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魏晋南北朝都城的形制结构

        錢國祥(전국상) 중국고중세사학회 2015 중국고중세사연구 Vol.35 No.-

        魏晉南北朝시기는 중국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분열된 시대였지만, 장기간의 大動亂은 각 민족과 지역문화의 상호교류 및 융합을 촉진하고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발생하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각 도성의 形制와 구조 역시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여 건설되었으며 그 특징들은 후대 중국왕조 도성들의 규범이 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魏晉의 洛陽城은 가깝게는 隋唐統一帝國, 멀게는 동아시아 각 국가 도성의 전형적인 제도가 처음 등장한 도성이었다. 본고에서는 曹魏의 鄴北城, 曹魏西晉의 洛陽城, 北魏 洛陽城, 東魏北齊 鄴南城, 南六朝의 建康城 등의 魏晉南北朝 시기 주요 도성유지 연구를 통해 이 시기 도성구조의 기본형과 변화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曹操의 王都인 鄴北城은 그 구조나 형식에서 漢 諸侯王國으로서의 면모와 함께 당시 사회ㆍ정치ㆍ경제 및 군사적 필요가 반영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鄴北城의 특징들은 뒤이은 새로운 왕조의 도성구조로 이어진다. 曹魏와 西晉의 洛陽城은 秦漢代 전통적인 도성형식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도성구조를 보여주는데, 가장 중요한 특징은 多宮制에서 單一宮城制로 바뀐 것이다. 이는 후대의 東晉, 南朝 및 北朝 각 도성설계의 규범이 되었다는 점에서 높은 역사적 의의를 가진다. 東晉과 南朝의 建康城은 東吳의 도성을 기초로 건설되었으나 西晉 洛陽城구조를 따라 魏晉을 계승하였다는 정통성을 드러냈다. 北魏 洛陽城은 曹魏 洛陽城제도를 따라 지어졌으나, 동시에 사회경제적인 발전과 민족ㆍ문화의 융합 및 교류가 활발했던 당시 상황을 반영하여 여러 가지 변화가 발생하였다. 도성의 규모를 확대하고 성내 시장을 비롯한 다양한 시설을 증설하였으며 外郭城을 축성하는 등 三重의 도성구조를 이루어 대량의 인구와 외국상인들이 거주 및 생산, 상업 활동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국제도시가 탄생하였다. 마지막으로, 東魏와 北齊의 鄴南城은 曹魏 鄴北城의 남측에 완전히 새롭게 건설한 도성이었다. 그 형제와 구조는 北魏 洛陽城의 제도를 그대로 참조하여 한층 발전시킨 것으로 隋唐시기 도성설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