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시대’ 중국의 문화담론과 문화전략 분석

        장윤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0 중소연구 Vol.44 No.1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scourse and cultural strategy that have changed in the composition of national goals and system design in China, which have changed since the 18th 3rd Central Committee Meeting of the CCP. Recently, the ideological function of culture has been strengthened under the logic of the ‘New Era(新时代)’,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trengthening of Party Leadership’. Culture is being emphasized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realizing the national goal of ‘the great revival of the Chinese nation’ and an important means of fostering new humans to carry out the revival of the Chinese nation. The CCP wants to establish a ‘China’s characteristic socialist culture(中国特色社会主义文化)’ as a ‘system’ through education of the ‘Socialist core values(社会主义核心价值观)’. The socialist core values composed of national/social/individual hierarchies are a code of conduct for improving national education and civilization. It is also designed so that the ideals and values of all people’s lives are fused into the great dreams of the nation. The socialist core values constituting the identity of the socialist state are also connected externally and spread through the discourse system construction. ‘Creating a discourse system’ to realize the Chinese dream consists of communicating/making an image/making a theory/ persuading. China continues to raise and accumulate Chinese discourse in its own language, creating a discourse effect and attempting to influence existing norms. However, China’s discourse strateg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of all, since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is locked in the logic of the national level and the political civilization, it is inconsistent with the reconciliation of civilization or the coexistence of civilization that China emphasizes itself. Second, the logic of linking all Chinese achievements to the excellence of Chinese civilization implies excessive nationalist sentiment and dangerous civilizationism. Third, it is basically defensive logic in that it recognizes that misunderstanding or lack of understanding about China can be corrected through propaganda of the ‘propagation’. 이 논문에서는 18기 3중전회 이후 달라진 중국의 국가목표와 체제설계의 구도 속에서 변화된 문화담론과 문화전략의 특징을 분석한다. ‘당 영도 강화’라는 ‘신시대’ 논리 아래 문화의 이데올로기적 기능이 강화되었다. 문화는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국가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자원이자 중화민족의 부흥을 수행해나갈 새로운 인간을 육성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강조되고 있다. ‘사회주의핵심가치관’을 통해 ‘중국특색사회주의문화’를 하나의 ‘제도’로 확립하려 하며, 이에 따라 사상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국가/사회/개인의 위계적인 층위로 나뉘어 구성된 사회주의핵심가치관은 국민교육과 문명소양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행위준칙이며, 모든 인민의 삶의 이상과 가치추구가 국가와 민족의 위대한 꿈 안으로 융합되도록 설계되어있다. 사회주의국가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가치관은 대외적으로도 연결되어 담론체계건설을 통해 전파되고 있다.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한 ‘담론체계 만들기’는 소통하기/이미지 만들기/이론 만들기/설득하기로 구성된다. 중국은 자신의 언어로 중국담론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축적함으로써 ‘담론효과’를 만들고 기존 규범에 영향을 미치려 한다. 그러나 중국의 담론전략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안고 있다. 우선 문명담론이 국가 층위와 정치문명 논리에 갇혀있어 중국 스스로 강조하는 문명화해나 문명공존과 모순된다. 둘째, 중국의 모든 성과를 중화문명의 우수성으로 연결하여 설명하는 논리는 과도한 민족주의 정서와 위험한 문명주의를 내포하고 있다. 셋째, 중국에 대한 오해나 이해 부족을 ‘전파식’의 선전이나 홍보로 교정할 수 있다고 인식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방어적 논리라는 한계를 안고 있다.

      • KCI등재

        중국의 당, 국가, 사회의 관계:거버넌스(治理) 구조의 변화

        장윤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1 중소연구 Vol.45 No.1

        The analysis framework of state-social relations is a useful approach to explaining changes in Chinese society after reform. However, it has not paid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a “party” despite China’s party-state system, and has equated the party with the state. This paper distinguishes party from state in terms of governance structures. In China, the “party” is a policy-maker who leads, monopolizes and determines major policies, and the “state” is a policy enforcement and administrative agency that carries out efficient management. In this paper, China’s contemporary history is divided into socialist construction, reform and opening, and a new era. It describ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y, state and social governance structure at each time, and summariz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parties has changed. China’s governance structure has changed from a ‘party-state unity model’ to a ‘decentralized governance model’ and again to a ‘party-dominated governance model’. The recent shift in governance structure, which emphasizes full and unified party leadership, has been rationalized with the aim of achieving a dream of modernizaton. It is clear that China’s “society” to envision and build is a structural and organizational foundation for supporting and maintaining “Chinese characteristic socialism,” but there are still many limitations in terms of voluntary social entity formation. 국가사회 관계의 분석 틀은 개혁개방 이후 중국사회의 변화를 설명하는 유용한 접근 방식이지만, 당국체제(黨國體制) 중국에서 ‘당’의 존재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고, 당과 국가를 동일시해왔다. 이 논문에서는 통치와 거버넌스(治理) 구조의 관점에서 당과 국가를 구분한다. 중국에서 ‘당’은 정치를 영도하고 독점하며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정책결정자이고, ‘국가’는 행정기관으로 효율적 관리를 수행하는 정책집행자이다. 논문에서는 건국 이후의 역사를 사회주의 건설 시기, 개혁개방 시기, 신시대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로 당, 국가, 사회 거버넌스 구조의 변화와 특징을 서술하고, 삼자 간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정리한다. 중국의 거버넌스 구조는 ‘당정합일(黨政合一) 모델’에서 ‘분권화 거버넌스 모델’로, 다시 최근의 ‘당 우위 국가 거버넌스 모델’로 변화되어왔다. 전면적이고 통일적인 당 영도를 강조하는 최근의 거버넌스 구조 전환은 국가 현대화의 꿈을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 합리화되고 있다. 중국이 구상하고 건설하려는 ‘사회’가 ‘중국특색사회주의’를 떠받치고 유지하는 구조적, 조직적 토대가 되고 있음은 분명하지만, 자발적인 사회 주체 형성의 측면에서 보자면 여전히 많은 한계가 있다.

      • KCI등재

        중국 국유기업 구조조정과 노동자 마음 : 몫을 잃은 자들의 마음

        장윤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1

        As the restructuring of state-owned enterprises in China began in the late 1990s, many workers lost their jobs and are now on the verge of a second tide of laid-off. This paper examines the ‘minds’ of state-owned enterprise workers who are forced to work in unemployed or dismissed jobs due to state-owned enterprise reforms. State-owned enterprises are not simply 'jobs' for workers that solve the problems of eating and living in Socialist System China. There are the home of the workers who gave birth to and raised a child, and are a ‘house’ of their own with special minds and emotions.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d the reality of the changed state-owned enterprise workers and workers' thoughts and minds about state-owned enterprise reform. And this paper analyzed the 'minds' of workers in terms of how they accept and understand the problems in the state-owned enterprise reform process. In conclusion, workers think that their legitimate share is lost in the process of reform and discourse. The share of workers in the state-owned enterprise principle of participating in decision-making and sharing of profits for state-owned enterprise reform has been thoroughly ruled out as well as the share of working hard. 1990년대 후반부터 중국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으며, 현재 제2차 해고사태를 앞두고 있다. 이 논문은 국유기업 개혁으로 인해 해고된 혹은 불안한 일자리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국유기업 노동자들의 ‘마음’을 살펴본다. 사회주의체제 중국에서 국유기업은 노동자들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단순한 ‘직장’이 아니라, 자식을 낳고 키우며 세대를 거쳐 땀으로 일궈낸 삶의 터전이자 특별한 마음과 감정이 담긴 자신의 ‘집’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개혁의 주류적 담론과 함께 변화된 국유기업 노동자들의 현실을 짚어보고, 국유기업 개혁에 대한 노동자들의 생각과 마음을 분석한다. 국유기업 노동자들에게 국유기업이란 어떤 존재인지, 그리고 노동자들은 국유기업 개혁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 노동의 관점에서 이들의 ‘마음’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개혁의 과정과 담론에서 노동자들은 자신의 정당한 몫을 빼앗겼다고 생각한다. 열심히 일한 것에 대한 몫 뿐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에 대한 의사결정참여와 이익 공유라는 국유기업 원칙에서도 노동자들의 몫은 철저히 배제되어왔다.

      • KCI등재

        중국 노동계급의 형성과 분절

        장윤미 세종연구소 2003 국가전략 Vol.9 No.4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how labour class in China has formulated, and to analyse the identity of Chinese labour class, which is currently undergoing a simultaneous process of disintegration and integration. In the past, the political institution and party-state power restrained and distorted the identity of Chinese labour class. The class consciousness of Chinese labour class, which was fragmented by Danwei system, was also worsened by the intervention of authoritative party-state power and the combination of local bureaucrats and private capital in the reform periods. In the process of marketization reform based on mutual contract relationship, however, the Chinese labour class has enabled class disintegration and reintegration based on social change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the meaningful changes in group identity and class consciousness in Chinese society in the 1990s. 이 글은 중국 노동계급 형성의 역사적 과정을 고찰하며 분화와 통합의 동시적 과정을 겪고 있는 중국 노동계급의 현실과 정체성을 분석하고 있다. 중국의 정치제도와 국가권력은 오랫동안 중국 노동계급의 정체성 발달을 억제하고 왜곡해 왔다. 폐쇄적 구조를 갖는 단위 제도에 의해 서로 단절되었던 중국 노동계급의 계급 의식은 시장화 개혁 이후에도 권위주의적인 국가권력의 개입과 지역 관료 계층과 사적 자본의 담합에 의해 좌절되거나 유보된다. 그러나 계약관계를 기초로 하는 시장화 개혁 과정 속에서 중국 노동계급은 점차 실질적인 사회적 관계에 기초하여 계급적 분화와 재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990년대 들어 중국 노동자들의 집단적 정체성과 계급의식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89운동과 독립노조:베이징 노동자자치연합회를 중심으로

        장윤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2 중소연구 Vol.36 No.2

        This article analysed the organizational process and activities of the Beijing Workers Autonomous Federation(BWAF) in the 89’s movement. And it examined the historical trajectory in the socialist historical context, such as a voluntary organization, a new eruption of consciousness, and the emergence of an independent trend. BWAF was not suddenly appeared from outside system opposing to state power, but it sought an independent way of organizing in relation with existing formal trade unions, labor departments and research center, students. It not only appears the nature of mass movements in the history of modern China, but also show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ociety connected with State system like a chain. BWAF‘s influence can be found in emotion or political orientation held by members, rather than the side of the scale and organized activities. It means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political resistance in China history. 이 글에서는 89운동을 중국 사회주의의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하면서,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된 자발적 조직화, 새로운 의식의 분출, 독립적인 풍조 등장 등의 역사적 궤적을 베이징 노동자자치연합회(공자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89운동 당시 공자련의 조직화 과정과 다양한 활동을 살펴보았을 때, 공자련이라는 독립노조는 국가권력에 대립하며 체제 밖 영역에서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공식노조와 노동 기관, 학생들과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의 위치를 설정하며 독립적인 조직화의 길을 모색해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현대 역사 속에서 반복되어 나타난 중국 대중운동의 특성이기도 하며 국가체제와 사슬처럼 연결된 중국 사회영역의 구조적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공자련은 이후 중국 노동운동의 공식적, 비공식적 활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구성원들이 갖고 있던 정서나 정치적 지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자련은 건국 이후 새로운 형태의 정치적 저항의 출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절단 포아송 모형을 이용한 상습적 교통사고 유발자의 성격 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장윤미,김도경 대한교통학회 2014 대한교통학회지 Vol.32 No.1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has been decreased since 2000; however, the downward trend of crash occurrence has been slower after 2006. A few decades ago, physical improvement projects such as alignment improvement and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were usually implemented to decrease the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but the effects of physical improvement on safety have been gradually decrease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drivers' characteristics affect and/or are related to traffic accidents. Most of previous works have focused on revealing the difference of the nature of the drivers between the drivers who have no experience and the drivers with experience of traffic accident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habitual accidents proneness through a survey of drivers' personalities for drivers who were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at least once. As a result, nine personality facto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uroticism(N), Lie(L), Psychoticism*Neuroticism(PN), Psychoticism*Lie(PL), Extraversion*Lie(EL), Neuroticism*Lie(NL), Impulsiveness(IMP), Venturesomeness(VEN), Empathy(EMP). Among these factors, single character factors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2000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2006년 이 후 감소세가 둔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교통안전의 개선방안으로 도로선형 개선과 같은 물리적 개선방안을 통해 사고감소에 큰 효과를 보았으나 이에 대한 효용성이한계에 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 성격특성과 교통사고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고를 유발한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성격검사를 포함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또한, 교통사고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제시되고 있는 ‘사고호발성향’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는 사고를 1건 이상 유발한 운전자 들만을 대상으로 사고 다발 특성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성격특성별로는 총 9개(신경증적 경향성(N), 허위성(L), 정신병적*신경증적(PN), 정신병적*허위성(PL), 외향성*허위성(EL), 신경증적*허위성(NL), 충동성(IMP), 모험성(VEN), 감정이입성(EMP))의 항목이 유의한 성격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중, 단일성격항목에 편중된 성격은 사고를 증가시키는 영향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단, 복합성격항목도 함께 높은 경우에는 사고를 증가시키는 영향력을 다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의 사회주의민주정치 구상: “인민의 복귀(bring the people back in)”

        장윤미 세종연구소 2015 국가전략 Vol.21 No.3

        The Chinese leadership has recently stressed the ‘Socialist Democracy’ and ‘Socialist Rule of law’, and it has brought the ‘People’ back in. This article analyzed the ‘People’, which is a core concept of socialist democratic politics in China, a controversy about ‘People's Democratic Dictatorship’. ‘People’s Democracy’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Party leadership and law,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Mass Line’, which is a specific measure to practice the People's Democracy. Chinese leaders are trying to re-interpret and renew the resources that ha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their own traditions and its own revolutionary history, and presents them to give meaning to the core content of China's socialist democratic politics. Its purpose is to establish the political conditions for completing the challenges of Reform 2.0, to break the initiative of the Western democratic discourse through the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democracy', an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Chinese political system and its constitutive features. In particula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led the initiative in this process by positioning itself between ideological groups that compete with each other. The recently re-called ‘People's Democracy’ is called out by political purposes of the party. But it includes the democratic principles that if the party do not implement policies for the people, the people can reverse the party for the people. Therefore, we will watch how this “bring the people back in”, has the power whether any position and driven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 최근 중국 지도부는 ‘사회주의민주’와 ‘사회주의법치’를 강조하며, ‘인민’을 다시 불러오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 사회주의민주정치의 핵심 개념인 ‘인민’을 중심으로 ‘인민민주독재’와 ‘인민민주’ 논쟁, 법과 당 영도 간의 관계 등을 분석하고, 인민민주를 실천하는 구체적 방안인 ‘군중노선’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본다. 중국 지도부는 자신의 전통과 혁명 역사 자체에서 기원하고 발전해온 자원들을 다시 새롭게 재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이를 중국 ‘사회주의민주정치’의 핵심적 내용으로 제시하고 구체화하려 한다. 이러한 기획은 ‘전면심화개혁’이라는 개혁2.0 과제를 완수하기 위한 정치적 조건을 확립하려는 목적 뿐 아니라, ‘민주’에 대한 적극적 해석을 통해 서구의 민주 담론 주도권을 깨고, 나아가 중국정치체제의 정체성과 그 구성적 특징을 찾는 과정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중국 공산당은 서로 경쟁하는 이념적 집단 사이에 자신을 위치 지움으로서 정치담론의 주도권을 이끌어나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다시 소환되어 논의되는 ‘인민민주’는 당의 정치적 목적에 의해 불려나온 것이지만, 그 자체 원리에 당이 인민을 떠나고 인민을 위한 정책을 펴지 못한다면 언제든 인민이 당을 뒤집을 수 있다는 민주적 요인이 내장되어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민의 복귀’라는 원리가 중국 정치에서 어떠한 포지션과 세력을 갖고 사회변혁을 추동할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