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해 홍월보와 보민속 고찰

        장정룡(Jung-yong Ja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1 아시아강원민속 Vol.25 No.-

        ‘봇물’은 보에 관 물이나 거기서 흘러내리는 물로서 논농사에 필요한 물을 관리하는 공동체 조직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봇물’을 확보하는 것이 벼농사를 잘하는 수도재배(水稻栽培)의 관건이기도 했기에 아전인수(我田引水)라는 말처럼 자기 논에 물을 끌어대기 위한 ‘봇싸움이 치열하게 벌어지기도 했으며, 보를 관리하는 보주(洑主)가 등장하고 마을에서는 보계(洑契)를 조직하여 운영하기도 하였다. 농경의 필수적인 물을 확보하고 가뭄과 홍수에 대비하는 보역사는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보쌓기 행적이 후대에 알려진 인물은 그리 많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위에서 언급한 인물들의 전기는 귀감이 되고도 남을 것이다. 농업용수나 식수의 확보를 위한 용수제는 강릉 임경당 용수제, 양구 대정리 용수제, 횡성 물할머니 제사, 동해 동호동 물지게놀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수신제의(水神祭儀) 민속이 오늘날까지 강원지역에 고루 전승되고 있다. 또한 당시에 치열했던 ‘봇물싸움을 상극의 ‘다툼’이 아니라 상생의 ‘놀이’로 승화시킨 선조들의 지혜가 돋보인다. 그런 점에서 수희(水戱) 양상을 보여주는 동해보역새놀이, 강릉학산봇물싸움놀이는 ‘보’와 ‘봇물’의 소중함을 다시 일깨워주는 놀이문화이며 홍천동창보와 양구동두보는 오늘까지 전하는 농경문화유산으로서 소중한문화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 강릉갈골과줄의 역사와 민속전승 고찰

        장정룡(Jeong-ryong Ja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3 아시아강원민속 Vol.27 No.-

        ‘과줄’은 고유하고 특별한 우리의 별식 먹거리다. 이것을 강릉에서는 ‘과질’이라고도 발음하고 한자로는 ‘산자(散子)’라고 쓰는데, 여기에 쌀미(米), 밥식(食)자를 변으로 보태어 饊子/橵子라 쓰기도 한다. 조선 시대 실학자 성호 이익(1681~1763)은 볶은 벼를 ‘산자’라 칭했다. 하고, 찰벼를 껍질 그대로 솥에 넣고 볶으면 쌀이 튀어서 흩어지는 까닭에 그와 같이 불렀다고 한다. 별도로 떡을 네모난 모양으로 만들어 기름에 튀기고 엿을 발라 튀밥을 붙인 것도 산자라고 하는데, 그것은 볶은 찰벼를 묻혔기 때문에 그와 같이 부른 것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진짜가 아니고 가짜로 된 것을 ‘조(造)’라고 하는데, 처음에 꿀과 밀가루로 과일모양을 만든 데서 그런 이름이 붙게 되었으며, 후세 사람들이 조과의 모양이 둥글어서 높이 쌓을 수 없었기 때문에 네모나게 만들었으나 이름만은 본래대로 조과라 불렀다고 하였다. 이제 강릉과줄은 한류의 전통을 선도하는 먹거리로서, 강원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음식 문화적 가치와 전승적 의미를 강조함에 조금도 손색이 없다 하겠다. ‘Gwajul’, a candy prepared by frying sweetened dough, is our special and unique food. In Gangneung, it is also pronounced as ‘Gwajil’ and written as ‘Sanja (散子)’ or Sanja (饊子/橵子) in Chinese Character with the left-hand side of the Chinese character of Mi (米) as rice or Sik (食) as meal. Seongho Yi Ik(1681~1763), a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called the roasted rice ‘Sanja’ since the rice is fried and scattered when glutinous rice is placed in sot, Korean traditional caldron made of cast iron, and roasted with its husk. Separately, if a rice cake of square shape is fried in oil, covered with Yeot, Korean traditional taffy, and coated with popped rice, it is also called Sanja since it was coated with the roasted glutinous rice. Also, if it is not real but fake, it is called Jo (造) as it is initiatively made as fruit shape with flour and honey; and the name is originally Jogwa even though their descendants made it square due to its round shape, as it is difficult to be stacked high. Now Gangneung Gwajul is leading traditional food of Korean wave and expected to captivate the taste of people around the world in relation to be assign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angwon-do. It cannot be comparable to emphasize the value of food culture and meaning of inheritance.

      • 율곡 이이 전승설화 연구

        장정룡(Jang Jeong-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2 아시아강원민속 Vol.26 No.-

        비범한 인물의 출생과 고난의 극복, 그리고 남다른 출세와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은 율곡설화의 튼튼한 줄거리다. 강릉출신 율곡 이이 선생관련 전설 60편을 주제별로 분류한 바, 탄생담 20편, 호환담 24편, 출세담 13편, 예조담 3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호환담이 가장 많은 숫자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음이 탄생담이다. 이를 합치면 44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출세담과 예조담은 전체 16편에 불과하다. 따라서 율곡설화는 오죽헌 몽룡실에서 꾼 신비한 흑룡 꿈에 관련한 것과 호환을 피하기 위해 밤나무 천그루를 심었다는 두 부류의 이야기가 주류를 이룬다고 하겠다. 출세담과 예조담은 율곡 선생의 비범함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과 관련된 인물전설은 한 인물이 살아온 궤적을 살펴보는데 도움을 준다. 나아가 어떤 역사적 사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각을 보여주며, 지연의식을 강화하고, 향토애를 기르는 사회 통합의 기능도 갖는다.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 애향심을 갖는데 있어서 인물전설이 긴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하늘이 낸 위대한 인물의 행적을 되새기고, 자라는 후세들에게 인생의 좌표와 불멸의 감화를 주고 있다는 점에서 율곡전설은 다양한 각편으로 지속될 것이다. Yulgok folktale"s main story contains a supernormal man"s birth, hardship overcome, unusual success, and insight. As a result of classifying 60 folktales relating to Yulgok Lee Yi born in Gangreung by theme, there were 20 folktales about his birth, 24 takes about the ravages of tigers, 13 folktales about his success and 3 folktales about his omen. Accordingly, there are the largest number of stories about the ravages of tigers, and the second-largest number of stories about the birth. These 44 stories occupy the most part of folktales about Yulgok Lee Yi, and there are only 16 stories about the success and omen. Accordingly, Yulgok folktale consists of two main stories such as a mysterious black dragon dream at Ohjukheon Mongryong room and 1000 chestnuts planted for avoiding the ravages of tigers. The story about the birth and omen strengthens Yulgok"s extraordinariness. The region-relevant man folktale helps in looking at the character"s history. Furthermore, it shows the historical fact"s new interpretation viewpoint, strengthens the regionalism, and integrates the society to build up a love for home district. The character folktale is considered to have performed the important role in enabling people to have a pride and love for the region. Accordingly, because such the folktale shows the great man"s life and provides the life guidance and influence to next generation, Yulgok folktale will continue to a diversity of stories.

      • KCI등재

        1950년대 〈춘향전〉 중국공연의 자료적 고찰

        장정룡 ( Jung Ryong Ja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춘향전은 조선후기에 발생한 가장 한국적인 판소리계소설로 영화, 연극,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로 시도되고 있다. 춘향전의 최초 중국공연은 한국전쟁 속에서 그 싹이 터서바로 이어서 공연되었다. 북한공연 화극(話劇)춘향전의 중국개편활동이 시작된 것은1950년대 초부터이다. 월극단원들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인민해방군과 북한인민군을대상으로 공연을 하였다. 1953년 4월부터 8개월 동안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군을 대상으로 선무활동(宣撫活動)을 하였다. 1953년 7월 26일 북한 개성에서 춘향전을 본 상해화동월극단 제2단원들은 상해로 돌아와 월극으로 춘향전을 개편하여 공연하였다. 번역, 개작, 복색, 미술 등 어려움을 극복하고 1954년 8월 2일 월극춘향전이 공연되었으며 9월 25일부터 11월 6일까지 상해대회에서 1등상을 차지하고, 북경, 소주 등지에서도 공연하였다. 월극춘향전의 공연을 필두로 1955년에 경극(京劇)춘향전, 1956년에 평극(評劇)춘향전이 중국에서 공연되었다. 또한 1954년 북한 국립민족예술극단 방화(訪華)공연단이 춘향전을 북경에서 공연했다. 이후 1959년 북한영화 춘향전을 번역판이 중국에서 상영되었으며 1961년 상해월극단은 다시 북한을 방문하여 월극춘향전을 공연하였다. 이와 같이 춘향전은 1950년대부터 북경을 비롯하여 상해, 운남, 소주, 요령 등지에서 월극, 경극, 황매희, 조극 등으로 중국에서 다시 태어났다. 특히 광동성의 에 근거를 두고 있는춘향전 창곡집 표지에 1938年 3月 이라고 쓰였는데 그 공연여부는 알 수 없다. 이러한 중국의 춘향전 공연을 통한 문화교류활동은 전통극의 전파에도 기여하였다. 춘향전 중국공연의 각종 자료를 살필 때, 1950년대 비극적인 한국전란 중에 그 예술적 싹이 터서 바로공연활동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중국에서 펼쳐진 춘향전 공연활동과 국제화과정이 갖는의미는 특별한 현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Chunhyangjeon, the story of Chunhyang based on the most Korean style pansori Chunhyangga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genres such as films, plays, dramas, and so on.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in China had been started while the Korean War was happening.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as a drama and opera in North Korea has been started in the early 1950s. The members of Yueh opera, a form of Chinese opera, presented for the Military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of China and the North Korean Army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r. They have done the pacification activities to the Army of China for eight months from the April of 1953. The second members of Shanghai Huadong Yueh Opera performed Chunhyangjeon changed into yue opera style after returning to Shanghai from Gaesung, North Korea where they watched a Chunhyangjeon in the 26th of July, 1953. Overcoming difficulties about translating, remaking, the color and style of a uniform, fine arts, the yue opera Chunhyangjeon was performed in August 2, 1954 and the opera members could get the Grand Prix in the contest of Shanghai the 25th of September to the sixth of November. The opera was also performed in Beijing, Suzhou and other places. Starting with the performance of the yue opera Chunhyangjeon, the ping opera Chunhyangjeon performed in China in 1956. Banghwa Group Performances of North Korean National Ethnic Theatrical Troupe performed Chunhyangjeon in Beijing in 1954. Since then, the translated North Korean film Chunhyangjeon was shown in China in 1959 and Shanghai Huadong Yueh Opera visited to North Korea and performed Yueh Opera Chunhyangjeon in 1961. Similarly, Chunhyangjeon has been reborn since 1950s in the areas of Shanhai, Yunnan, Suzhou, Liaoning as well as Beijing as Yueh Opera, Peking opera, Huangmei Opera, Chaozhou opera. Little of the performances were known even though the "March of 1938" had been written on the song book cover of Chaozhou opera Chunhyangjeon based on the Southern drama in Guangdong Province, China. Such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in China through the performances of Chunhyangjeon contributed greatly to the spread of the traditional drama. The performances of Chunhyangjeon in China were staged while the tragic Korean War was happening in 1950s. Therefore, such performances might show the unique phenomenon with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ing Chunhyangjeon in China.

      • 강원지역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전망

        장정룡(Jang, Jeong-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0 아시아강원민속 Vol.34 No.-

        무형문화재는 연극 · 음악 · 무용 · 놀이와 의식 · 무예 · 공예기술 · 음식 · 전통지식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 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을 가리킨다. 문화재보호법상 지정기준은 역사성, 학술성, 예술상 가치가 크고 향토색이 현저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는바, 민족생활의 변천과 발달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발생연대가 비교적 오래고 그 시대의 특색을 지닌 것, 형식과 기법이 전통적인 것, 예술상 가치가 특출한 것, 학술연구상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는 것, 향토적으로나 그 밖의 특색이 현저한 것, 인멸될 우려가 많아 문화적 가치가 상실될 가치가 쉬운 것이 그것이다. 강원도의 무형문화재 현황을 살펴보면 현재 총 36건이 지정되었다. 이 가운데 국가무형문화재는 4종목, 도지정문화재는 32건이다. 1971년 정선아리랑으로부터 지정되어 50년의 역사를 지닌 강원도 무형문화재 보유자 현황은 2020년 5월 기준으로 보유단체 17, 개인은 명예보유자 4명, 보유자 35 명, 조교 36명, 장학생 45명으로 총 120명이다. 현재 강원도 무형문화재는 전승상 위기를 맞이하거나 소멸될 상황에 처한 종목들도 나타나고 있는데 적극 발굴해야 할 부문으로 전통주, 해양민속, 방언, 숯굽기, 옹기굽기, 심메 마니, 대동계, 재담가, 무극(巫劇), 전각, 민화, 목수, 온돌, 황토잽이, 이엉짚 공예, 화전가옥공예, 황태덕장 기술 등 다양하다. 강원도의 특징적 무형유산인 구비언어전승, 신앙전승, 의식행사전승, 기예능전승, 의식주생활전승, 행위전승 등 무형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지정의 확대가 논의가 필요하며, 예비지정종목의 선정도 검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fers to a heritage having high historical, artistic, or academic value in the fields of theater, music, dance, play, ritual, martial art, craft skill, food, and traditional knowledge.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are defined as having high historical, academic, and artistic value, and having remarkable local color. It may include; the ones that help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life, having; the relatively old chronolog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the traditional forms and techniques, the exceptional value of art, the valuable material in academic research, the local and other characteristics, and that the cultural value is likely to be lost.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Gangwon-do, 36 items have been designated. Among them, there are fou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32 provincial cultural heritages. As of May 2020, the current status of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Gangwon-do, which was designated from Jeongseon Arirang in 1971, totaled 120 people, with 17 honorary holders, 35 holders, 36 assistants, and 45 scholarship students. Current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Gangwon-do are also facing a crisis or disappearance, and the sectors to be excavated actively include; traditional liquor, marine folklore, dialect, charcoal grilling, pottery baking, ginseng digger, folk troop, raconteur, shaman drama, seal engraving, folk painting, carpentry, ondol (stone floor heating), clay handling, thatch straw craft, slash and bum farmhouse craft, pollack drying crafting, etc.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xpansion of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having intangible values, such as the characteristic intangible heritage of Gangwon-do, the transmission of faith, the transmission of ceremonies, transmission of crafts and arts, transmission of basic need items of human life, transmission of acts, and the selection of preliminary designated events should also be reviewed.

      • 영월 무형문화재의 진흥과제와 전승내용

        장정룡(Jang, Jeong 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2 아시아강원민속 Vol.37 No.-

        강원도 영월군은 역사이래 많은 문화재가 전승되는 지역이다 이곳은 무형문화재 가운데 2011년 강원도 무형문화재 22호로 단종제례가 지정되었다. 그러나 많은 비지정무형문화재는 향토에 묻어 있어 발굴되지 않았으며 그 전승되고 어려운 상황에 있다고 판단된다 그동안 발굴된 민속놀이는 칡줄다리기, 지게상여놀이 등 22종목이 산간문화를 배경으로 하거나 강과 관련 된 것, 단종대왕과 관련된 설화연행이 주요 테마로 작용한 것이 많다. 농악은 주천면 농악 남면 광전농악 등 7개, 민속극은 12띠간지놀이, 쌍룡가면극 등 5가지, 민요는 남한강 뗏목소리, 안도내들 방아타령, 두릉들 농사소리 등이 다수 전한다 영월의 무형문화재는 그 전승환경상의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는 바, 지역공동체와 집단의 문화적 정체성이 약화되고, 예술성과 표현미의 지속가능성에 있어서 능력있는 연희자, 기예, 장인들이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행재정적인 지원을 통해서 전승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전수하고 이를 문화자원,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해야 하겠다. 전국적으로 알려진 단종문화제를 널리 홍보하고, 읍면별 민속예술경연대회를 개최하여 지속적으로 발굴, 전수해야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영월민속문화재의 전시와 공연, 초중등학교의 무형문화재 특별교육활동, 읍면민속보존회 창립, 문화재의 상설 기획전시 홍보, 체계적 전수활동, 문화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무형문화재지정 확대 등을 통해서 지역적 향토성과 문화적 특수성이 강조된 무형문화재의 가치를 높여 나가야 한다. Yeongwol-gun of Gangwon is a region where a large number of cultural assets have been transmitted throughout the history. Among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it, Gangwon’s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22 was designated as Danjeong Jerye in 2011. Many of the non-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assets, however, are buried under the ground and not yet excavated, so it would be hard to transmit them in this kind of condition. So far, 22 folk games such as the tug-of-war game using a kudzu-made rope and Korean A-frame bier game have been excavated. They have mountainous culture as their background or take as a main theme what is associated with river or the performance of a folktale about King Danjong. 7 kinds of nongok such as Jucheon-myeon Nongak and Nam-myeon Gwangjeon Nongak, 5 folk plays like 12 Ddiganki-nori or Ssangryong Masque, and a number of folk songs including Namhan-gang Ddetmoksori, Andonaedeul Bangataryeong, or Dureungdeul Nongsasori have been transmitted. Yeongwol’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facing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of transmission. Cultural identity of the of the community or group is getting weakened, and concerning the sustainability of artistry and beauty of expression, the number of competent performers, handicrafts, or masters is decreasing as well. Therefore, throug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t is needed to hand down intangible cultural assets equipped with great value of transmission systematically and utilize them as cultural and tourist resources aggressively. Also,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the Danjong Culture Festival that is already known nationwide more broadly and hold eup- and myeon-based folk art competitions as an effort of excavation and transmission consistently. Moreover, it is needed to heighten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highlighting regional features and cultural distinctiveness by having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for Yeongwol’s folk cultural heritages, providing special education abou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unding eup- and myeon-based folklore preservation societies, holding permanent planned exhibitions for cultural assets, publicizing them, doing systematic activities for transmission, providing political support for vitalizing cultural assets, and extending th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 세시풍속과 콘텐츠

        장정룡(Jung-yong Ja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7 아시아강원민속 Vol.21 No.-

        강릉단오제는 음력 5월 5일 단오날에 행해지는 향토축제다. 단오의 우리말은 수릿날이고 이날은 곧 태양의 명절이다. 단오명절을 지내기 시작한 것은 신라 때로 ‘단오’를 향찰로 표기하여 ‘수리’라 부른 것으로 보면 이 명절의 연원은 삼국시대까지 소급 추정된다. 세시풍속과 강릉단오제콘텐츠를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릉 단오와 관련된 신성한 음식으로 태양을 상징하는 수리치떡이 상품화될 것이다. 둘째, 수리치떡과 함께 마시는 단오먹거리는 제호탕이 있는데 많은 한약재가 들어가는 전통 청량음료다. 셋째는 단오부채로서 그 끝에 옥추단을 매단다. 옥추단은 귀신과 병화를 물리친다는 상징적 처방으로 단오선의 선추로 비단 오색실에 매달고 다니다가 더위를 먹거나 위급한 질환에 이것을 꺼내 빻아 갈아 마시는 구급약이다. 넷째는 단오빔, 즉 단오장(端午粧)의 개발이다. 여름철 모시는 최고의 입을 거리다. 수리라는 말 자체가 단오 때 입는 옷으로 본 견해도 있다. 다섯째, 강릉단오제 설화를 다양한 매체와 방식으로 상품화하는 원소스멀티유스(OSMU)가 요구된다. Kangnung(강릉) Dano(단오) festival is the folk local festival opened in the 5th day of the lunar month. The 5th day was named Dano. Practically Dano festival has been from the 3rd day to the 7th day in the 5th lunar month. The ancient word calling Dano was Suri-nal(수리날), in here nal(날) means day and suri(수리) does the sun. Accordingly Suri-nal means the gala day of the sun. This customs calling the Dano gala days as Suri-nal, I supposed, have been began from the triple nation’s times. In relation this Dano gala days with contents I have some proposals. 1) In case of the foods, I propose the merchandising of Surichy(수리치)-rice-cake, Surichy means a kind of eating greens. 2) In case of the beverage, I do Jehottang(제호탕), it has made with many the korean medicinal stuffs. 3) Buchae(부채)(potable fan) symbolizing Dano hang the Okchudan(옥추단). Okchudan is a first-aid medicine typed the button that have taken the symbolic meaning getting rid of the satans and diseases. 4) I suggest the development of the Dana’s dress. in summer days. It can be dressing the ramie cloth. 5) To present the folktale on Kangnung Dano festival, I suggest the method of the OSMU(one source multi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