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종선,장준천 한국방송광고공사 2009 광고연구 Vol.0 No.83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에 대한 정성적 분석의 중요성이 더해짐에 따라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인게이지먼트가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인게이지먼트의 개념과 특징 등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둘째, TV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가 광고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분석하고 셋째, 광고혼잡도와 TV광고 태도에 따라 인게이지먼트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TV프로그램의 집중도, 관심도, 만족도에 대한 측정치인 인게이지먼트가 높은 프로그램에 노출된 광고는 인지도, 제품/서비스 관심도, 제품/서비스 구입의향의 광고효과에 있어서 인게이지먼트가 낮은 프로그램에 비하여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V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는 광고인지도에 있어서 광고혼잡도와 TV광고에 대한 태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V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은 경우에는 광고혼잡도가 적을수록, TV광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인게이지먼트가 낮은 프로그램에 비해 광고인지도 유발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와 TV를 대상으로 인게이지먼트 개념을 적용해 광고효과와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최초의 시도로써, 이에 대한 이론적 증명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 qualitative media evaluation indication, 'media engagement', It places data from a survey of 4,200 Korean TV viewers. Based on the data, the study seeks to find how the engagement affects consumer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ways. It also examines how the relation between the engagement and the advertising effects varies depending on the advertising clutters and the viewers' attitudes toward TV ads in general. The survey indicates that a group with high level of concentration, interest and satisfaction about the TV programs show more advertising effects than a low level group does. In detail, the high level group shows more advertising recognitions, interests for the advertised products/services and the willingness to purchase them. Another finding is that the engagement level, is affected by the advertising clutters and the viewers' attitudes toward TV ads. Especially, in the highly engaged group, low clutters and positive attitudes better help to raise the ads recognition than in the lowly engaged group. This study is a first attempt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the TV program engagement and the advertising effects based on a survey of Korean TV viewers, It aims to provide with theoretical verif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realm of advertising effect measurement studies.

      • KCI등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SW영재학급 교육프로그램의 개선 효과 탐색: 학습동기와 진로성향을 중심으로

        이재호,류지영,송용준,예홍진,장준,전미란,전우,진석언,정홍원 한국영재학회 2022 영재교육연구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2021~2022년 SW영재학급 학생들의 학습동기 변화와 SW진로성향에 대한 인식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2021년 30개 SW영재학급 학생에게서 도출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2022년에 운영하고 있는 40개의 SW영재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2021년 도출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바탕으로 SW영재학급 지원사업단에서 투입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22년 구현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SW외적동기(부모)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변화하였고, SW내적동기(태도)가 SW성취에 부적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SW영재학급 학생의 태도(자신감)가 다양한 SW영재학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2021∼2022년 SW영재학급에 모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지 않은 것은 참여 학생의 범위에 비해 교육과정의 단계와 연계성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온라인 SW영재교육 시행을 위한 플랫폼 선호도 조사연구

        이재호(Jaeho Lee),전우(Woochun Jun),예홍진(Hongjin Yeh),전미란(Miran Chun),진석언(Suk-Un Jin),김유진(Yujin Kim),장준형(Junhyung Jang)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1

        코로나-19 사태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온라인 일반 교육은 2020년 하반기 들어 비교적 안정화되는 추세이나 SW 코딩 실습과 과정 중심의 산출물 지도 등을 시행해야 하는 SW영재교육 분야는 온라인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렵다.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SW영재교육 분야 역시 온라인 교육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게 되었다. 따라서, SW영재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SW영재학급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은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 선호도 조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온라인 SW영재교육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플랫폼에서 지원해야 하는 주요 기능을 플랫폼 선호도 조사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의 주요 이용자는 교사와 학생이기에 이들에게 친숙한 플랫폼을 온라인 SW영재학급 플랫폼 선호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선호도 조사 실시용 온라인 조사지를 개발하고, 101명의 교육 분야 전문가들에게 온라인 조사용 사이트 주소를 발송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선호도 기준별로 분석하여 온라인 SW영재교육에 적합한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latforms implement online SW gifted education at a time whe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SW gifted education. Online education, which began due to the outbreak, is stabilizing now owever, it is difficult to actively accept online education in areas where SW coding practice and process-oriented output guidance are required. Despite the situation, the SW gifted education sector has also actively considered the transition to online education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crisi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which online platform was best suited for use in class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 department that specializes in SW gifted education. The online platform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 Firs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online SW gifted education, the main functions the platform preference survey criteria. As a result, five preference criteria were established: teaching and learning management, educational content, community, accessibility, and performance. Second, the main users, familiar platform selected as subject of the platform preference survey EBS eSop, SW-centered society, Google Classroom, Naver EDWITH, e-learning site, band, and Kakao Channel. Third, we developed an online survey site conduct preference surveys and sent the site address to 101 experts in education. Finally, we analyzed the opinions of experts by preference criteria and propose a platform suitable for online SW gif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