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영자 능력이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신삼판(新三板)기업을 중심으로

        장학동,강신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1

        포스트 코로나시대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기업의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영자가 수익성이 있는 투자안을 발굴하여 효율적인 투자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기업의 투자도 규모가 있는 투자에서 효율성이 있는 투자로 전환해야 하므로 기업의 각종 투자 결정을 지닌 경영자의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의 중국 비상장 중소기업들의 지분거래를 위한 장외시 장인 신삼판시장 기업 중 12월 결산법인 기업자료를 이용하여 경영자 능력이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투 자효율성은 Richardson(2006) 모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고, 경영자 능력지수는 Demerjian et al.(2012)의 연구에서 제시된 DEA-Tobit회귀 2단 계 모형을 통해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전체기업표본에서 경영자 능력이 기업의 최적투자액을 벗어나는 비효율성 투자와 1% 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값으로 확인 하였다. 즉, 경영자 능력이 높을수록 기업의 비효율성 투자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투자효율성에 대한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실증적 증거를 보고하였다. 또한, 투자부족 표본에서도 경영자 능력이 비효율성 투자와 1% 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여주었으나, 투자과대 표본에서 는 유의하지 않은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부족에서 경영자 능력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경영자 능 력이 높을수록 기업과 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 있게 투자하기 때문에 투자부족의 가능성을 강하게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투자 과대 표본에서 유의하지 않은 관계가 나타난 것은 중국 중소기업들은 창업자 또는 창업자 가족이 기업의 소유자이면서 경영자인 지배구조 특징 을 가지기 때문에 경영자는 단기보다 장기이익의 최대화, 규모의 효과, 높은 시장점유율 및 매출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비상장 중소기업들의 지분거래시장인 신삼판 시장에서 기업의 경영자는 규모의 효과 및 높은 시장점유율 및 매출을 위해 투자부족 문제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키며, 투자과대에 대해 오히려 간섭하지 않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으며, 독립변수가 t-1년도의 값을 취하여 회귀분석한 결과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확 인하였다. 이외에도 기업이 보유한 자원 및 자금의 효율적 활용을 대리하는 변수로 총자산회전율을 사용하였다. 총자산회전율을 매개변수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총자산회전율이 경영자능력과 투자효율성간에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은 확인하였다. 추가분석에서도 기업의 등록상 태 및 속한 산업별에 따라 경영자 능력이 기업 투자효율성 간의 유의한 양(+)의 관계를 발견하였다. As the economic recession continues in the post-COVID-19 era, corporate investor sentiment is shrinking. In this situation, it is most important for managers to find profitable investment plans and make efficient investments. In addition, since corporate investment should also be converted from large-scale investment to efficient investment, the ability of managers with various investment decisions of companie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managerial ability on investment efficiency using corporate data from the Chinese New Third Board market whose settlement month is December from 2014 to 2021. Specifically,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was measured by referring to the Richardson (2006) model, and the managerial ability index was calculated through the two-step model of DEA-Tobit regression presented in the study of Demerjian et al. (2012). In addition, the under-investment sampl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inefficiency investment at the 1% level, but the over-investment sample showed non-significant negative (-) value. This result shows that managerial ability has a stronger impact on investment in the under-investment sample, and the higher managerial ability, the more confidently invest based on a high understanding of companies and industries, which strongly reduces the possibility of investment shortage.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over-investment sample because Chinese SMEs have a governance structure in which the founder or family of the founder is the owner and manager of the company, so managers tend to pursue long-term profits, scale effects, high market share, and sales than short-term profits. In the Shinsampan market, which is an equity trading market for unlist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corporate managers actively reduce the problem of lack of investment for the effect of scale, high market share, and sales, and rather do not interfere with investment overloa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by taking the valu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1 can also be confirmed to be consistent with this. In addition, the asset turnover rate was used as a variable representing the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funds held by companie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asset turnover rate as a parame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asset turnover rat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investment efficiency. Further analysis also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in managerial ability according to the company's registration status and industry to which it belongs.

      • KCI등재

        경영자능력과 기업의 환노출간 관계 연구 : 상해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장학동,강신애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1 국제경영리뷰 Vol.25 No.4

        본 연구는 중국 상해증권거래소 A주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영자의 능력과 환노출 간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중국에서 기 업의 주요 투자자인 중국정부 소유여부가 기업의 환노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외국인투자자들이 외부 주요 투자자로서 경영자능력 과 환노출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연구대상은 2007년에서 2019년까지 상해증권거래소 A주에 상장된 비금융업 으로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한다. 기업수준에서 경영자능력을 측정하고, 주식수익률, 시장포트폴리오수익률, 명목환율을 활용하 여 환노출 계수를 추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환노출을 세부적으로 양(+)의 환노출 및 음(-)의 환노출, 환노출 계수 의 절대값으로 구분하고, 추가적으로 명목환율을 대신하여 실질환율을 사용하여 이들 간 관계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경영자능력과 환노출 계수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환노출 계수를 양(+)의 환노출과 음(-)의 환노 출 계수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경영자능력과 양(+)의 환노출과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경영자능력과 음(-)의 환노출 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경영자능력과 환노출 계수의 절대값과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 는 경영자능력이 증가할수록 환율변동과 기업의 가치 변동 사이에 존재하는 민감도인 환노출의 절대적 크기를 줄이고자 하는 것을 확 인하였다. 기업의 소유구조에서 국유기업여부, 경영자능력과 국유기업의 교차항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국유기업이 민영기 업에 비해 환노출관리에도 체계적인 관리능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외국인투자자지분율은 명목환율을 이용한 경우 양(+)의 환노출 계수와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외국인투자자들의 경우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 환율 상승에 따른 달러환산 투자회수금의 손실에도 기업의 가치가 증가하는 기업에 투자함을 보여준다. 또한, 실질환율을 이용한 경우 음의 환노출 계수와 유의한 양(+), 환노 출 절대값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여, 환율 상승에 따른 달러환산 평가가치하락보다 주식의 저평가 여부에 대하여 더 큰 관심을 가 져 외국인투자자가 기업의 음수의 환노출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통제변수에서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환노출을 관리하였 으며, 기업의 성장성이 높고, 이러한 성장성이 부채를 기반으로 할 경우, 기업의 성장을 통해 환노출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 완전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지 않은 중국에서도 경영자능력이 기업의 환노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정부지원과 자원획득에 유리한 국유기업은 환노출에 체계적인 관리능력이 있었으며, 외국인투자자들은 양 의 환노출과 음의 환노출을 가진 기업들에 대한 투자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foreign exchange exposure for the companies listed o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in China. In addition, we analyze how the ownership of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is a major investor in a company in China, affects a company's foreign exchange exposure and how foreign investors as major external investors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foreign exchange exposure. Using firms listed o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A share whose settlement month is December from 2007 to 2019,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measuring managerial ability at the company level and estimating currency exposure coefficients using stock returns, market portfolio returns, and nominal exchange rates. In addition to this, the currency exposure is divided into positive (+) currency exposure, negative (-) currency exposure, and absolute value of the currency exposure coefficient, and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analyzed using the real exchange rat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currency exposure coefficient.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cy exposure coefficient by dividing it into positive (+) and negative (-) currency exposure coefficient, a significant negar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positive (+) currency exposur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negative (-) currency exposur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currency exposure coefficient. This confirmed that as the managerial ability increases, the absolute magnitude of foreign exchange exposure, which is the sensitivity that exists between exchange rate and corporate value fluctuations, is to be reduced. In the corporate ownership struc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ate-owned enterprises, managerial ability, and the intersection between them, indicating that state-owned enterprises have more systematic management ability in managing currency exposure than private enterprises. The foreign investor's equity ratio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with the positive (+) exchange rate exposure coefficient when the nominal exchange rate was used. It also shows that foreign investors invests in companies whose value is increasing. In addition, when the real exchange rate was us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negative exchange exposure coefficient, and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with the absolute value of foreign exchange exposure. This results showed that foreign investors can mitigate negative foreign exchange exposure by investing in companies having negative (-) exposure. As for the control variable, the larger the company, the more the exposure was managed, and when the growth potential of the company was high and this growth potential was based on debt, it was found that the exposure to currency increased through the company's growth. These results show that managerial 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foreign exchange exposure even in China, which has not yet adopted a fully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foreign investors have different investments in companies with positive and negative currency exposure.

      • KCI등재

        중국 신삼판(新三板) 기업의 이전상장지도 공시효과에 관한 연구

        장학동,강신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 신삼판 시장에 등록된 기업들 중 이전상장지도 공시 후 이전상장에 성공한 기업들을 표본으로 이전상 장지도 공시의 효과와 이전상장 이후 기업특성에 차이가 발생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사건연구방법론을 통해 이전상장지도 공시가 표본 기업들의 주가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건일 전의 연구 기간 (T-30일, T-15일)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이 영(0)과 가까운 결과가 나 타났으나, (T-15일, 0일)까지는 5%~7%사이 양(+)의 값이 나타났다. 이는 공시일 전에 이미 이사회 결의시에 정보가 노출되거나 회사경영자가 이 정보를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공시일 이후 (0일, T+5일)까지 누적평균초과 수익률의 유의미한 상승세를 보여주어 이전상 장지도 공시는 기업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둘째, T-test검정 및 성향점수매칭-이중차분법(PSM-DID)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전상장지도 공시의 기업들의 재무적 성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전상장 성공기업(처리집단)과 이들과 유사한 성향을 가지며 이전상장 을 신청하지 않은 기업(비교집단) 과의 차이분석에 의하면 이전상장 성공연도(T년)에는 재무변수에 차이가 없었으며, 이전상장 성공 다음 연도 (T+1년)에는 성장성 변수들에서 처리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큰 값을 가졌다. 다음으로 이러한 차이를 처리집단과 비교집단에 근본적 차이가 있 는지를 통제하고, 처리집단에서 이전상장으로 성과가 나타나는지를 PSM-DID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차이분석과 같이 성장성 변수들에 서 유의한 양(+)의 변화가 관측되었다. 이는 이전상장을 통해 자금조달 및 가시성 등을 높이고자 하는 기업의 목적이 달성된 결과이며, 본 연구의 표본기업들의 이전상장지도 공시 전후의 주가효과 및 재무성 성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후속 이전상장을 준비할 신삼판기업들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were any relocation effects and differences in firm characteristics by firms who were successfully relocated to advanced stock exchange systemusing companies registered in the ChineseNewThird Boardmarket from2015 to 2021. First, the short-termeffect of the disclosure of relocation listing guidance on the stock prices of sample firms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study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mulative excess return for the study period (T-30 days, T-15 days) before the event date was close to zero (0). However, the study period (T-15 days, 0 days) before the event date, the cumulative excess return shows positive (+) values between 5% and 7%. This can confirm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formation may have been exposed at the time of a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before the date of disclosure or that the company's management may have used this information. After the announcement date (day 0, T+5 days), the cumulative average return shows a significant upward trend, suggesting that relocation listing announc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any's stock price. Second, using the T-test test an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double difference method (PSM-DID), the effect of prior listing guidance disclosure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companie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successfully relocated companies to advanced exchange (treatment group) and companies that have similar tendencies and have not applied for relocation listing (comparison group), there is no difference in financial variables in the successful relocation listing year (year T). In the year following the successful relocation listing year (year T+1), the treatment group had a larger value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the growth variables. Nex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PSM-DID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relocation listing on the treatment group.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a significant positive (+) changewas observed in the growth variabl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mpany's purpose of raising funds and increasing visibility has been achieved through the relocation listing. This study provides reference data for New Third Board companies preparing for subsequent listing through analysis of the stock price effect and financial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relocation listing guidance of the sample companies in this study.

      • KCI등재

        정부보조금이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중국 신삼판 기업을 중심으로

        장학동,강신애 한국국제경영학회 2023 國際經營硏究 Vol.34 No.3

        본 논문은 정부보조금의 기업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영향을 중국 신삼판 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으로는 연구개발투자의 지속성을 고려하여 자기상관과 이분산성을 통제한 Newey-W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 구기간은 2014년에서 2022년까지로 중국 신삼판 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체 중 연구개발집약도가 중 위값 이상인 5개 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부보조금은 연구개발집약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관계는 최대주주지분율의 대소, 국유기업 여부나 정치적 연계 유무에 관계없이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나 정부보조금이 초기 창업기업의 재무제약을 약화시키고 기술혁신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부보조금은 연구개발투자효율성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최대주주지분율 의 대소, 국유기업 유무나 정치적 연계 유무에 관계없이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연구개발 지출과 효율 성이 연계되어 있어 중소벤처기업들의 거래소인 신삼판에서 정부보조금을 통해 연구개발 지출을 일정수준까지 증 가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보조금을 받기 위해 기업은 정부의 요구에 맞는 첨단기술투자를 할 유인 등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효율성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부보조금이 연구개발투자 지출과 연구개발 자원의 유효 활용 정도인 연구개발투자효율성에 대한 영향이 다르므로 기업이 정부보조금을 통 한 연구개발투자 지출 증가 뿐 아니라 효율성을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정부보조금이 지원되어야 함 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impact of government subsidies on corporate R&D investment in the Chinese New Third Board market. The Newey-West method was used to control for autocorrelation and heteroscedasticity,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of R&D investment.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2014 to 2022,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five industries with R&D intensity above the median among non-financial companies with December settlement listed on the Chinese New Third Boar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government subsid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R&D intensit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argest shareholder’s stake, state ownership, or political connections. It was confirmed that government subsidies weaken financial constraints for start-up companie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However, government subsidi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R&D investment efficiency, and thi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argest shareholder’s stake, state ownership, or political connections. As R&D expenditure and efficiency are interrelated, government subsidies can be used to increase R&D expenditure to a certain level for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in the New Third Board market. However, to receive government subsidies, companies’ R&D investment efficiency decreases significantly due to incentives for advanced technology investment that meets government requirements. Therefore,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government subsidies should be supported in a direction that can increase not only R&D investment expenditure but also efficiency, as government subsidies have different effects on R&D investment efficiency, which is the degree of effective utilization of R&D investment expenditure and resources by companies.

      • KCI등재

        정부보조금이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중국 신삼판 기업을 중심으로

        장학동 ( Xue Dong Zhang ),강신애 ( Shin Ae Kang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3 國際經營硏究 Vol.34 No.3

        본 논문은 정부보조금의 기업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영향을 중국 신삼판 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개발투자의 지속성을 고려하여 자기상관과 이분산성을 통제한 Newey-W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에서 2022년까지로 중국 신삼판 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체 중 연구개발집약도가 중위값 이상인 5개 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부보조금은 연구개발집약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관계는 최대주주지분율의 대소, 국유기업 여부나 정치적 연계 유무에 관계없이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나 정부보조금이 초기 창업기업의 재무제약을 약화시키고 기술혁신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부보조금은 연구개발투자효율성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최대주주지분율의 대소, 국유기업 유무나 정치적 연계 유무에 관계없이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연구개발 지출과 효율성이 연계되어 있어 중소벤처기업들의 거래소인 신삼판에서 정부보조금을 통해 연구개발 지출을 일정수준까지 증가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보조금을 받기 위해 기업은 정부의 요구에 맞는 첨단기술투자를 할 유인 등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효율성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부보조금이 연구개발투자 지출과 연구개발 자원의 유효 활용 정도인 연구개발투자효율성에 대한 영향이 다르므로 기업이 정부보조금을 통한 연구개발투자 지출 증가 뿐 아니라 효율성을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정부보조금이 지원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impact of government subsidies on corporate R&D investment in the Chinese New Third Board market. The Newey-West method was used to control for autocorrelation and heteroscedasticity,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of R&D investment.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2014 to 2022,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five industries with R&D intensity above the median among non-financial companies with December settlement listed on the Chinese New Third Boar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government subsid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R&D intensit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argest shareholder’s stake, state ownership, or political connections. It was confirmed that government subsidies weaken financial constraints for start-up companie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However, government subsidi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R&D investment efficiency, and thi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argest shareholder’s stake, state ownership, or political connections. As R&D expenditure and efficiency are interrelated, government subsidies can be used to increase R&D expenditure to a certain level for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in the New Third Board market. However, to receive government subsidies, companies’ R&D investment efficiency decreases significantly due to incentives for advanced technology investment that meets government requirements. Therefore,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government subsidies should be supported in a direction that can increase not only R&D investment expenditure but also efficiency, as government subsidies have different effects on R&D investment efficiency, which is the degree of effective utilization of R&D investment expenditure and resources by compan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