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대중국어 '給'의 용법 고찰

        全基廷 중국어문학회 2003 中國語文學誌 Vol.14 No.-

        現代漢語中'給'的用法多種多樣. 本文主要討論了與雙賓結構有密切關係的四類'給'字句中'給'的性質和用法,四類'給'字句爲S1 : S+給+O1+O2, S2 : S+V+給+O1+O2, S3 : V+O2+給+O1, S4 : S+給+O1+O2. S1中的'給'是動詞, 整個句式爲雙賓結構, 但在O2出現2價動詞的時候, 存在三種不同的解釋, 卽連謂結構中的第1動詞, 形式動詞和雙賓動詞, 本文則站在雙賓動詞的立場. 對S2中'給'的性質到木栓爲止還沒有一致的看法, 但本文因爲타與全面的謂語動詞緊密結合構成複合動詞. S3中'給'的性質可分爲兩種, 前面的V屬于給予動詞的時候'給'是介詞, 取得動詞的時候'給'是動詞, 整個句式構成連謂結構. S4中的'給'是介詞, 引出受惠和給予的對象, 引進受益者的'給'可以由'爲/替'來代替. 現代漢語中的介詞大部分是從動詞發展演化而來, 有時근動詞的界限不那마淸楚. 引차S1-S4中'給'的性質也不是能涇渭分明的. 因此本文用連續統來表現S1-S4中的'給'.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의 비유 유형 대조

        전기정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9

        In this paper, the types of figurative language in Korean and Chinese were contrasted. As a result, both languages classify similes and metaphors as types of figurative language.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借喩 is treated as a basic type of figurative language, but in Korean, it is not mentioned at all, or if does, it is included in a subtype of figurative language. In addition, while Korean treats Metonymy, Synecdoche, Personification as typical types of figurative language, Chinese classifies similar concepts such as 比擬 and 借代 as branches of rhetoric, different from figurative language. Korean and Chinese classify figurative language differentl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r the components of figurative language. In Chinese, a “vehicle” must appear in the surface structure to be a figurative language, and “similarity” is regar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while “contiguity” or “relevance” is not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figurative language. However, in Korean, there is no restriction on whether a “tenor” or “vehicle” appears, and there is a tendency not to strictly restric conditions such as “similarity”.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수사학에서 비유의 유형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지 고찰했다. 두 언어에서 모두 직유, 은유, 풍유를 비유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반면, 중국 수사학에서는 借喩를 비유의 기본 유형으로 다루고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주요 유형으로 다루고 있지 않으며, 은유의 하위 유형에 포함시키고 있다. 또한 한국어 수사학에서는 의인, 의물, 대유(환유, 제유), 의성, 의태 등을 비유의 전형적인 유형으로 다루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이와 유사한 개념인 比擬, 借代는 비유와 다른 갈래의 수사법으로 분류하고, 의성, 의태는 중국어 수사법에서 다루지 않는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비유의 유형을 다르게 분류하는 까닭은 비유를 분류하는 기준이나 비유의 구성 성분에 대한 시각이 다르기 때문이다. 중국어에서는 비유 대상이 표층구조에서 반드시 나타나야 비유로 보고, 유사성을 비유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보는 반면 인접성이나 관련성은 비유의 요소로 보지 않는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비유 주체나 비유 대상의 출현 여부에 대해 별다른 제약이 없으며, 유사성뿐만 아니라 인접성이나 관련성도 허용한다.

      • 한국 중간관리자들의 집단의사결정 과정 분석

        전기정 한국경영과학회 1996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2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최근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책임경영제, 팀제, 수평조직, 권한이양, Client/Server환경 등 다양한 기법들을 도입하고 있는데, 이들 기법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분관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분권화가 지니 전체 최적이 아닌 부분 최적, 구성원간의 갈등, 조직 전체적 차원의 의사결정 및 실행의 어려움 등과 같은 기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이해서 이해관계자들 간의 집단의사결정의 중요성은 분권화의 추세와 더불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S그룹의 신임과장 700여명을 6~7명을 한 조로 하여 총 110개조를 편성한 후, 조별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직접 관찰을 하였다. 관찰결과 110조 중 100조 이상이 거의 동일한 의사결정 과정을 밟아 갔으며 그들이 밟아간 과정은 합리적 의사결정이론에서 제시하는 과정과는 거리가 멀었다.

      • KCI등재

        논문(論文) : 학습자 말뭉치를 통한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분석

        전기정 중국어문연구회 2012 中國語文論叢 Vol.0 No.53

        偏誤是外語習得過程中的必然産物。過去他一直被視爲是要盡力避免的對象,但從20世紀70年代開始,對他的看法有所改變,爲了改善和發展外語敎學,需要分析學生的偏誤情況,如今他已經成爲在外語敎學中不可或缺的重要硏究對像。本文以現代漢語中介語語料庫爲對象,對韓國人的漢語雙賓語句偏誤情況近行了調査和分析。結果發現,韓國人常犯的偏誤類型大致可分爲詞휘和語法方面的錯誤: 詞휘方面的錯誤爲多詞、錯詞、錯字、標點符號錯誤等; 語法方面的錯誤爲句型錯誤、語序錯誤、時態助詞殘缺、時態助詞多餘、介詞殘缺、介詞誤用、主語殘缺、主語多餘、動詞殘缺、動詞誤用、間接賓語殘缺、直接賓語形式錯誤等。其中,出現頻率比較高的錯誤依次爲時態助詞殘缺、句型錯誤、動詞誤用、錯詞、直接賓語形式錯誤。

      • KCI등재후보

        현대중국어 시간어의 특징과 초급 단계에서의 교육방법

        전기정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9 中國學論叢 Vol.25 No.-

        時間作爲構成一個完整的語言表述的重要因素, 必然會成爲語言硏究的對象, 也應成爲漢語敎學中的重要敎學對象。本文以漢語敎學的角度, 把現代漢語時間詞區分爲兩大類, 卽表示時間位置的時點詞和表示時間長短的時段詞。然後, 對時點詞和時段詞進行了語義、形態、句法方面的分析。時間詞的出現位置反映着順序象似, 時點詞一般出現在動詞的前面, 因爲時點詞制約着動詞的時距, 而動詞被包含在時點詞的時距之中; 時段詞則一般出現在動詞的後面, 因爲動詞動作之後才能知道動作持續的時間長短。有些時段詞出現在動詞之前, 但這時也仍遵循順序象似, 制約着動詞的時間範圍。最後, 本文主張在漢語敎材編排時間詞時, 應把簡單句中的時段詞放在初級階段, 與時點詞同步敎授, 以便減輕學生的負擔、減少偏誤的出現頻率。

      • KCI등재
      • KCI등재

        조직과 문화의 관점에서 접근한 한국형 지식경영 모델 : IMF 사태에 대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he IMF stand-by arrangement in Korea

        전기정,현우식,장승권 한국생산성학회 1999 生産性論集 Vol.13 No.3

        Using the knowledge management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op level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brought the financial crisis in Korea at late 1997.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 Korean knowledge management, this study applies knowledge spaces for meta-knowledge, formalhformal organizations, and cultural spaces. Implicit knowledge and the role of informal organizations are regarde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in Korean knowledge management models. It, then,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meta-knowledge mechanisms for the fluent circulation of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