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결, 고온-열탕 및 고온-고압처리된 토끼 장관골의 자가이식후 신생골 형성능의 비교

        장한,김용식,이남기,김승기,이기행,고해석,조형래,이승구,Chang, Han,Kim, Yong-Sik,Lee, Nam-Ki,Kim, Seung-Ki,Lee, Ki-Haeng,Koh, Hae-Suk,Cho, Hyung-Rae,Rhee, Seung-K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 No.1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eep-freezed, boiled and autoclaved autogenous long bone graft on the incorporation of the radial diaphyseal reconstruction in 30 rabbits by radiogram and histology for 8 weeks. Immediate histologic changes of 1cm of resected long bone treated by deep freezing, boiling and autoclaving in each 2 rabbits were also observed as control. Resected, boiled ($95^{\circ}C$ for 5 min.) and reimplanted bone was compared with resected, autoclaved ($131^{\circ}C$ for 5 min.) and reimplanted bone, and resected, deep freezed with liquid nitrogen for 5 minutes and thawing in saline and reimplanted bone in the reconstruction of bilateral radial defects in each of 8, and in total 24 adult rabbi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mmediate histologic changes showed that intracortical osteocytes in lacunae were partially necrotized and the cortex were faintly stained with they Masson trichrome stain in both boiled and deep freezed groups, while they completely necrotized and their cortex stained more weakly with Masson trichrome stain in autoclaved group which means less amount of collagen and protein in cortex of long bone. 2. Radiographies at 8 weeks showed complete union with more marked incorporation and external callus formation in all boiled and freezed groups, whereas there was delayed union in four of sixteen (25%) in autoclaved group. Histologically, at 8 weeks after boiled and freezed, more intense incorporation with new bone formation and neovascularization were observed, whereas transverse clefts consisted with delayed union in 4 cases of autoclaved group (25%) were observed at osteotomy site. Through these studies, the boilod and deeply freezed bones acted as an osteoinductive material as well as osteoconductive, but the autoclaved bone only as osteoconductive. Though boilod and deeply freezed bone showed higher osteogenic potentials than autoclaved bone, the necrotizing effect on cortical and boiled bone was inferior to that of autoclaved. Thus the deeply freezed bone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aggressive benign or less malignant bone tumor not involving cortical bone, but the autoclaved bone supplemented with bone graft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 involving cortex of long bone.

      • KCI등재

        구조해석과 재건 : 중국이 한국 범죄 영화를 리메이크하는 현상에 관한 연구 - 한국 영화 <베테랑>을 리메이크한 중국 영화 <대인물>을 사례로 -

        장한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5 No.2

        최근에 한국의 영화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질 높은 작품들이 집단적으로 나타났다. 사회 현실을 주제로 하는 예술 영화, 할리우드 영화를 따라하는 작품 등, 다양한 스타일을 통해 큰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아시아와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범죄 영화는 한국에서 자주 다루는 장르이다. 1999년부터 지금까지 해마다 7-8개의 범죄 영화가 출시되고 있다. 이중에서 2-3개의 작품이 그해 한국 10대 영화에 들어갔다. 범죄 주제는 한국 관객들의 많은 사랑을 받게 되었고 다른 나라들과 다른 새로운 범죄 영화 장르가 생겨났다. 중국에서 한국 영화 <블라인드(2011)>를 리메이크한 <나는 증인이다(2015)>, 한국 영화 <숨바꼭질(2013)>를 리메이크한 <숨바꼭질(2016)>, <끝까지 간다>(2014)를 리메이크한 <파국>(2017) 등 영화는 좋은 반응을 얻어내지 못했다. 2019년 설 시즌에 상영된 <베테랑>(2015)를 리메이크한 <대인물>은 “현지화 전략”을 사용하여 원작을 재건했다. 주제, 배경, 줄거리, 캐릭터 등을 중국 사정에 맞게 재편하여 높은 평가를 받고 많은 관객 수를 획득했다. 이 영화는 한국 범죄 영화를 리메이크하는 중국 영화 제작사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본문에서는 <베테랑>을 리메이크한 <대인물>을 사례로 분석했다. 현지화와 그 나라의 사회 현황, 그리고 대중들의 심미에 부합하는 리메이크가 성공의 관건적인 요소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중국의 영화 제작자들이 한국 영화를 리메이크하는 과정에서 어떤 상상력을 발휘하고 어떻게 현지화를 진행했는지를 분석했다. 서로 다른 문화 배경이 들어있는 한국 영화를 어떻게 개편하여 중국의 현황과 관객들의 심미에 부합한 영화로 재탄생시키는 것이 중국 리메이크 작품들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In recent years, south Korean fil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mature, with frequent excellent works, presenting a creative upsurge of “collective power”. Whether it is an art film that reflects social reality or a local Korean film that imitates Hollywood blockbusters, it has won wide praise for its diversified style and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in Asia and even the world. Crime film is often taken by Korean movie type, starting in 1999, South Korea, on average, 7-8 crime films every year, of which two to three annual top 10 box office tends to occupy Korea, crime films was deeply loved by south Korean audience, and many are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are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crime films of new type. South Korean films, especially the crime genre as main object of Chinese movie remake in recent years, for example: “I am the witness” (2015) remake Korean movie “blind card” (< 블라인드 > 2011); “Hide and seek” (2016) remake Korea movie hide and seek” (< 숨바꼭질 > 2013); Remake “broken” (2017) “the end” (< 끝까지 간다 > 2014) If the three film remake of Korean movie disappointing result, in 2019 New Year file's latest movie “big man” remake “veteran” (< 베테랑 > 2015) acquired the audience with more successful localization based on common recognition. The remake of “big man” deconstructs and reconstructs the original work, and localizes it in the aspects of theme, plot background and character shaping.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remaking of “veteran” of “big man” as an example to argue that only the local adaptation in line with the national social situation and popular aesthetic taste is the important basis for the success of remaking. How Chinese creators can exert their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remaking Korean films and make more beneficial local adaptations of the original works; It is the most urgent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ocess of remaking Chinese films to more effectively shape and disseminate Chinese screen images in cross-cultural texts.

      • KCI등재

        이창동 현실주의 영화의 작가주의 특징 연구

        장한,양종훈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9 No.3

        한국의 영화감독 이창동은 예술 영화의 창작 이념을 오랫동안 고수하여 소수의 영화 제작을 통한 뛰 어난 작품을 창작하고 있으며, 그의 작품에는 모두 인문주의적 배려와 현실주의 정신이 담겨 있다. 초기 ‘녹색 3부작’으로 불리는 영화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에서 중기의 <밀양>, <시> 그리고 최 근의 <버닝>에 이르기까지 이창동의 영화는 예리한 시각으로 현대 한국 사회에서 일반인들이 겪는 생존 의 곤경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그는 자신이 경험한 한국의 역사적 상처와 인간의 잔혹함 그리고 침해당 하는 개인의 운명 등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또한 이창동의 영화는 작가주의 영화의 미학적 특 징이 드러내며, 한국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과 반성, 그리고 소외 집단의 생존 상태에 대한 관심이 이창 동 영화의 일관된 주제이다. 작가로서의 오랜 경험은 그의 영화가 서사 방식에서 다른 특징을 나타나게 하였다. 상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초현실주의 에피소드가 자주 등장하고, 숏은 항상 차분하고 엄숙하며, 관조적 태도로 현실을 반영하고 롱 테이크의 기록적인 미학 표현 기법을 유지한다. 그는 영화를 통해 개 인의 존재 의미에 대한 변증적 사고로 글로벌화의 트렌드에 따른 한국과 인류 문화 정신의 변천을 확대 하여 인류의 생존 본질에 대해 질문한다. 즉, 슬픈 분위기의 영화를 통해 현실을 반영하며 사람, 생명, 한 국 사회의 스토리로 현실을 초월한 깊은 반성을 보여주고, 인류의 공통의 감정을 도출한다. 다양한 영화 소재와 장르의 예술적 특징으로 볼 때, 장르를 초월한 개성적인 창작 스타일을 갖춘 현실주의 영화만이 비로소 사람들이 깊은 여운을 음미할 수 있는 뛰어난 작품이 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영화 장르의 단 조로운 상황을 해결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항상 현실주의적 소재를 선호하는 한국 영화를 새로운 수 준으로 이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창동의 현실주의 영화 속 작가주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실주의 한국 영화의 예술 창작 기법에 대한 새로운 구상 방향의 개척을 그 목적으로 한다. Since the 1990s, South Korean films have risen to prominence, winning numerous awards 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Among them, Director Lee Chang-dong insists on the creation concept of art film and insists on low-yield and high-quality creation for decades, which deeply contains humanistic care and realistic spirit. From the original “Green Trilogy,” The Green Fish “Mints”, “Oasis” to the middle of the “Mi Yang”, “poem” and then to the recent “Burning”, lee's movies like a sharp knife precision cut open South Korea the plight of ordinary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it has the history of trauma, the cruelty of human nature, individual fate by uprooted, and obtained great success in the history of film art, in South Korea and even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Asian film. His films show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films: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social reality of South Korea and the concern about the living conditions of marginal characters are the consistent themes of his films; Due to the profound accumulation of literary accomplishment and years of experience as a writer, his films als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non-rigid style in the way of narration: Surrealist fragments interwoven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appear frequently in his works; The camera is always calm and serious, reflecting reality with a silent observation of life, and sticking to the shooting technique of long lens documentary aesthetics. Lee Chang-dong, the director, is very firm in describing the unique fragmentation through one sad story after another. With the help of the film, he makes dialectical thinking on the meaning of individual existence and explores the changes of human culture and spirit between South Korea and the world to question the wood of human existence.

      • KCI등재

        방사성폐수지 처리를 위한 연속식 상용 제염시스템 차폐 설계 및 평가

        장한,양남희,정원선,조영수,이경진 (사)한국방사선산업학회 2019 방사선산업학회지 Vol.13 No.2

        If the continuous common decontamination system of radioactive spent resin designedby Huvis Water Co., Ltd is actually operated, the radioactive spent resin with the considerablyhighradioactivity level would be handled, so that the radiation shielding is essential to the treatmentfacilities, and its performance should be secured as well. When designing the shielding or calculatingthe thickness of shielding wall, the dose at the point of interest should be calculated by assuming thecase without the shielding material, and then the shielding material and the thickness of shieldingare decided. In the treatment facilities, the treatment system as a source term is divided into threeprocesses, and out of them, from the SKID 1 with 60Co and 137Cs as source term to the work zonewere set up as the point of interest. For the calculation of dose rate, the point kennel method wasused. In accordance with the shielding design standard, the shielding material and its thickness weredecided, so that the dose rate at the point of interest after shielding could be less than 1 mSv·week-1. Regarding the shielding materials, the concrete, steel, and lead that would be generally used themost in reality, were decided. The thicknesses of shielding meeting the standard value at all thepoints of interest were like 30 cm for concrete, and 3 cm for lead. Considering the optimization ofradiation protection, it should be set up as the above values or up. The shielding material and itsthickness should b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many efficiencies.

      • KCI등재

        Zero-profile 단독 케이지를 이용한 경추 전방 유합술 - 2년 이상 방사선학적, 임상적 추시 결과 -

        장한,최병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analysis. Objectives: To analyze the usefulness of Zero-P® by analyzing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with a minimum of 2 years of follow-up.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nterior discectomy and fusion (ACDF) using Zero-P® showed excellent resul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focusing on long-term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Ninety-eight patients who underwent single-level ACDF using Zero-P® with more than 2 years of follow-up were included for analysis. In the radiological analysis, we evaluated disc height, segmental lordosis, and subsidence in the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periods.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Neck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Arm VAS were also evaluated for clinical assessment. Radiological bony fusion was assessed, and radiological and clin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bony fusion were evaluated. Results: Intervertebral disc height had increased 2.92 mm after surgery and subsided to 2.36 mm at the final follow-up. Subsidence of the screw was 0.58 mm at final follow-up. Segmental lordosis was 3.97° at the preoperative assessment, 8.39° in the postoperative follow-up, and 5.83° in the last follow-up. The Neck VAS score was 4.47, 2.28, and 1.27, respectively. The Arm VAS score was 5.73, 3.13, and 2.18; and NDI score was 17.8, 11.7, and 7.89, respectively.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Radiological nonunion was found in 18 subj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diological and clinical parameters according to bony union. Conclusions: ACDF with Zero-P® for treatment of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 showed subsidence in 55.1% and nonunion in 18% of cases. However, the radiological results were not related to the clinical result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퇴행성 경추 질환의 전방 감압 및 유합술 시 Zero-P®을 이용한 2년 이상의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서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퇴행성 경추 질환의 유합술 시 Zero-P®는 초기 안정성을 제공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기존 술식과 비교하여 좋은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대상 및 방법: 단분절 퇴행성 경추 질환으로 Zero-P®를 이용하여 전방 감압 및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9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수술 전, 후, 최종 추시에 추체 간격, 수술 부위의 전만각, 나사못의 침강 정도을 측정하였다. 임상적으로 수술 전, 수술 후, 최종 추시시 목 통증과 방사통에 대한 각각의 VAS 점수와 NDI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최종 추시 시 골유합 여부를 판정하였으며 골유합 여부에 따라 각 군의 방사선, 임상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으로 수술 후 추체 간격의 변화는 2.92 mm 증가하였고 최종 추시 상 2.36 mm의 침강을 보여 2 mm 이상 침강을 보인 경우는 54예(55.1%)이었다. 전만각은 술 전 3.97도에서 수술 후 8.39도, 추시 상 5.83도를 보였다. 나사못은 최종 추시 상 0.58 mm의 침강을 보였다. 목 통증에 대한 VAS 점수의 변화는 술 전 4.47, 술 후 2.28, 최종 추시 1.27 이었으며, 방사통에 대한 VAS 점수의 변화는 5.73, 3.13, 2.18이었고 NDI 점수의 변화는17.8, 11.7, 7.89이었다. 방사선학적인 결과와 임상적 결과 간 상관 관계는 없었다. 최종 추시 상 18예(18%)에서 방사선학적인 불유합 소견을 보였으나유합 여부에 다른 방사선학적, 임상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퇴행성 경추질환의 전방 유합술 시 Zero-P®의 사용은 55.1%에서 침강과 18%에서 불유합 소견을 보였으나 방사선학적 분석의 결과와 임상적 결과와의 의미 있는 상관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Os odontoideum과 환축추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의 횡인대에 발생한 활막 낭종 : 증례보고 A Case Report

        장한,박종범,김기원,박원종,김승기,최우성,·권영정 대한척추외과학회 199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6 No.1

        연구 계획 :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연구 목적 : Os odontoideum과 환축추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의 횡인대에 발생한 활막 낭종의 진단 및 치료를 기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Os odontoideum과 환축추 불안정성이 있는 4 5세 남자 환자의 횡인대에 발생한 활막 낭종에 대해 환축추 후방 유합술만을 시행후 추시 관찰하였다. 그리고 활막 낭종의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 수술적 치료 및 문헌 고찰을 기술하였다. 결과 : 경추부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T1 강조 영상에서 둥글고 경계가 명확하며 척수액과 비슷한 저신호 강도를 보 이는 낭종성 종물이 축추체 후연의 십자 인대에 존재하면서,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 강도를 보이고, Gadolinium 조영 증강 T1 강조 영상에서 종물의 내부를 제외하고 가장자리만 조영 증강되는 활막 낭종의 소견을 나타내었다. 환축추 후방 유합 술후 3개월에 시행한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낭종의 자연 소실이 확인되었다. 결론 : 저자들은 현재까지 문헌상 보고된 바 없는 환축추 불안정성을 동반한 Os odontoideum 환자의 횡인대에 병 발된 활막 낭종을 보고한다. 또한 직접적인 낭종 제거술을 시행하지 않고 환축추 후방 유합술로 활막 낭종의 자연 소실을 자기공명영상 검사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술적으로 도달하기 어려운 부위에 발생한 활막 낭종의 경 우에는 직접적인 제거술보다는 견고한 유합술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로 낭종의 진행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외상후성장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장한,김진숙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 comprehensive conclu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variables in the clusters of cognition, emotion, self, and support. For this purpose, 110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were meta-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7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four variable clusters and the effect size of all four clusters were large. Second, meaning of life in the cognition cluster, spirituality in the emotion cluster, resilience in the ego cluster, and family resilience in the support cluster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Third, the effects of moderating variables concerning subject type, types of trauma, age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ratio of female in the subjec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ny variable cluste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growth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후성장과 관련된 인지, 정서, 자아 및 지지 변인군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외상후성장 관련 논문 110편을 메타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변인군에는 27개의 변인이 포함되었고 네 변인군 모두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 변인군에서는 삶의 의미, 정서 변인군에서는 영성, 자아 변인군에서는 탄력성, 지지 변인군에서는 가족탄력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변인별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의 구성, 외상의 유형, 연령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대상에 포함된 여성의 비율은 어떤 변인군에서도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상후성장을 위한 상담개입과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