 방법은 합리적인 수준의 안전도를 산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절차는 파형강판 구조물의 정량화된 상태 평가 및 보강 등 적절한 유지관리 방안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ystematic approach to assess the safety of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Therefore, an improved safety assessment procedure was proposed in this study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in which the dead load of backfill soil is dominant and the live load effect is minimized. The proposed procedure can consider the combined effect of axial force and bending moment on the safety, based on the Soil-Culvert Interaction (SCI) method, and can differentiate the maintenance schem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plasticity index.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enhancing the accuracy of assessment, utilizing the measured displacements. Furthermore, improved methods were proposed by discussing various ways for reasonably improving the proposed assessment procedure. The safety of an actual structure and a full-scale test specimen was assessed by applying the proposed procedure. The conventional assessment procedure significantly overestimated the load-carrying capacity, whereas theproposed procedure resulted in a reasonable level of safety. Therefore, the procedure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roper maintenance plan such as the quantitative condition assessment and strengthening of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 KCI등재

        2,400 MPa급 고강도 강연선이 적용된 LNG 저장탱크의 프리스트레싱 효과

        전세진,서해근,양준모,윤석구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6

        High-strength strands have been increasingly applied to recent actual structures in Korea. Structural effect of the increased spacing of sheath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hen the usual 1,860 MPa strands of an LNG storage tank are replaced with 2,400 MPahigh-strength strands. First, finite element models of a cylindrical wall of an LNG tank were established and prestressing effect of the circumferential and vertical tendons was considered as equivalent loads. As a result of varying the tendon spacing and prestressing force with the total prestressing effect kept the same, the stress distribution required in design was obtained with the high-strength strands. Also, a full-scale specimen that corresponds to a part of an LNG tank wall was fabricated with 31 high-strength strands with 15.2 mm diameter inserted in each of two sheaths. It was observed that such a high level of prestressing force can be properly transferred to concrete. Moreover, an LNG tank with the world’s largest 270,000 kl capacity was modeled and the prestressing effect of high-strength strands was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strands. The watertightness specifications such as residual compressive stress and residual compression zone were also ensured in case of leakage accid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when the 2,400 MPa high-strength strands are applied to actual LNG tanks. 최근 국내에서는 고강도 강연선이 실구조물에 적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LNG 저장탱크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1,860 MPa급 강연선을 2,400 MPa급 고강도 강연선으로 대체할 때 쉬스 배치 간격 증가에 따른 구조적인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LNG 탱크의 원통형 벽체를모사하는 유한요소모델에 원환텐던 및 수직텐던의 프리스트레싱 효과를 등가하중으로 가하되 프리스트레싱 효과의 총합은 일정한 상태에서 텐던의 간격 및 긴장력을 조절한 결과, 고강도 강연선을 적용해도 설계 시 요구되는 소정의 응력 분포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NG 탱크벽체 일부분을 모사하는 실대형 실험체를 제작하고 15.2 mm 직경 고강도 강연선이 31개 삽입된 쉬스를 2개 배치하여 매우 높은 수준의 프리스트레싱 힘이 콘크리트에 적절히 전달되는지 관찰하였다. 한편, 세계 최대 용량인 270,000 kl급 LNG 탱크의 유한요소모델을 구축하고 고강도 강연선을 적용했을 때의 프리스트레싱 효과를 일반 강연선의 경우와 비교하였으며, LNG 누출 사고 시에도 여유압축응력 및 여유압축구간과 같은 수밀성 규정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2,400 MPa급 고강도 강연선이 실제 LNG 탱크에 적용될 때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