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입방정계금속 (立方晶系金屬) 에 있어서 섬유 및 압연집합조직의 정량표현 : 2. 섬유집합조직

        이창영,김순철,전병칠,김혜준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4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2 No.3

        In this second paper the fiber texture is dealt with. Experimental pole figures of iron and copper wires obtained by neutron diffraction method were analyzed using the computer program TXFIB to test analytical accuracies of Bunge's method. For samples of widely differing texture sharpness, Jo=0.005∼0.78, analytical errors and R factors resulted from various number of input data and degree of series expansion are compared and results are discussed. And, observed features of hot-and cold-drawn textures and some recrystalization textures of the samples are summarized.

      • 하천주변 시설농업단지 증가에 따른 지하수 활용도 변화

        서상기 ( Sang Kee Seo ),전병칠 ( Byungchil Jeon ),이규상 ( Gyusang Lee ),송성호 ( Sung-h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최근들어 벼농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은 밭작물 재배가 늘어나면서 밭농업이 농업의 핵심자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농업에 있어 밭의 비중은 1990년 36.2%에서 2014년 43.7%로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2014년 기준 밭작물 농업생산액 상위 5개 품목 중 시설원품목이 3개를 차지할 정도로 시설 밭작물 재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한중 FTA 등 개방화시대에 따른 농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시설농업을 90년대 이후 꾸준히 지원하여 왔다. 이에따라 시설농업 면적은 80년대 7천ha에서 2012년 48천ha로 686% 성장하였으며, 점차 우리나라의 농업은 논농사 위주에서 시설농업 비중이 크게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시설농업의 활성화와 함께 증가하는 용수 수요는 기존의 지표수공급 방식으로는 사계절 용수 수요가 있는 시설농업단지 주변의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격어 왔다. 사계절 용수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농민들은 지하수 등 대체 수자원을 활용하여 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또한 고유가시대에 난방비 절감을 위한 수막재배 보급으로 시설농업단지에서의 지하수 이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5년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수행한 하천주변 시설농업단지 실태조사 결과 전국 323지구의 68%인 219지구에서 물부족이 발생하였으며, 시설농업단지에서는 지하수의 과다 사용에 따른 수막용수 부족 뿐만 아니라 주변 작물의 생육용수 및 생활용수 부족으로 농업용수 이용자 간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중 시설재배 면적이 100 ha 이상인 38개 조사대상 지역(3,429ha) 중 10년전에 생육용수부족 면적이 483ha였는데, 2015년 953ha로 10년 사이 생육용수 부족지역이 97% 증가하였다. 현재 농업용수는 우리나라 전체 수자원량 중 농업용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하수 이용량 중 농업용수 비율도 48%로 수자원 중에 농업용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시설단지 주변은 특히 농업용수의 지하수의 의존도가 높은데, 물부족 문제가 심화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적절한 대책 수립이 절실하다. 하천주변의 지하수과다 사용에 따른 지하수 장해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공급자 위주의 지하수 인공함양, 하천수 양수 등의 방법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를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수요자 중심에서 물 사용의 자율적으로 규제하면서 합리적인 용수 활용방안을 찾는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하천주변에서의 지하수 장해지역에 대한 합리적인 지하수 공급방안에 대한 시범사업을 추진 할 계획이다.

      • KCI등재

        입방정계금속에 (立方晶系金屬) 있어서 섬유 및 압연집합조직의 정량적표현

        김헌준,이창영,김순철,전병칠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3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1 No.5

        This is the first article of a series dealing with studies on the quantitative representation of fiber-and sheet-type textures in metals of cubic crystal system. Texture measurements by neutron diffraction method are analyzed using Bunge's series expansion method and the effect of series truncation is studied for samples of various texture sharpness. The present article describes two computer programs, TXFIB and TXSHT,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pective fiber-and sheet-type texture. Using these computer programs, the orientation distrbution function can be expanded in the series of generalized spherical harmonics up to 58th term from 6 experimental pole figures as input. Estimations of various errors involved in the texture analysis and texture sharpness index are also included in the programs.

      • KCI등재

        집합조직을 가진 육방정계 다결정재료의 탄성계수

        이창희,김헌준,이정수,전병칠,호종화,성백석,김용채,심해섭,최병훈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1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9 No.8

        The elastic compliance and stiffness constants for hexagonal polycrystalline materials with sheet and fiber texture are calculated in Reuss-Voigt-Hill approximation by averaging corresponding properties of the single cystal weighted with the crystallites orientation distribution function(ODF). They depend only on the first five coefficients in the series expansion of ODF for sheet texture and two for fiber texture. Based on the ODF coefficients obtained by neutron diffraction, anisotropy of Young's modulus was estimated for Zircaloy-4 sheet and tube samples as well as a Zircaloy-2 rod sample.

      • KCI등재

        제주도 동부 해안대수층의 수리특성 산정과 지하수위 예측

        조시범 ( Si Beom Jo ),전병칠 ( Byung Chil Jeon ),박은규 ( Eun Gyu Park ),최광준 ( Kwang Jun Choi ),송성호 ( Sung Ho Song ),김기표 ( Gi Pyo Kim ) 한국환경과학회 201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3 No.4

        Due to tidal force,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hydraulic parameters of high permeable aquifer near coastal area in Jeju Island. Therefore, to eliminate the impact of tidal force from groundwater level and estimate the hydraulic properties, tidal response technique has been mainly studied. In this study we have extracted 38 tidal constituents from groundwater level and harmonic constants including frequency, amplitude, and phase of each constituent using T_TIDE subroutine which is used to estimate oceanic tidal constituents, and then we have estimated hydraulic diffusivity associated with amplitude attenuation factor(that is the ratio of groundwater level amplitude to sea level amplitude for each tidal constituent) and phase lag(that is phase difference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sea level for each constituent). Also using harmonic constants for each constituent, we made the sinusoidal wave and then we constructed the synthesized wave which linearly combined sinusoidal wave. Finally, we could get residuals(net groundwater level) which was excluded most of tidal influences by eliminating synthesized wave from raw groundwater level. As a result of comparing statistics for synthesized level and net groundwater level, we found that the statistics for net groundwater level was more insignificant than those of synthesized wave. Moreover, in case of coastal aquifer which the impact of tidal force is even more than those of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ainfall and groundwater yield, it is possible to predict groundwater level using synthesized wave and regression analysis of residuals.

      • 통합물관리와 농어업용 지하수의 역할

        서상기 ( Sangkee Seo ),전병칠 ( Byoungchil Jeon ),이규상 ( Gyu-sang Lee ),이병선 ( Byung Sun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통합물관리 정책이 실행되면서, 물관리는 유역단위로 수질과 수량을 통합 관리하고, 물 순환 과정에서 물에 영향을 주는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관리하게 된다. 현재의 논의에서는 물관리 일원화에 정부조직 차원의 대상에 농어업용수는 계량화가 힘들고 정확한 통계가 없으며 관리 또한 어려워 제외되어 있다. 그러나, 국가 수자원 이용량 중 농어업용수가 차지하는 비중(41%)을 고려할 때 농어업용수를 제외하고 통합물관리의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란 어렵다. 같은 맥락으로 지표수와 지하수를 분리해서 관리하는 것 또한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 작용을 고려할 때 완전한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일례로, 미국 전역 54개 하천의 지하수 유입량은 하천 유량의 14∼90%(Winter et al., 1998),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부하 기여율은 37%이상으로 보고된 바 있다(Dubrovsky et al., 2010). 국내의 경우, 4대강 하천유량의 약 62∼86%는 지하수의 기저유출에 기인하고(Lee et al., 2017), 국내 254개 하천관측망 자료 분석 결과 약 28∼89%(Jung et al., 2016)에 이르며, 농업유역에서 기저유출에 의한 질산성질소 부하량도 22∼41%에 이른다(Kim et al., 2015). 결과적으로 유역기반의 물관리를 종합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통합물관리 정책에 농어업용수의 편입, 지표수와 지하수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향후 농어업용수가 포함된 통합물관리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기존의 지표수 공급에서 소외된 농어촌지역의 4계절 용수수요 평가, 작물 생육단계에 따른 작부체계를 이용한 필요수량의 정량적 평가 기반하천변 시설재배단지 용수수요 평가, 농지범용화에 따른 논 관개기간이외에 용수수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농업 작물별로 구성된 작목반을 포함한 권역별 민관연 기반 물 사용자협회를 구성하여 수요자 중심의 지하수 공급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질산성질소 등 지하수 오염에 따른 하천수의 수질에 대한 평가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2001년부터 시행 중인 농어촌지역 대상 지하수자원관리사업을 통합물관리 정책과 지하수-지표수 연계관리에 발맞추어 사업을 고도화하고, 농어업용 지하수시설을 현행화 하며, 농어촌지하수 관측망을 이용한 다양한 해석(농업가뭄 분석, 농업용수 공급가능량 산정 등)으로 미래 지하수 총량 변화를 평가할 계획이다. 또한 지하수 수량, 수질의 과학를 위한 농업용 공공관정 이용량 모니터링을 통한 실이용량 분석, IoT 기반 관정가동 및 제어, 모니터링 등 SMART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농어촌지역의 지하수 수량과 수질을 동시에 관리하여 국가 차원의 통합물관리 계획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