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철희,김현준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예측 및 소유역의 유출 거동에 대한 수문학적 민감성(susceptibility)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대표 시험유역인 설마천 유역의 과거 17년간(1996 ~ 2012)의 10분 간격의 강우량 및 유출량 자료를 수집하여 홍수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홍수유출해석을 위하여 과거 10분 간격의 강우량 자료 중 총 강우량 100㎜/day 이상의 강우사상을 추출하였다. 이 중 가장 큰 홍수사상은 1999년 7월 30일에서 8월 4일까지 발생한 총 강우량 948㎜이며, 가장 큰 유출량은 2011년 7월에 발생한 191.8 ㎥/sec로 나타났다. 또한, 총 강우량 30㎜/day 이상의 강우사상에 대한 유출해석을 수행하였으며 17년간 179개의 홍수사상을 분석하였다. 홍수유출해석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된 유역 물순환 해석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al cycle Assessment Tool, 김현준 등)(2011)을 이용하였으며 홍수사상별 토양수분 변화에 따른 유역의 유출거동 민감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R-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R은 통계 계산과 그래픽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자 소프트웨어 환경으로 데이터의 조작 및 수치연산,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여러 패키지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을 이용하여 10분 단위의 강우 및 유출량 자료를 1시간 및 1일 자료로 구축하고 17년간의 과거 홍수사상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R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추출된 홍수사상을 관측 유출량 및 관측 토양수분을 포함하여 시각화함으로써 강우 및 토양수분 변화에 따른 홍수사상의 유출거동 민감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철희,김현준,조한범 한국농공학회 200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6 No.-
The heavy storm of July 11-19, 2006, which occurred over the Southern Kangwon Province, i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of occurrences of the storm. The study region is limited to the watershed area of Pyeongchang River and upstream area of Odae-cheon. Hourly rainfall data at 16 rain gauging stations in and near the Pyeongchang river basin are collected and the cumulative rainfall mass curves constructed and compared each other to judge the credibility and consistency of rainfall data at nearby st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ly moving characteristics of rain storm the isochrones based on real time are constructed using the several fixed-percentage cumulative rainfalls at the stations. The average rainfalls of various durations are computed for Pyeongchang river and Odae-cheon, and the return period of July/2006 storm are evaluated based on the rainfall frequency.
지상강우 관측치에 의한 TRM/PR 관측치의 보정 및 SCS 유출해석 :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장철희,권형중,고덕구,김성준 한국수자원학회 200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TRMM/PR(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Precipitation Radar)에 의하여 관측된 공간강우분포의 수문학적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용담댐 유역(930.38)을 대상으로 한 TRMM/PR 자료(Y)를 추출한 후,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에 의하여 관측된 지상강우자료(X)를 공간내삽하여 작성한 분포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TRMM/PR 자
유효탄소계수이론에 기반한 VOC 분석의 감응계수와 Split ratio에 대한 연구
장철희,김기현,김용현 한국냄새환경학회 2013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2 No.1
In this study, the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wo different experimental approaches (direct injection (DI) vs.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 based on effective carbon number (ECN) theory. To this end, the calibration data obtained by both methods were evaluated in association with split ratio (such as 1:1 (splitless), 1:5, 1:10, and 1:20) The calibration results of eight different target VOCs were examined in terms of relative sensitivity at a given split ratio. If slope values are derived between ECN and Response Factor (RF) values of each compound, the DI-based data obtained at 1:5 split ratio yielded slightly positive bias of +3.6% relative to theoretic values of 20%. Likewise, the results at 1:10 split condition showed +1.2% bias. In contrast, the SPME-based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large biases. The result of this comparativ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more deliberate QA procedure to obtain quantitative data for the SPME method. 본 연구에서는 GC 시스템에 기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기본적인 분석특성을 SPME 방법과 직접주입방법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유효탄소계수 이론 (effective carbon number (ECN) theory)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split ratio 를 주 분석변수로 설정하고, 이를 4가지 조건 (1:1(splitless), 1:5, 1:10, 1:20) 으로 조절하면서 양 분석법의 검량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두 가지 방법 모두 split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분석감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DI 방식에서는 1:1 > 1:5 > 1:10, SPME 방식에서는 1:5 > 1:10 > 1:20 순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DI 방식에서는 splitless 조건의 감응계수가 143,927 그리고 1:10 에서는 24,137 으로 약 6배 정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ECN 이론에 적용할 경우, DI 방식의 감도는 이론적인 값과 근접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CN을 적용한 상대회수율은 splitless 조건을 100% 라고 보았을 때, 1:5 split 조건에서 이론적 회수율인 20%를 3.6% 초과한 23.6%, 1:10 조건에서 이론치인 10%를 1.2% 초과한 11.2% 수준으로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DI 방식의 경우 ECN을 통해 split ratio 와 감도의 연계성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PME 방식의 경우 양자간의 이론적 연계성을 설명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러한 비교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SPME 분석방식에 기반한 정량분석의 한계성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