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하당유고(無何堂遺稿)』 이본의 비교 검토

        장진엽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60 No.-

        본고는 선조의 부마였던 무하당 홍주원의 문집인 『무하당유고(無何堂遺稿)』 이본의 체제 및 내용상의 특징을 비교,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하당유고』는 현재 완질인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7책)과 연세대 소장본(6책), 그리고 결질인 국민대 소장본(2책)이 전하고 있다. 먼저 각 본의 형태 및 기본서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 본은 모두 필사본으로, 똑같이 1684년 송시열의 서문이 붙어 있다. 필사연도 및 필사자는 미상이며, 세 본의 선후관계도 알 수 없다. 국민대본은 필사 방식이나 작품 내용으로 볼 때 연세대본과 같은 계열의 이본이다. 한편 1824년 간행된 『풍산세고(豊山世稿)』에 수록된 무하당의 작품은 연세대본과 일치하는데, 이를 통해 연세대본 계열의 이본이 가장 후대까지 홍석주 집안에서 활용되던 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세 본의 체제상 특징을 검토하였다. 주목할 만한 것은 세 이본의 분책 방식이 각각 상이하다는 점이다. 이는 원고본에 권차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난 현상으로, 『무하당유고』가 간행에 이르지 못하고 여러 대에 걸쳐 재편집이 시도되면서 이본을 생성해 왔음을 보여준다. 작품의 배열 순서는 세 본이 동일한데, 그 순서는 시체․문체별 분류를 기본으로 하고 각 항목 내에서는 창작 연대에 따라 배열하는 방식이다. 원고본이 이미 체계적으로 편집을 마친 상태였기에 후대의 사본들도 동일한 순서에 따라 작품을 수록한 것이다. 한편 규장각본과 연세대본은 모두 교열의 흔적이 있는데, 이는 선본의 제작이나 간행의 추진을 위한 후속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완질인 규장각본과 연세대본의 수록 작품은 대부분 일치하는데, 연세대본에는 규장각본에 없는 칠언율시 3수와 오언절구 1수, 제문 1편이, 그리고 규장각본에는 연대본에 없는 제후(題後) 1편과 서(書) 2편이 실려 있다. 마지막으로 세 본의 작품 수록 양상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고전번역원 해제에서는 연세대본을 규장각본보다 더 선본(善本)으로 보고 있으나, 작품 내용과 필사의 정확성 측면에서는 오히려 규장각본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연대본이 맞게 되어 있고 규장각본이 틀린 경우도 간혹 있으므로 원문 확정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 국민대본을 두 본과 대조해 보면 본래 연세대본 계열의 이본과 규장각본 계열 이본의 글자 출입이 있었던 곳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홍주원 작품의 원문 확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무하당유고』 이본 검토는 홍주원 문학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인하고 원문을 확정하는 데 필수적인 작업이다. 나아가 이를 통해 조선후기 문집 전승의 한 양상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various editions of Muhadang yugo (無何遺稿, Posthumous Works of Muhadang), written by Hong Chuwŏn, King Sŏnjo’s son-in-law. Complete editions of the text exist in the Kyujanggak Library of Seoul University (seven books) and Yonsei University (six books) while Kookmin University owns an incomplete edition (two books). Firstly, an examination of each edition’s form and bibliography is as follows. All three editions are transcribed copies with a foreword written by Song Siyŏl in 1684. It is unknown which of these editions was transcribed first as their transcribers and dates of transcription are unspecified. The Kookmin University edition seems to be affiliated with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from the method of transcription and content. Hong Chuwŏn’s writings in P’ungsan sego (豊山世稿, Generational Works of the P’ungsan Hong Clan) also match the content in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demonstrating that the editions affiliated with this version were used by the latest generation of Hong Sŏkju’s household. Secondly, observing the structure of each edition shows each one has a different system of dividing the works into books since the original manuscript was not divided into volumes. As Muhadang yugo was never published, attempts to edit the works across generations produced different editions. All three also contain the same sequence of works, dividing them into categories based on poetic or discursive forms and chronologically arranging each work based on its year of creation under each category. Transcribed editions in later generations anthologized the works in the same sequence of the original manuscript as it had already been systematically edited. Traces of editing in the Kyujanggak and Yonsei University editions also show efforts later continued in preparing it for publication or producing a better edition. Despite most of the content matching in the Kyujanggak and Yonsei University * Yonsei Univ. 무하당유고(無何遺稿) 이본의 비교 검토 47 editions, the latter contains an additional three pieces of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one piece of five-character truncated verse, and an elegy, while the former contains two letters and an afterword. Finally, the conditions of the three editions’ works were compared. Although a summary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views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as superior to the Kyujanggak edition, the latter can be said to be superior in the content of the works and accuracy of transcription. However, a detailed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determining the original texts since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is correct in some places where the Kyujanggak edition is wrong. Moreover, by comparing the Kukmin University edition with the other two, we can identify inherent differences in content between the version affiliated with the Kyujanggak edition and the versions of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This comparative work is needed to determine the original texts of Hong Chuwŏn’s works. Comparing the editions of Muhadang yugo is necessary for verifying sources on literary research on Hong Chuwŏn and determining the original texts of his works. Furthermore, this work is meaningful in showing how late Chosŏn anthologies were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 KCI등재

        한문 교과에서의 ‘한자문화권’ 개념 적용 방식에 대한 검토 -각 시기 한문과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한문 교과서를 대상으로-

        장진엽 한국한문교육학회 2022 한문교육논집 Vol.58 No.-

        Since the 7th curriculum was founded, discussing the necessit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respect to ‘better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 within Sinosphere’ has gradually become established, in the articul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s well as the subject objectives. As for the contents, recent development has been to designate an individual section for ‘culture’-aside from Chinese characters or reading classical Chinese writings-and to suggest activities that help with learning the ‘language and culture’ of countries in the Sinosphere.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textbooks are also generally complying to the contents elements advised by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some textbooks have managed to successfully achieve the curriculum’s objective in creative way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first explores the problems in the current ways of applying the concept ‘Sinosphere’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proceeds to suggest the alternative. First, the flaw in the logic that classical Chinese would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in Sinosphere has been pointed out; as learning classical Chinese may be less efficient compared to directly learning the language, and as it might not be effective in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In search of the alternative, the concept ‘Sinosphere’ would have to be more clearly articulat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While Korea is historically and regionally included in the civilization called the Sinosphere, it is nowadays ‘not a country in which Chinese character is popularly used’. Therefore, the aim to secure a competitive edge in culture, against other countries in Sinosphere, should be emphasized in conveying the importance of educating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s. Also, there appears to be a problem in the tendency to limit the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concerning ‘Sinosphere’ to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n culture’. While the domain of ‘culture’ should be extensively applied to include the entirety of literature, thoughts, history, and culture of East Asian Sinosphere, the aim should be to understand the ‘spiritual culture’ of Sinosphere as an outcome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The significations of the East Asian classics that are included in current textbooks should be made clear in the context of intellectual history of Sinosphere. Moreover, making use of the records that show the history of mutual exchange within the Sinosphere-namely sahaengnok (records of envoy trips to Japan), yŏnhaengnok (records of envoy trips to China), brush talks, and letters-might prove to be fruitful. As a concept which interlaces with current demands, ‘Sinosphere’ might substantially contribute in reinforcing the statu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ill, the mode of application calls for a continued review; more than anything, the approach should be made with a long-term perspective in regards to setting the objective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의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한문교육의 필요성을 논하는 방식은 7차 시기 이후로 현재까지 교과의 성격 및 목표의 서술에서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내용 체계 면에서 최근의 귀결점은 한자 및 한문 독해 외에 별도의 ‘문화’ 영역을 설정하고 그 하위 항목으로 한자문화권 국가들의 ‘언어와 문화’에 관한 지식을 익히는 활동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2015 개정 한문 교과서들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 요소를 대체로 충실히 구현하고 있으며, 몇몇 교과서들은 참신한 방식으로 교과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고는 현 시기 한문교과에서 한자문화권 개념을 적용하는 방식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한자교육을 통해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진다는 논리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외국어를 직접 배우는 것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고, 변화한 매체 환경에서 그다지 실효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 대안을 찾기 위해 먼저 교육과정에서 ‘한자문화권’ 개념을 명확히 기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한자문화권이라는 ‘문명 지역’에는 포함되지만 현재는 ‘한자가 통용되지 않는 나라’이다. 그러므로 한자문화권 내의 다른 나라들과의 문화적 경쟁력의 확보라는 목적에서 한자ㆍ한문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한자문화권’ 관련 교육 내용을 ‘문화 지식’ 습득으로 국한하는 경향에 문제가 있음을 보였다. ‘문화’의 영역을 확대 적용하여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문학ㆍ사상ㆍ역사ㆍ문화 전체를 대상으로 하되, 한자 및 한문 학습의 결과물로서 한자문화권의 정신문화를 이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현행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동아시아 고전에 대하여 ‘한자문화권’의 정신사적 맥락에서 그 의미를 드러낼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연행록, 사행록, 필담, 편지 등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록을 활용하는 방식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한자문화권’은 현시대의 요청과도 맞물린 개념으로서 한문교육의 위상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다만 그 적용 방식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한문교육의 목표 설정과 관련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하는 태도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치원(巵園) 황상(黃裳)의 영물시 검토 - 『치원유고(巵園遺稿)』 수록 작품을 대상으로 -

        장진엽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6 No.-

        황상(黃裳)의 『치원유고(巵園遺稿)』에는 영물시(詠物詩)로 분류할 수 있는 작품이 19제(題) 28수(首) 있다. 지금까지 황상의 작품은 다산가(茶山家) 및 추 사가(秋史家)와의 교유, 그리고 다산을 계승한 사회시나 애민시 위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그의 영물시(詠物詩) 역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영물시는 대개 우의 (寓意)의 기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시인의 평소 뜻을 여실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황상 영물시의 양상을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사물에 대한 관찰과 묘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다음으로 시인이 대상 의 어떠한 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의식을 표출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여기 에서 전원생활의 동반자로서의 자연물, 그리고 현실의 고난을 견뎌내는 주체의 형 상화라는 두 가지 양상이 발견된다. 첫 번째 양상과 관련하여 치자, 대나무, 귤나 무, 새 등의 자연물은 시인의 삶에 함께 하면서 고적한 은둔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 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치자는 황상의 삶의 방식 자체를 표상하 는 시적 대상으로서 화자의 동반자인 동시에 분신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두 번째 양상은 까치, 수탉, 어미 소 등의 동물을 묘사한 시들에 나타나는 특성인데, 시적 대상이 현실의 고난을 견뎌내어야 하는 주체로서 묘사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때로 시인의 모습과 겹쳐지기도 하고, 그의 사회시 작품에 나오는 고통 받는 민중 의 모습으로 비치기도 한다. 조선의 실제 경관과 사회 현실을 주된 시적 제재로 삼았던 다산과 마찬가지로 황상 역시 사회현실을 비롯하여 주변의 자연물과 사물을 주요한 시적 대상으로 취했다고 할 수 있다. 즉, 영물시의 창작에도 다산의 영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작품들을 통해 황상의 고유한 시세계의 일단을 엿볼 수 있음도 분명하다. Hwang Sang’s Posthumous Writings of Ch’iwŏn (巵園遺稿, Ch’iwŏn yugo) contains twenty-eight odes on nineteen topics. Until now, most of Hwang’s writings studied were those concerning the disciples of Chŏng Yakyong and Kim Chŏnghŭi, or his social or commoner poems written in the manner of Chŏng. However, his odes (詠物詩, yŏngmulsi) are also worthy of study. As the genre frequently employs allegory, the poems clearly indicate Hwang’s inner world. This study examines two aspects of Hwang’s odes, the first of which is the portrayal and contemplation of nature or objects. Following this, the study observes the themes of his odes based on how they express the properties of the subjects they focus on. Here one finds that this done in two ways: nature is portrayed as a companion of rural life, or depicted as subjects overcoming their circumstances. In regards to the first method, gardenias, bamboo, tangerine trees, and birds stimulate Hwang’s peaceful retirement; gardenias in particular symbolize the poet’s way of life, and simultaneously are a companion of the narrator and their alter ego. As for the second aspect, poems depicting a swallow, rooster, or cow are often the subjects of overcoming hardship. These animals often overlap with the image of the poet himself, while they also appear as the suffering commoners in his social poems. Like Chŏng, who mainly took Chosŏn’s landscapes and social realities as poetic themes, Hwang also addressed social realities through the subjects of nature and objects. In other words, Hwang’s odes were influenced by Chŏng. However, these poems also give us insight into Hwang’s poetic world.

      • KCI등재

        김성일의 「조선국연혁고이(朝鮮國沿革考異)」와 「풍속고이(風俗考異)」에 대한 재고

        장진엽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7 No.-

        Kim Sŏng-il (金誠一)’s Record of a Sea Raft (海槎錄, Haesarok) contains the two pieces “A Clarification of Chosŏn’s History” (朝鮮國沿革考異, Chosŏn'guk yŏnhyŏk koi) and “A Clarification of Folk Customs” (風俗考異, P'ungsok koi), which expound on the history and customs of Chosŏn in Comprehensive Gazetteer of the Great Ming as requested by the Japanese monk Kokei Sōchin. This study reexamines the two writings in the context of exchange between East Asian intellectuals. Inaccuracies about Chosŏn in Comprehensive Gazetteer were already an issue since the fifteenth century. However, there were not yet any writings addressing these inaccuracies point by point. In other words, Kim’s two pieces were borne from the unique circumstances of contact with foreign intellectuals through missions. Following this premis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nature of these writings from three aspects; the first of these is the widespread perception of ancient history among Chosŏn’s ruling class as expressed in the article on Tan’gun in “A Clarification of Chosŏn’s History.” The second is the goal of “Folk Customs” demonstrating Chosŏn’s status as a “little China” through the conveying of detailed funeral rites. The precise explanations are not only due to being Kim’s scholarly specialty, but because funerary rite procedures were regarded as mark of civilization in the Confucian cultural sphere. Third, while Kim recognized that China equated both Chosŏn and Japan as ‘barbarians’, he distanced Chosŏn from Japan by emphasizing the former’s similarities with China. To correct the inaccuracies in Chinese records on Chosŏn while also demonstrating Chosŏn’s superiority, he exploited this variation on linking and distancing the two countries. The above analysis demonstrates the need for investigating other instances of contact between East Asian intellectuals and their contexts along the same or later time period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해사록(海槎錄) 에는 「조선국연혁고이(朝鮮國沿革考異)」와 「풍속고이(風俗考異)」라는 두 편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이 두 글은 일본 승려 소친(宗陳)의 요청으로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에 수록된 조선의 연혁과 풍속에 대해 변증한 글이다. 본고는 동아시아 지식인 간 상호접촉이라는 맥락에서 이 두 편의 글의 성격을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에서는 이미 15세기부터 대명일통지 에 수록된 조선 정보의 부정확함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다. 그러나 해당 기록을 축조(逐條) 비판 형식으로 변증한 글은 출현하지 않았다. 즉, 김성일의 두 글은 사행을 통한 해외 지식인과의 접촉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산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제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두 글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첫째, 「연혁고이」에는 단군에서 기자로 이어지는 상고사 인식이 담겨 있는데, 이는 조선 사대부의 보편적인 사관이 표명된 것이다. 둘째, 「풍속고이」는 상세한 예제의 전달을 통해 조선이 소중화(小中華)임을 증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상례에 대한 설명이 자세한데, 이는 김성일의 평소 학문적 관심의 소산일 뿐 아니라 당시 유교문화권에서 상례 절차가 곧 문명의 척도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셋째, 김성일은 조선과 일본을 공히 중국의 ‘외이(外夷)’로서 동일시하면서, 동시에 일본과의 거리두기를 통해 조선이 이적이 아닌 중화임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 측 기록이 잘못되었음을 상대에게 납득시키는 동시에 조선의 우월성을 증명해야 했으므로 이러한 동일시와 거리두기의 변주라는 전략을 활용한 것이다. 이상의 분석에서 더 나아가 동시기 및 이후 시기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동아시아 지식인 간의 상호접촉의 상황에서 어떠한 양상이 발견되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여기에 있다.

      • KCI등재

        洪顯周 詩 세계의 一端 : 불교적 사유를 중심으로

        장진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4 남명학연구 Vol.42 No.-

        Hong Hyun-joo(洪顯周), a person of the Poongsan(豊山) Hong(洪) clan which was a representative Kyounghwa sejok(京華世族) of the 19th century Joseon, was a poet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Joseon poetical circles and social intercourse with the Qing literary men. This paper will discuss the development of his Buddhistic thought appeared in his poems in an attempt to examine his overall literary world. Hong Hyun-joo became a son-in-law of King Jeong- jo(正祖) at the age of 12. He tried to overcome his inner conflict caused by his status of a son-in-law of the king through the way of contemplating his own destiny. Also, the relation with Shin Wui(申緯) lead him to be interested in Buddhism. In his thirties, Hong Hyun-joo was drawn to the teaching of Buddha by understanding of illusion, which led to his recognition of the frailty of human life. He would overcome a feeling of vanity through the idea of emptiness(空), and as a result, in his forties, he wrote many poems in which the ecstasy(法悅) from learning the idea of emptiness was described. It is found that he reached the stage of self-satisfaction which means he could recognize his place as a paradise, starting in his fifties. In conclusion, this process of overcoming inner conflict through the teaching of Buddha and acquiring the self-contented attitude can be said as an important aspect of Hong Hyun-joo’ poems. Furthermore, this analysis can provide an example of the 19th Kyounghwa sejok’s way of accepting Buddhism and using it in writing. 본 논문은 19세기 조선의 詩壇 및 淸朝와의 교유사에서 유의미한 역할을 했던 작가인 홍현주 작품세계의 일단을 살펴보는 하나의 방법으로 그의 시에 나타나는 불교적 사유의 흐름을 검토하고자 한다. 청년기의 홍현주는 부마라는 개인적 처지로 인한 심리적 갈등을 운명에 대한 관조라는 방식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申緯와의 교유는 그가 불교에 관심을 갖도록 이끌었다. 홍현주는 30대에 幻에 대한 관심과 깨달음을 통해 불교의 교리에 접근해 갔다. 이것은 인생무상에 대한 인식으로 이어졌고, 그는 空 사상을 통해 이러한 무상감을 극복하고자 했다. 40대에는 공 사상을 체화하여 그러한 法悅이 형상화된 작품들을 다수 창작했다. 50대 이후, 특히 60대의 시에서는 空과 色의 경계를 넘어 자신이 있는 곳을 바로 서방정토로 여기는 자득의 경지로 나아갔음이 발견된다. 요컨대 홍현주 시 세계의 한 특징으로서 젊은 시절 싹튼 심적 갈등을 불교적 깨달음을 통해 극복하고 자족적인 삶의 태도를 획득해가는 과정이 나타난다는 점을 들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찰은 홍현주 작품세계의 주요한 국면을 드러내는 동시에 19세기 경화세족이 불교를 수용하고 작품 창작에 활용하는 방식의 하나를 보여준다.

      • KCI등재

        유만주의 『흠영』을 활용한 서울의 옛 공간 스토리텔링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방안을 중심으로-

        장진엽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7

        『흠영(欽英)』은 18세기의 문인 유만주(兪晩柱, 1755~1788)가 만 스무 살 되던 1775년부터 서른네 살 나이로 숨지기 전까지 쓴 일기이다. 이 책은 조선 후기 문학과 문화사에 대한 다채로운 정보를 수록하고 있는 흥미로운 자료이다. 본고는 특히 한양의 각 공간에서의 저자의 체험, 그리고 특정 장소에 대한 『흠영』의 서술이 ‘서울의 옛 공간’에 대한 풍부한 스토리텔링을 가능하게 하며, 그것이 역사․문화를 주제로 한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고는 2015년 출간된 『흠영』의 발췌 번역본을 이용하여 인문학 연구자들이나 문화계 종사자, 일반 시민들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흠영』 번역본의 ‘서울 풍경’에 해당하는 기록들을 대상으로 서울의 옛 공간/장소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어서 그러한 스토리텔링을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적용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역사문화콘텐츠 디지털 사전의 항목별 정보 기술에 옛 공간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 논하였다. 다음으로 『흠영』의 기록을 바탕으로 “18세기 한 독서인의 한양 유람”이라는 주제로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가상갤러리 또는 가상박물관 형태의 콘텐츠 제작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원천 자료에 기반을 둔 다채롭고 탄탄한 스토리텔링은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지식 콘텐츠의 개발을 추동하는 원동력이 된다. 본고의 논의가 디지털 시대 인문고전 자산을 활용하는 한 방식에 대한 유익한 사례가 되기를 희망한다.

      • 계미통신사 필담집 『양호여화(兩好餘話)』에 대하여

        장진엽 조선통신사학회 2020 조선통신사연구 Vol.30 No.-

        『양호여화(兩好餘話)~는 1763 년 계미통신사(제 11 차 통신사) 필 담집으로, 여타의 펼담창화집 자료에 비해 수록된 필담의 분량이 많고 다루고 있는 대화 주제 또한 다양하여 연구자들의 주목을 요 하는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이 책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그 자료적 가치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양호여화』는 에도시대 중기의 유학자인 오쿠다 모토쓰구[典田 元繼, 호 센로 I 仙樓]] 및 그 문도(門徒) 구 사다카네[짧貞課], 가 쓰 겐샤쿠[勝元網]가 계미통신사 사행원들과 나눈 펼담을 엮은 책 이다. 본문에서는 이 책의 구성상의 특정과 함께 『양호여화』 수록펼담의 내용을 네 개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서발문에 나타난 센로 일행의 조선 및 통신사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학문과 문학에 관한 저자 및 그 문인들의 견해, 그라고 이 에 대한 조선 문사들의 대응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양호여화』 에서 언급된 서적의 목록을 제시하고, 서적에 대한 정보 교환과 훈고라는 측면에서 양국인의 대화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풍 속·제도·물산에 관한 고증 차원의 질문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양호여화』의 자료적 가치는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제시하 였다. 첫째~양호여화』는 펼담 위주로 편집된 자료로서, 대화 주 제를 목록으로 작성하고 항목별로 본문을 구성했다는 점이 독특하 다. 둘째~양호여화』에 수록된 세 편의 서발(序없)에서 조선인의 의관(衣冠) 및 한문 실력에 대한 선망과 그들의 시문에 대한 펌하 가 동시에 나타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셋째~양호여화」의 저 자 오쿠다 모토쓰구는 주자학자로 알려져 있으나 이 책의 필담을 통해 그가 고학파(古學派)인 다자이 윤다이 [太宰春좁]의 학술을 존숭하는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다른 펼담집에서는 발견되는 않는 사례이다. 넷째 『양호여화』에는 중국·조선·일본의 서적들이 다양하게 인용되어 었다. 이를 통해 당시 일본 문인들이 어떤 경 로를 통해 조선에 관한 지식을 얻었는지, 또 그들의 독서 경향은 어떠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양국의 풍속과 제도, 물산 에 관한 대화는 다른 펼담집에서도 나타나는 주제이지만, 이 책에 서는 화제의 범위가 특히 다양하고 여러 전거를 활용하여 상세한 고증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끝으로 조선후기 문 학사의 중요한 시인 중 한 명인 이언진(李彦預)의 펼담이 수록되 어 있다는 점을 이 책의 가치 중 하나로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양호여화』에는 관련 분야 연구자들의 흥미를 끌 만한 대화들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 향후 통신사 맞 관련 분야의 연구에서 이 책이 폭넓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written conversation anthology of Chosõn’s 1763 mission to Japan, and the eleventh such mission, Ryököyowa (Lingering Conversations Between Two Friendly Neighbors, 兩好餘話) is notable for having more written conversations on various topics than others of its kind. 1t thus demands the attention of scholars, and as such this study examines the source’s structure and content to highlight its research value. Ryököyowa compiles conversations Japanese literati such as Okuda Mototsugu( 典田元繼), Ku Sadakane(魔貞讓), and Katsu Genshaku(勝元繹) had with members of the 1763 Chosõn mission. This study broke down and analyzed the book’s structure and content in four aspects. First, it examined the perception of Chosõn and the mission shared by Okuda and his peers in the book’ s forewords and afterword. Next, it observed the opinions of the author Okuda on scholarship and literature, as well as the response of the Chosõn scholars. The study then surveyed the works mentioned in Ryököyowa and focused on conversations on exchanging information and commentaries regarding them. Finally, the study investigated questions of historical research regarding customs, systems, and local products in the book. Ultimately the study demonstrates that Ryõkõyowa is valuable as a source for five reasons. First, as the book is mainly composed of written conversations, it arranges them by topic and then lists the conversations as entries. Second, the two forewords and afterword are interesting for simultaneously envying the dress and literary Sinitic skills of the Chosõn envoys while belittling their poetry. Third, although Okuda Mototsugu, the book’s author, was known to be a Neo-Confucian, the book reveals he respected the scholarship of Dazai Shundai of the Sorai school, an example unique only to this written conversation anthology. Fourth, the Ryõkõyowa cites various works from China, Chosõn, and Japan, illustrating the intellectual roadways Japanese scholars acquired through Chosõn, as well their reading preferences. Fifth, although other anthologies also have conversations on the customs, systems, and local products of Chosõn and Japan, this book covers a wide range of topics and attempts to be historically accurate by including many references. Lastly, the book is also valuable for having the written conversations of one of late Chosõn’s important literati, namely the poet Yi Onchin. In addition, Ryõkõyowa contains many other conversations on topics sure to interest other scholars in related fields. It is bound to be a valuable source for future research on Chosõn missions and other such areas.

      • KCI등재

        한국 여성 한문학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향 검토-<明淸婦女著作(Ming Qing Women’s Writings)>의 사례를 참조하여

        장진엽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3 No.-

        “明淸婦女著作” (Ming Qing Women's Writings, hereinafter MQWW) is a database of poetry collections of women from the Ming and Qing periods built by the McGill University Library in Canad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database of Korean women's Chinese literature by referring to the MQWW. The MQWW is a project that started in 2003, and so far, seven organizations have collaborated to create a DB of 421 collections. The basic feature of the MQWW is that it provides the original image of the entire works. The second feature is that it is designed to enable various methods of search based on a systematic classification index. This classification search function can effectively categorize writers and works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item and extract specific information. The third feature is the linkage with the 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 (CBDB). The MQWW provides writers' information to the CBDB to increase the value of data utilization, and linking writers' information to the CBDB improves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In addition, the Microsoft Access Database was created following the model of the CBDB for users to download it. Based on the above case analysis, the design direction of the Korean women's Chinese literature database was discuss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e first is the scope and target data of digitization. The target data of the Women's Chinese Literature includes women's Chinese writings, poetry anthologies (詩選集) containing women's works, and Remarks on poetry (詩話) that refer to women writers and their works. The second is the issue of the digitization of the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The transcribed full texts enable content and phrase search, greatly increasing their value as an academic DB. It is good to include the original text with punctuation marks and to present the original texts from different versions (異本) side by side. It is also ideal to provide Korean translations together to increase utilization in various fields. The third is the design method of the classification index. In this paper, the case of the MQWW was used as a standard, but a sample of the classification index was prepar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Chinese literature data. The MQWW is a digital humanities project based on solid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product of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Korean women's Chinese literature database also shares such orientation, and it is necessary to find specific ways to realize it. <明淸婦女著作(Ming Qing Women's Writings, 이하 MQWW)>은 캐나다 맥길대학도서관(McGill University Library)이 구축한 명·청 시기 여성들의 시문집 데이터베이스이다. 본고는 MQWW의 사례를 참조하여 한국 여성 한문학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방향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QWW는 2003년에 시작된 프로젝트로서 현재까지 7개 기관이 협력하여 421종 자료를 DB화하였다. MQWW의 기본적인 특징은 여성 시문집 및 여성 문학 관련 자료의 원본 이미지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체계화된 분류 색인(index)을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류 검색 기능은 작가 및 저작, 그리고 작품들을 각 분류 항목에 따라 범주화하고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세 번째 특징은 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CBDB)와의 연계이다. MQWW는 CBDB에 작가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한편, 작가 정보를 CBDB로 링크되게 하여 검색의 편의성을 제고하였다. 또, CBDB의 모델을 따라 Microsoft Access Database를 제작하여 이용자들이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의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여성 한문학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방향에 대해 다음 세 측면에서 논하였다. 첫째는 디지털화의 범위와 대상 자료이다. 여성 한문학 DB의 대상 자료는 여성들이 남긴 한문 저작, 여성 작가의 작품이 수록된 詩選集, 여성 작가 및 그들의 작품을 언급한 詩話 등의 비평 자료를 포함한다. 즉, ‘여성들의 한문 저술 및 여성 한문학에 대한 담론’의 아카이브가 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원문 텍스트 및 번역문의 디지털화 문제이다. 입력된 원문 텍스트는 내용 및 어구 검색을 가능하게 해주므로 학술 DB로서의 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다. 표점 작업이 이루어진 원문을 수록하며, 여러 이본들의 원문을 나란히 제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번역문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모든 자료의 번역문을 제작할 수 없다면 사업 준비 단계에서 적절한 기준에 따라 우선 번역 대상 자료를 선정하여 그것부터 DB화를 하면 된다. 세 번째는 분류 색인의 설계 방법이다. 본고에서는 MQWW의 사례를 준용하되, 한국 여성 한문학 자료의 특징을 고려하여 분류 색인의 샘플을 작성하였다. MQWW는 충실한 학술적 성과를 기반으로 준비된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이며, 국제적·학제적 연구의 산물이기도 하다. 한국 여성 한문학 데이터베이스 역시 그러한 지향을 공유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통신사 필담창화집 속의 단군・기자 관련 논의 검토

        장진엽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9 No.-

        This study examines discussions of Tangun and Kija in the ancient history discourse of Chosŏn missions to Japan in written conversation collections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First, the study observed how written conversation collections from 1636 to 1764 raised the issue of Tangun and Kija. Since the Chinese texts mentioned that Kija introduced the Eight Prohibitions to Chosŏn, the Japanese literati also took this as historical fact. Thus, they referred to Chosŏn as Kisŏng (箕域), Kibang (箕邦), and Kiju (箕疇) in poetry exchanges, praising it as a country civilized by Kija and carrying on the customs of the Shang. Tangun’s existence was known in Japan through Comprehensive Mirror of the Eastern Kingdom (Tongguk t’onggam) and was recognized along with Kija as the progenitor of Chosŏn. Tangun and Kija were frequently mentioned in poetry exchanges and written conversations from early Chosŏn-Japan exchange until the 1764 mission. Throughout the missions, the Japanese literati generally had no qualms accepting the existence of Tangun and Kija. However, Hayashi Hōkō raised doubts to Yi Hyŏn about whether Tangun lived 1,048 years and which text stated that Kija brought 5,000 Shang people with him in a 1711 written conversation. This question, though, was the repeating of questions already raised by Hayashi Razan in a letter to a Chosŏn envoy in 1643. Although it is presumed that Razan read Comprehensive Mirror and raised these doubts, he presents these questions as if they were his own. Although Razan’s questions were over the evidence and credibility of the ancient texts, this attitude is not taken by Japanese literati in later conversations. This study presents examples of the attitude Japanese scholars of the Edo period took regarding Tangun and Kija in written conversations before taking a modern approach to such myths. The author will attempt to refine this analysis by examining discussions of mythical Japanese figures such as Susanoo-no-Mikoto and Wang In in the ancient history discourse of Chosŏn-Japan exchange. 본고는 통신사 필담창화집 속의 단군・기자 관련 논의의 전개양상을 검토함으로써 17-18세기 조일 교류에 나타난 고대사 담론의 일단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1636년부터 1764년까지의 필담창화집에서 단군 및 기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거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기자가 조선으로 건너가 八條의 법령으로 조선을 교화하였다는 것은 중국 문헌에서 전하고 있는 것이므로 일본 문사들에게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이에 따라 조선인에게 주는 창화시에서 조선을 箕域, 箕邦, 箕疇 등으로 표현하였으며, 조선이 기자의 교화를 입어 은나라 풍속을 간직한 문명국임을 칭송하였다. 단군의 존재는 『동국통감』을 통해 일본에 알려지게 되었는데, 조선의 시원으로 인식되며 기자와 함께 병칭되었다. 단군과 기자는 통신사 교류 초기부터 1764년 통신사에 이르기까지 창화시와 필담에서 꾸준히 언급되었다. 통신사 교류 전 시기에 걸쳐 단군과 기자의 존재는 일본 문사들 사이에 별다른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1711년 하야시 호코는 제술관 이현과의 필담에서 단군과 기자의 사적에 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단군이 1,048년을 살았다는 기록의 불합리성, 그리고 “半萬殷人渡遼水”라는 구절의 출처에 관한 의문이다. 그런데 이 두 질문은 각각 「東國通鑑外紀」의 按에서 거론된 문제였으며, 1643년 하야시 라잔이 통신사에게 보낸 편지에서 거론한 의문을 반복한 것이다. 라잔의 경우 『동국통감』을 직접 읽고 이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동국통감』을 참조했다는 언급 없이 그 자신의 독창적인 견해처럼 제시하고 있다. 라잔의 문제 제기는 상고사 기록에 있어 합리성과 전거를 중시한 것인데, 이러한 태도는 이후의 다른 필담에서는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본고에서 소개한 단군 및 기자 관련 필담은 일본에서 고대 신화에 대한 근대적 접근방식이 나타나기 이전 에도시대 일본 문인들이 이 주제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취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차후 스사노오노미코토 및 왕인과 같은 일본 고대사 관련 인물에 대한 논의를 아울러 검토함으로써 조일 문사 간 고대사 담론에 대한 보다 정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강도몽유록」 속 여성 발화자의 기능과 그 의미

        장진엽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7 No.-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adoption and application of female narrators in Record of a Dream on Kanghwa Island (Kangdo mongyurok, 江都夢遊錄). To do this, it first observes the function and depiction of the narrators, and then explores how narrative devices play a role in conveying the novel’s themes. Record of a Dream on Kanghwa Island not only asks who was responsible for the fall of Kanghwa Island and Chosŏn’s defeat, but also advocates for rejecting peace with the Qing, summoning women as mouthpieces of these political criticisms. The employment of female narrators followed naturally from summoning actual people who died with rage in their hearts per writing conventions of dream narratives. These female speakers act as representatives of their households and judges of national loyalty, thus demonstrating their narrative function. Subsequently, the study investigates two narrative devices related to the female speakers. The first is the motif of reward and punishment in the afterlife. While the writer equates the women’s fidelity with the men’s loyalty, they in fact judge the women based on whether their male relatives were loyal to Chosŏn. This ‘distorted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of ethics thus diminishes the women’s status. The second is how the resulting fragmentation of the novel’s summoning of the sacrificed women as speakers, i.e. the atmosphere of resentment and anguish dominating the novel, is patched together by the words of the last kisaeng. Furthermore, their unending wails points to the shame complex the ruling class felt regarding the invasion. The intent behind the writing of Record of a Dream on Kanghwa Island does not lie in the experience of women or recreating their forms. Rather, the employing of female narrators as a function of a specific narrative has almost no connection to the formation of a female ‘subject’ in classical narratives and in order promote the value of rejecting peace, limiting their subjectivity. In this light, the wailing of the women near the novel's end even reflects the ‘abstract pain’ of the ruling class. In sum, although Record of a Dream on Kanghwa Island sticks out as an ‘exception’ in classical narratives, it is rather conservative in its development of female subjectivity. 본고는 「江都夢遊錄」의 작가가 여성 발화자를 채택, 활용한 양상 및 그것의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여성 발화자의 기능과 발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서 이들을 둘러싼 몇몇 서사적 장치들이 주제 구현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강도몽유록」은 강도 함락과 병자호란 패전의 책임을 묻는 데 그치지 않고 척화의 가치를 옹호하고 있는 작품이다. 작품 속 여성들은 이러한 정치적 비판을 수행하기 위해 소환된 주체들이다. 작가가 여성 발화자를 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마음속에 울분을 품고 죽은 실제 인물을 발화자로 내세운다는 몽유록의 글쓰기 관습을 따른 결과이다. 가문의 대리자로서, 또 순절 행위의 평가자로서의 그들의 발화는 이 여성 발화자들의 서사적 기능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이어서 이들 여성 발화자들과 관련한 두 가지 서사적 장치를 검토하였다. 하나는 사후세계에서의 징벌과 보상에 관한 화소이다. 작가는 여성의 절의를 남성의 충절에 등치하고 있으면서, 실제로는 가문 남성의 충절/실절 여부에 따라 그들을 심판하고 있다. 이러한 ‘왜곡된 상벌’은 윤리적 주체로서의 여성의 위상을 축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이 작품은 희생당한 여성을 발화자로 세움으로써 발생한 균열, 즉 원망과 비탄의 정조가 작품을 지배하게 된 것을 마지막 기생의 발언을 통해 봉합하고 있다. 나아가 이들의 끝나지 않는 통곡은 기실 호란의 수치에 대한 지배층의 콤플렉스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강도몽유록」의 창작 의도는 여성 체험이나 여성 형상의 재현에 있지 않으며, 여성 발화자들이 특정 발화를 위해 기능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고전서사에서의 여성 ‘주체’의 형성과 거의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작가는 또한 척화의 가치를 선양하기 위해 그들의 주체성을 일정 부분 손상하고 있기까지 하다. 이렇게 볼 때 마지막 여성들의 통곡조차도 사대부 지배층의 ‘관념적 아픔’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강도몽유록」은 고전서사에서 일종의 ‘파격’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여성 주체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보수성을 띠고 있는 작품으로 이해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