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EA stapler를 이용한 식도-위 문합술 후 발생한 문합부 협착에 대한 연구

        전도환,조성래,천수봉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12

        배경:식도-위 문합술시 EEA stapler가 도입됨으로써 문합부 누출의 발생을 줄여 술후 사망률의 감소에 기여하게 되었으나 문합부 협착의 발생이 수기봉합에 비해 높은 단점이 있다. EEA stapler를 이용한 식도-위 문합술시 문합부 협착의 발생을 줄이고, 또 문합부 협착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월부터 1996년 12월 까지 약 11년간 고신대학교 의학부 흉부외과에서 EEA stapler를 이용하여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한 195명의 환자 중 술후 조기에 사망한 10명를 제외한 185명를 대상으로 문합부 협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문합부 협착은 185명의 환자 중 39명에서 발생하여 21%의 발생율을 나타내었고 발생시기는 술후 1개월에서 3개월 사이에 25례(64.1%)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문합부 협착이 발생한 환자군과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 사이에 연령의 차이는 없었으며 문합의 위치에 따른 문합부 협착의 발생율은 흉곽 입구부에서 문합한 환자군에서 기관분기 하부에서 문합한 환자군에 비해 조금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문합시 사용된 cartridge의 크기와 문합부 협착의 발생율의 비교에서 작은 cartridge를 사용한 예에서 문합부 협착의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p=0.04). 결론: 이상의 결과로 EEA stapler를 이용하여 식도-위 문합술시 가능한 큰 cartridge를 사용함으로써 문합부 협착의 발생을 줄일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문합부 협착이 발생한 경우에는 1∼2회의 풍선확장술의 시행이 안전하고 확실한 치료방법으로 확인되었다. Background: The advent of EEA stapler has lowered the leakage rate of esophagogastric anastomoses and thereby contributed to a decrease in the operative mortality of the easophageal resection. Recent surgical reports, however, have documented 10% to 20% prevalence of benign anastomotic stricture formation after the use of EEA stapler to construct an esophagogastric anastomosis. We analyzed the cases of anastomotic strictures to reduce the incidence of anastomotic strictures with EEA stapled esophagogastrostomy. Material and Method: EEA stapled esophagogastrostomy was performed in 195 parients during the period of over 11 years from Jan. 1986 to Dec. 1996 in Kosin Medical Center. Ten patients of them died in the early postoperative days. In the remaining 185 patients, we studied the incidence and the onset time of anastomotic strictures,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s' ages, the anastomotic sites, and the size of the cartridges with incidence of anastomotic stricture. We also studied the method of treatment and its effect in the anastomotic strictures. Result: Benign anastomotic strictures occurred in 39 cases among 185 patients(21%), 25 cases(64.1%) of the 39 cases developed in one to three months postoperatively. The patients' ages and the anastomotic sites did not effect with the incidence of anastomotic stricture, but high incidence of anastomotic stricture in EEA stapled esophagogastrostomy(p=0.04)was observed in small cartridge sizes. One or two balloon dilatation(89%) relieved the anastomotic stricture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 larger size cartridge is recommended in EEA stapled esophagogastrostomy to reduce the incidence of anastomotic stricture if possible, and one or two balloon dilatation would seem to be a safe and reliable method in treating anastomotic stricture when the anastomotic stricture was occurrs.

      • SCOPUSKCI등재

        폐실질내 결절형 유전분증 - 수술치험 1례 -

        전도환,이충석,조성래,김영옥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11

        Amyloidosis is a rare diseas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deposition of a histochemically specific substance called amyloid in many tissue bodies, and causes various symptoms according to the organs involved. Amyloid is usually recognized by its staining reaction with Congo red stain. Primary pulmonary amyloidosis is very rare. Nodular pulmonary amyloidosis is an uncommon entity that usually manifests itself as an asymptomatic incidental finding on the chest roentgenogram and is misdiagnosed as lung cancer or pulmonary tuberculosis.

      • SCOPUSKCI등재

        흉선상피종에서 bcl-2, p53 단백의 발현과 악성도

        조성래,전도환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8

        목적 및 배경: 세포사를 조절하는 암유전자 산물인 bcl-2 단백과 암억제유전자 산물인 p53 단백은 암의 발생 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종양 조직내에서 bcl-2 단백 및 p53 단백의 발현과 종양의 악성도 및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흉선종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1997년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 치험한 흉선상피종 중 병리 조직의 보관이 비교적 양호하고 병록 기록지가 충실한 30례를 대상으로 Rosai씨 분류법 및 Masaoka 병기와 중증근 무력증의 동반 여부에 따라 분류하고 종양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시행하여 각 분류에 따른 bcl-2 단백과 p53 단백의 발현율, 그리고 bcl-2 단백과 p53 단백의 발현간에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bcl-2 단백은 비침습성 흉선종에는 발현된 경우가 없었고 침습성 흉선종 10례 중 3례(30%), 흉선암 11례 중 8 례(61.5%)에서 발현되어 악성도가 높을수록 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21). p53 단백은 비침습성 흉선종에 서 1례(14.3%), 침습성 흉선종 5례(50%), 흉선암 8례(61.5%)에서 발현되어 악성도가 높을수록 발현율이 높아 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126). 17례의 흉선종의 Masaoka 병기(1기 5례, 2기 7례, 3기 2례, 4a기 3례)에 따른 bcl-2 단백은 1기와 4a기에서는 발현 예가 없었고, 2기 1례(14.3%), 3기 2례(100%) 에서 발현되어 병기가 진행할 수록 높은 발현율을 보였고(p=0.011), p53 단백은 1기 1례(20%), 2기 2례 (28.6%), 3기 2례(100%), 4a기 1례(33.3%) 발현되어 p53 단백 역시 병기가 진행할 수록 발현율이 높아지는 경 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229). 중증근무력증의 동반 여부와 bcl-2단백, p53 단백의 발현 과는 무관하였다. bcl-2 단백과 p53 단백의 발현간의 상관관계는 bcl-2 단백과 p53 단백의 발현이 일치하는 경우가 23례(76.7%), 불일치하는 경우가 7례(23.3%)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appa치=0.525). 결 론: 흉선상피종 조직내 bcl-2 단백의 발현은 종양의 악성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53 단백은 종양의 악성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두 단백의 발현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의 규명을 위해서는 향후 p53 단백의 유전자 변이와 두 단백의 발현과 환자의 생존율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 구가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distinction between non-invasive and invasive or thymic carcinoma has been severely compromised by lack of objective morphological criteria. A reliable biological marker of tumor aggressiveness is, therefore, mandatory for predicting tumor behavior. Material and Method: Thirty thymic epithelial tumors, including 7 non-invasive thymoma, 10 invasive thymoma, and 13 thymic carcinoma of the Rosai's classification; and 5 stage I, 7 stage II, 2 stage III, and 3 stage IVa of the Masaoka stage of thymoma were investigated for expression of bcl-2 and p53 proteins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 The thymic epithelial cells showed positive immunostain for bcl-2 in 0 (0%), 3 (30%), 8 (61.5%) of categories in the Rosai's classification respectively and in 0 (0%), 1 (14.3%), 2 (100%), 0 (0%) of stage I, II, III, IVa of the Masaoka stage respectively. Thymic carcinoma, and high stage thymoma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bcl-2 expression than thymoma (p=0.021) and low stage thymoma (p=0.011). However, p53 showed no correlation with the histological subtypes nor with clinical aggressiveness. Bcl-2 express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53 immunoactivity (p=0.007, kappa=0.525). Conclusion: These date indicate that bcl-2 expression correlates with aggressiveness in thymic epithelial tumors, but further studies on mutation of p53 protein is necessary because bcl-2 express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53 immunoactivity.

      • SCOPUSKCI등재

        허혈전후 적출 가토 심근내의 구성 효소의 변화

        천수봉,전도환,이재성,김송명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2

        Background: Nucleoside transport inhibitor(NTI) Keeps AMP, ADP, ATP levels high in myocytes by inhibiting adenosine cataboilsm so that it may preserve the myocardial contractability during ischemi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yclic AMP phosphodiesterase inhibor(C-AMP PDSI) and S-P-nitrobenzyl-6 -thioniosine(NBT; a sort of NIT) on myocadial preservation and changes of constituent enzyme. Material and method: Twenty-six isolated rabbit hearts were perfused with Krebs-Henseleit buffer solution for 20 minutes arrested for 20 minutes and ten reperfused for 30 minutes. The following four groups were prepared and hemodynamic changes coronary effluent lactate dehydrogenase (LDH) a-hydroxybutylic accid(a-HBD) levels and myocardial LDH creatine kinase-MB (CK-MB) adenosine deaminase(ADA) a-HBD levels and myocardial LDH creatine kinase-MB (CK-MB) adenosine deaminase(ADA) a-HBD levels were analysed before and after cardiac arest ; Group I(control) ; the heart was only perfused with K-H ; Group II ; the heart was perfused with K-H including C-AMP PDSI(Amrinone 25mg/L); Group III ; the heart was perfused with K-H including NBT(4.19mg/L) ; Group IV ; the heart was perfused with K-H including C-AMP PDSI + NBT. Result : Left venticular developed pressure(LVDP) at 10 minutes of the equilibri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I(72.1$\pm$5.3 mmHg p<0.01) and group III(72$\pm$5.6 mmHg P<0.025) as compared with group I (40.8$\pm$4.7mmHg) and LVDP at 20 minutes of the reperfu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74$\pm$5.3mmHg p<0.01) and group III(72$\pm$5.6mmHg p<0.025) as compared with group I (44.2$\pm$4.6mmHg). Percentage recovery of LVDP at the reperfusion was the highest in group II(123.3%) Percentage recovery of coronary flow at the equilibrium reperfusion were higher in group II(310%, 270%) group III(230%, 290%) group IV(310%, 280%) as compared with group I (100%) respectively. Myocadial LDH level was significant lower in group IV(33495$\pm$1802 IU/gm p<0.04) as compared with group I(48767$\pm$1421 IU/gm) Myocadial CK-MB level was significant higher in group II(74820$\pm$1421 IU/gm) compared with group I (45450$\pm$1737 IU/gm) Myocadial ADA level was significant higher group IV(1215$\pm$8 IU/gm p<0.05) compared with group I(125$\pm$15 IU/g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III, IV in changes of coronary effluent LDH, a-HBD levels. Conclusion: C-AMP PDSI solely appears to have a better effect on myocardial preservation after ischemia than NBT but with no synergistic effect and it could keep CK-MB leve high in myocardial tissues.

      • SCOPUSKCI등재

        식도 편평세포암종에서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

        조성래,양일종,이충석,전도환,장희경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

        배경: 최근 치료법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진행성 식도암의 예후는 5년 생존율이 10% 이하로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식도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방법의 하나로 암면역 치료가 대두되고 있다. 암면역 치료를 위해서 MAGE 등 종양 특이항원이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없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 치험한 125례의 식도암중 병리조직 보관상태가 양호한 편평세포암 79례를 병기에 따라(1병기 19례, IIa병기 19례, IIb병기 10례, III병기 21례, IV병기 10례) 무작위로 추출하고 대조군으로 평활근종 20례와 정상 식도점막 20례를 대조군으로 하여 DO7 단클론 항체와 항 MAGE-3 단클론 항체 57B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여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율을 조사하고 식도암 조직에서 질병의 진행도를 반영하는 병기에 따른 발현율 및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율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식도암조직에서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율은 각각 51.9%, 60.8%의 발현율을 보였으나 식도평활근종과 정상 식도점막에서는 한례도 발현되지 않아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은 대조군에 비해 식도암 조직에서 의미있게 발현되었다(p<0.001).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은 I병기에서 68.4%, 52.6%, IIa병기에서 57.9%, 47.6%, IIb병기에서 60%, 70%, III병기에서 33.3%, 71.4%, IV병기에서 40%, 70% 각각 발현되어 병기에 따른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다(p=0.193, p=0.452). 식도암 조직내에서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679).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은 식도암에서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은 할수 없으나 식도 편평세포 암조직에서만 특이하게 높은 빈도로 발현됨으로써 식도암도 면역치료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전위된 요골두 골절의 보존적 치료의 결과

        이승림,한성호,안영준,유재호,전도환,양보규,Yi, Seung-Rim,Hahn, Sung-Ho,An, Young-Joon,Yoo, Jae-Ho,Jeon, Do-Whan,Yang, Bo-Kyu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sult of conservative treatment in displaced radial head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5 cases of displaced radial head fracture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from April 1992 to May 2002. Follow-up period was more than 1 year. They were all males and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20.2($11{\sim}24$)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3.4($12{\sim}15$) months. They were able to do active pronation and supination more than 70 degrees initially, who were applied long arm splint less than 1 week. The functional rating index modified after B.F. Morrey and no further displacement and union state of fragment in simple X-ray were used in follow-up assessment. Results: O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rating index modified after B.F. Morrey that included elements of pain, motion, strength, and stability, the results were 8 excellent, 7 good in patients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who had union and no further displacement of fragment in follow-up. Conclusion: We conclude that if they are able to do active pronation and supination more than 70 degrees initially, we take them to do early range of motion exercise after subsiding swelling, which can restrict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exercise and return to the living early. 목적: 전위된 요골두 골절 환자에 있어 보존적 치료 후의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4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본원에서 보존적 치료 받은 전위된 요골두 골절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보존적 치료를 받은 15명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20.2($11{\sim}24$)세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13.4($12{\sim}15$)개월이었다. 그리고 내원 당시에 능동적 회내전 및 회외전이 70도 이상 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일주일 정도의 장상지 석고 부목 고정술 후 조기 주관절 운동을 시행 하였다. 치료 결과는 변형된 Morrey 등의 기능적 평가와 방사선적 평가로 더 이상의 골편 전위 유무와 유합 소견으로 평가 하였다. 결과: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전위된 요골두 골절 환자 15명 중 변형된 Morrey 등의 기능적 평가에서 우수 8명, 양호 7명의 결과를 보였으며, 조기 주관절 운동을 시행하더라도 골편의 더 이상의 전위나 불유합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전위된 요골두 골절 치료시 내원 당시에 회내전 및 회외전의 정도를 확인하고 능동적으로 70도 이상의 소견이 보이는 환자에 대해 부종이 감소된 이후에 조기 주관절 운동을 시킴으로써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을 막을 수 있고 일상 생활으로 복귀가 빨라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통증이 있는 이분슬개골의 제한적인 외측 지대 유리술 치료

        이승림,한성호,양보규,정선욱,하정현,안영준,정병준,전도환,빈성우,Yi Seung Rim,Hahn Sung Ho,Yang Bo Kyu,Chung Shun Wook,Ha Jung Hyun,Ahn Young Joon,Chung Byung June,Jeon Do Hwan,Bin Sung W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1

        목적: 슬개골 상외측부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의 치료로 시행한 제한적 외측지대 유리술의 단기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제한적인 외측지대 유리술을 시행받은 14명의 환자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전 예에서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22.3세 (20$\~$44세)였고 방사선학적 검사상 이분슬개골은 Saupe 분류상 2형이 3예, 3형이 13예였다. 핵의학적 검사상 이분슬개골 부위에 동위원소 섭취증가의 소견을 보였다. 수술은 관혈적 방법을 이용하여 이분슬개골에 부착된 외측 광근건을 골막하에서 분리하였다. 임상적으로는 통증의 감소 여부와 활동정도, 방사선학적으로 이분슬개골편의 경사도(fragment tilting angle)와 이분슬개골편의 슬개골과의 간격 등을 술전과 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14개월 (12$\~$16개월)이었다. 결과: 제한적 외측지대 유리술 후 이분슬개골 부위의 통증을 호소한 예는 없었으며 임상평가상 전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이분슬개골편의 경사도와 이분슬개골편과 슬개골과의 간격은 술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의 치료에 있어서 제한적인 외측지대 유리술은 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가져와 상기 질환의 치료로서 우수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limited vastus lateralis release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1995 to Jun. 2002, we performed limited lateral retinacular release in 14 patients(16 cases)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All patients were men and mean age was 22.3 years old. The opeative techique was that insertion of the vastus lateralis to the painful patellar fragment is detached subperiosteally.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by degree of pain and level of activity. Also we analyzed the radiologic findings by measuring fragment tilting angle and gap between fragment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14 months. Results: At final follow up, all of the patients showed pain relief and can be returned to more than recreational sports activity after the operation. On radiologic findings, fragment tilting angle and gap between fragments were reduced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onclusion: The limited lateral retinacular release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is one of good methods which is less invasive and shows good results in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 KCI등재

        반건양건에 의한 발음성 슬관절

        양보규(Bo Kyu Yang),한성호(Sung Ho Hahn),이승림(Seung Rim Yi),안영준(Young Joon Ahn),유재호(Jae Ho Yoo),전도환(Do Whan Jeon),길경민(Kyung Min Kil)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여러 원인에 의해 드물게 슬관절에 마찰음을 감지할 수 있는데 대부분 외측 반월상 연골판의 전위나 원판형 연골판을 가지고 있는 예에서 나타나며, 그 외 대퇴 이두건, 반건양건, 장경대, 슬와건 등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외상 경험이 있는 환자에서 슬관절의 내측부에 동통과 함께 반건양건에 의해 생기는 발음성 슬관절 환자를 경험하여 수술적 치료 후 좋은 결과를 얻어 문헌과 함께 보고하과 한다. Snapping syndrome has rarely been reported in the knee. A snapping knee mainly occurs in the case of a translation of the lateral meniscus or a lateral discoid meniscus. Other causes include biceps femoris tendon, semitendinosus iliotibial band, and popliteus tendon.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a snapping knee caused by the semitendinosus tendon passing over the medial tibial condyle as a result of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