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너지 임레의 헝가리 식 사회주의와 카다리즘 -1956년 헝가리 혁명을 중심으로

        장은주 ( Eun Ju J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4 No.2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수상이었던 너지 임레는 모스크바 공산당원으로서 반 소련 정책을 주도하다가 소련 측에 의해 비밀리에 처형된 특이한이력의 소유자다. 그는 헝가리의 자주와 자립을 바탕으로 한 ‘헝가리 식사회주의’를 지향했다. 너지의 ‘신노선’은 스탈린주의자 라코시의 저책을 비판하면서 완성되었고, 그의 사상은 헝가리 혁명을 주도했던 지식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약 14 년간의 소련체제 기간 (1930~1944) 동안 그는 스탈린정권이 행한 축압적 농업 집단화의 폐해와 비효율성에 대해 절감했고, 이는 곧 그의 온건한 농업정책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그의 ‘신노선’은 라코시 일파의 방해로 좌절되었다. 1956년 헝가리 사태를 수습하고자 소련 수뇌부는 너지를 지명했고, 나국을 타개하는 방법에서 너지는 강경한 반소 노선을 선택했다. 그가 발표한 ‘바르샤바조약 탈퇴’와 ‘중립 선언’은 곧 소련 블록의 해체를 의미했고, 결국 모스크바 수뇌부는 너지 제거를 결정했다. 너지 이후 카다르는 너지의 수정주의 노선을 경제정책에 반영한 ‘신경제구조’를 통해 ‘카다리즘’을 완성했다. 이후 체다르는 너지의 수정주의 노선을 경제정책에 반영한 ‘신경제구조’를 통해 ‘카다리즘’을 완성했다. 이후 체제이행 시기에 헝가리는 시장경제체제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었다. Ungarische Revolution von 1956, die ein Markenzeichen in der Geschichte Ungarns hat, ist eine groβe wunde, aber auf der anderen Seite konnte eine Lehre sein. Imre Nagy, der den Widerstand gefuhrt hat, wurde auf einmal mit einer strengen kommunistischen Ideologie bewaffnet. jedoch ist es auch wahr, da ß der Grund auf der anderen Seite den dritten Weg zeigre Nagy arbeitete in der Sowjenmion als Agent des NKWD, Vorganger des KGB. Seine Erfahrung, die sich mit der rUcksichrsloser Gewalt unter Stalin bezog, gab ihm die Lehre, eine “moderate” ungarischen Kollektivierung der Landwinschaft zu fuhren. Der reformistische, revisionistische Route von Nagy kam sicherlich aus der Kritik uber Sowjet-Stil des kommunistischen Systems Nagys Reformplan war wegen der Opposition von Rakosi nicht erfolgreich. Nagy war ehrlich ein Idealist, der die wechselvolle politische Geschichte und das tragische Ende erlebte. Es war sein Fehkler, im Zuge der Revolution von 1956 die Gelegenheit fur die Konsolidierung des Regimes nicht zu nutzen. In der Tat fehlte es auch Nagy an politische Analyse uber die internationale Beziehungen im Kalten Krieg sowie die Auswartige Angelegenheiten der Sowjenmion. Durch die Proklamation der Neutralitat Ungarns und Austritt der Warschauer Pakt wollte Nagy die Unterstutzung der Vereinigten Staaten und der Westen. Wegen des Mangels an diplomatischen Fahigkeiten und einem tiefen Verstandnis der ’Politischen Realitat`` der Gro ß machte wurde Nagy gezwungen, sich zu ergeben. Obwohl sich der Nagys Refomlplan scheiterte, hat Nagys Modell auf Reform von Kadar (NEM) beeinflusst. Die okonomische Politik Kadars hat im Vergleich zu dem Plan Nagys Ahnlichkeit in Hinsicht. z.B., liberaler Preispolitik und die Autonomie der Fuhrungskrafte. Kadar fuhrte das goldene Zeitalter der ungarischen Wirtschaft(1962-1975), sogenannten ’Kadarism’ Der großte Unterschied zwischen Nagy und Kadar war, daß Kadar in der internationalen Situation anders reagierte, um die ideologische Legitimitat der Kommunistischen Partei zu verteidigen. Kadar versuchte, die Lehre aus der Revolution von 1956 und den ``Neuen Weg`` Nagys der ungarischen Politik anzuwenden Die Wirtschaftsreformen in Ungarn dauerten bis in die 1980er Jahre und die ungarische Regierung hat in der Umsetzungsphase der Serie als andere Ostblockstaaten besser an die Marktwirtschaftssystem Angepasst. Trotz seines Todes als Martyrer wurde Nagys Revisionismus von Kadar nachgefolgt und es hat Ungam geholfen zu andern.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예시문 선정 연구 - 중학교 1-3학년군 설명문을 중심으로 -

        장은주(Jang Eu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7-9학년군의 설명문 성취기준 예시문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현직 국어교사 64명에게 설명문 30편을 제시하여 성취기준 예 시문에 부합하는 정도를 6점 척도에 따라 표시하고, 그렇게 판단한 이유를 기술하도 록 하였다. 국어교사들이 매긴 점수에 대하여 FACET 분석을 실시하여 기대 평균을 산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각 척도별 예시문을 선정하였다. 중학생 설명문 성취기준 예시문 선정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시문 선정 과정에서 주제나 분량 측면의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성취기준 예시문 선정 과정에서 평가자의 일관성과 판단 근거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쓰기 수행 정도와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정도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넷째, 예시문 선 정 과정에서 논의된 판단 근거는 각 척도별 글 특성을 서술하거나 성취수준을 기술 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lect the anchor paper of middle school student’s explanatory essay. In doing so, 64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asked to evaluate thirty explanatory essay whether the essays answer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by Likert rating scale from one to six and to explain the reason. Based on the FACET analysis, articles representing each score were finally selected. The result shows four implications. First, other factors, such as topic, length, also affect the selection process. Second, rater’s consistency and responses of writing samples should be analysed during selecting of anchor paper. Third, there may be discordance between the degree of writing and councidence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Lastly, responses of writing samples can be use to describe for anchor paper.

      • KCI등재

        중등 국어교사의 쓰기 채점 특성에 따른 눈동자 움직임의 차이

        장은주(Jang Eu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ater effect practically,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rater’s eye movements. Seven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asked to score ten explanatory essays written by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eye movements during the assessment of essays were analyzed by area of interest; the prompt, the rubric, and the essay. Based on the result of many-facet Rasch measurement analysis,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severity and consistency; the lenient and the severe, the fit, the misfit, and the overfit. Compared to the lenient, the severe gazed the prompt and the rubric frequently and spent longer time for the prompt. Compared to the fit, the overfit spent shorter time for the rubric and the essay more specifically, short time for rubric indicates that the rating scale for the task have not been fully used by the overfit. Compared to the fit, the misfits spent longer time for the writing prompt, while they spent short time for essays. It is inferred that they could not keep their rating consistency because they saw the prompt and rubric frequently rather than reviewing students’ works thoroughly in order to find the ground for their judgments. The results show that for the proper severity and consistency in writing assessment, the raters should be well-informed of the prompt and rubric before rating. Moreover raters have to make their own assessment strategy explicitly. 이 연구의 목적은 채점의 일관성에 따라 채점자의 유형을 나누고, 각 유형별 채점 자의 채점 과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 국어교사 7명이 학생의 글 10편 을 채점하도록 하고, 눈동자 움직임을 추적하였다. 채점 결과에 대한 다국면 라쉬 분석을 실시하여 채점자의 엄격성과 엄격성의 일관성에 따라 채점자의 유형을 나누 고, 각 채점자 유형별 눈동자 움직임을 비교하였다. 채점자 유형에 따라 눈동자 움 직임에는 차이가 있었다. 엄격한 채점자들은 관대한 채점자들에 비해 과제지시문과 채점기준표를 자주 응시하였다. 채점의 일관성이 적합한 채점자들은 다른 채점자들 에 비해 과제지시문을 주시하는 시간이 길었으며, 과적합 채점자는 채점기준표를 다 시 보는 시간이 짧았다. 부적합 채점자는 학생의 글을 주시하는 시간이 짧았다. 특 히, 적합한 채점자와 비교할 때, 표현 요인에 대한 눈동자 움직임에서 차이가 있었 다. 이러한 결과는 쓰기 평가의 엄격성과 일관성 수준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는 학생 글을 채점하기 전에 과제 지시문과 채점 기준을 숙지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채점자들에게는 구체적인 채점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2009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내용 성취기준의 적합성 조사 분석

        장은주 ( Eun Ju Jang ),박영민 ( Young Min Park ),옥현진 ( Hyoun Jin Ok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2 청람어문교육 Vol.45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09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중 쓰기 영역의 적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내용 성취기준의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한 항목으로 내용의 타당성, 진술의 명료성,수준의 위계성을 설정하고,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쓰기 영역의 내용 성취기준 중에서 적합성이 낮게 나타난 성취기준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종합적으로 적합성이 낮게 나타난 항목은 쓰기 윤리와 매체 관련 내용 성취기준이었는데, 교육과정에 등장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교사들이 낯설게 느낄 수 있으며, 주요 개념들의 진술이 명확하지 않고 학생들의 수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인다.이 외에도 일부 내용 성취기준은 진술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거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지 않게 배치되기도 하였다.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매체 관련 성취기준은 다른 영역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내용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내용 성취기준에 제시된 주요 개념과 범위를 명확하게 진술해야 한다. 계속성을 고려하되, 학생들의 발달과 수준에 따라성취기준의 순서를 재조정해야 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standards of writing section of the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doing so, the contents listed on the standards of curriculum were evaluated under three heads-the content validity, the clarity of expression,The hierarchy of the contents standards-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eachers. Writing ethics and media-related contents marked remarkably low appropriateness.Another interesting thing from the analysis was that several contents listed on the standards were described with ambiguous range or were not arranged properly without considering students` abilities. From the findings,this paper offers following suggestions.Firstly, the media-related contents needs to be more systemically organized strengthening connectivity with other fields. Secondly, main concepts and range proposed on the content standards should be stated more clearly and explicitly. Lastly, with the consideration to the consistency, the order of the content standards should be reorganized in the context of students` developmental leve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따른 매체 교육과정 구성 방안

        장은주(Jang Eun ju),홍완선(Hong Wan su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5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9 No.1

        In this paper, the process and meaning of making media literacy curriculum by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discussed. For designing and conducting their class,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 resource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examples about media literacy, evaluating strategies.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teachers appreciate that internet and SNS is critical media. Thus media literacy curriculum have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and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media circumstances. Media literacy curriculum by Korean language teachers has significance: reviewing and systematizing the media literacy class examples, suggesting teaching strategy useful for planning class, and proposing curriculum suitable for national social needs and voice of educational field 이 논문은 전국국어교사모임 매체연구회 교사들이 매체 교육과정을 구성한 과정과 그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국어교사들이 매체언어 수업을 구안하고 실행하는 데에는 교수 · 학습 사례 및 전략, 평가 사례 및 전략 등 구체적인 자료에 대한 요구가 높다. 또한 많은 국어교사들은 인터넷 및 SNS가 매체언어 교육을 위해 필요한 매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매체언어 교육과정은 교수 · 학습을 지원하고, 변화된 매체 환경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장 교사들이 만든 매체 교육과정은 매체 수업 사례를 검토하고 체계화하였다는 점, 실제 수업을 계획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방안을 교육과정 차원에서 제시하였다는 점, 사회적 요구와 현장의 요구에 맞는 교육과정 내용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개별논문2 : 쓰기 과제 조건의 부합 여부에 따른 평가 결과 차이 분석

        장은주 ( Eun Ju Jang ),박영민 ( Young Min Park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2

        이 연구의 목적은 제시된 쓰기 과제 조건의 부합 여부에 따른 평가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국어교사 35명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생이 쓴 글 50편을 채점하도록 하였다. 예비 국어교사가 채점한 글에는 과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글 13편이 포함되어 있었다. 연구 결과, 쓰기 과제 조건 부합 여부에 따른 평가 결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 국어교사들은 쓰기 과제에 부합하는 글은 쓰기 과제에 부합하지 않는 글보다 관대하게 평가하였다. 특히, 쓰기 과제에 부합하는 글은 내용면에서 관대하게 평가되었으며, 쓰기 과제에 부합하지 않는 글은 내용면에서 엄격하게 평가되었다. 또한 적합한 평가자라 하더라도 과제 조건에 부합하는 글과 그렇지 않은 글을 엄격하거나 관대하게 평가하는 편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쓰기 과제 조건에 부합되지않는 글을 포함하여 평가하는 것은 평가자 오차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과제 조건의 부합 정도에 따라 점수가 다르게 부여되어야 한다. 둘째, 다수의 평가자가 학생의 수행을 평가하여 성적에 반영하는 경우에는 통계적 처치를 통해 평가자 효과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과제의 조건을 파악하는 것이 국어과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명시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differences of ratings according to whether the writing meet the given task requirements or not. In order to do so, 35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rated 50 essays of writing samples including 13 writing samples that did not meet the task requir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stinctions between the ratings according to whether the requirements were met or not; pre-service korean teachers rate the writing meet the given task requirement relatively leniently Specifically, in terms of contents, the essays which met requirements were rated very generously while the rest which did not meet requirements were rated severely. Moreover, even fit raters can be biased either being too generous or too strict according to whether the writing meets the task requirement or not. Therefore, including writings which do not meet the task requirement in the assessment can be one of the factors that cause rater errors. This study gives three implications. First, raters should give different marks according to the extent that the writings meet the task requirement. Second, when many raters evaluate a student’s performances, the statistical treatment is required in order to adjust the rater effects. Last but not least, it should be specified catching the task requirement in the Korean curriculum or textbook.

      • KCI등재

        폭력적인 언어 표현에 대한 중학생과 국어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장은주 ( Eun Ju Ja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폭력적인 언어 표현에 대하여, 중학생과 중등 국어교사의 인식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생 1,048명과 국어교사 8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어교사와 중학생들은 배경이나 외모에 대한 공격, 욕설이나 조롱이 심각한 문제라고 인식하였다. 구체적인 담화 자료에 대한 국어교사와중학생의 반응을 비교한 결과, 악성댓글에 대해 국어교사들보다 중학생들이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중학생 집단에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고학년보다는 저학년이 폭력적인 언어 사용을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다 폭력적인 언어 표현에 더 많이 노출되었으나 문제 인식 정도는 더 낮았으며,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는 폭력적인 언어 표현의 내용과 유형에도 차이가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recognition about verbal aggressivenes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s. In order to do so, 1,048 students and 89 teacher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y recognized background attack, appearance attack, swearing, and ridicule is hurtful. In addition to, middle school student, rather than Korean language teachers, thought malicious messages is more violent. Boys than girls, the upper grades than the lower grades considered verbal aggressiveness is problem even they were exposed by verbal ag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