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象山三昧』 지명 고증

        장유승 한국고전번역원 2024 民族文化 Vol.66 No.-

        『象山三昧』는 李喆煥(1722∼1779)이 1753년 10월 9일부터 이듬해 1월 29일까지 충남 예산 가야산 일대를 여행하고 남긴 기록이다. 가야산은 수많은 사찰과 암자가 있던 불교의 성지로, 이 일대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이 책은 자료적 가치가 크다. 이로 인해 2종의 번역본이 출간되었으나 이 책에 언급된 지명에 대한 고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이철환이 경기 안산을 출발하여 충남 덕산에 도착하여 그곳을 근거지로 삼아 가야산 일대를 여행한 경로를 상세히 재구하였다. 아울러 충남 덕산 일대를 다룬 여러 문헌을 활용하여 『상산삼매』에 언급된 가야산 일대의 지명을 고증하고, 현장 답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상산삼매』에 언급된 가야산의 여러 봉우리, 사찰 및 암자, 마을과 유적 등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였다. 이 논문은 『상산삼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되었으며, 아울러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나는 지명을 고증하는 방법을 예시하였다. Sangsansammae is a record written by Lee Cheolhwan after his travels around Gayasan Mountain from October 9, 1753, to January 29 of the following year. Gayasan Mountain is a sacred place for Buddhists, with numerous temples and hermitages, and this book is highly valuable material which intensively illuminaed the area. Two translations were published, but the place names mentioned in this book were not properly verified. This paper reconstructs in detail the route Lee Cheolhwan traverled around Gayasan Mountain after he left Ansan in Gyeonggi Province and arrived in Deoksan in Chungnam Province, which used as his base. The place names in Gayasan Mountain mentioned in this book were verified and confirmed through field trips and refernce to various literature on Deoksan in Chungnam Province. The current locations of various peaks, temples and hermitages, villages, and ruins in Gayasan Mountain mentioned in Lee’s book were estima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Sangsansammae, and also to exemplify how to verify place names that appear in Joseon Dynasty literature.

      • KCI등재

        詩話 번역의 현황과 과제

        장유승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e poetic criticism(詩話) is a subconcept of miscellaneous records(筆記), but these two are indistinguishable. In this thesi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oems are considered to be poetry in miscellaneous records as a poetic criticism. This thesis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translation focusing on poetic criticism in the Collection of Korean poetic criticisms(韓國詩話叢編). Half of the poetic criticism in the Collection of Korean poetic criticisms have been translated, and more than half of them have been translated again. The translation of the late Joseon period poetic criticism is an urgent task. The poetic criticism in this period are rare in collection. The poetic criticism is a mixture of verse and prose. Translation of the poetic criticism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format of a poetry and custom of language. The poetic criticism consists of excerpts, and mostly written in manuscript. so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text and different version is essential. Translation is still not recognized as an academic achievement. Translation of the poetic criticism has been made through the voluntary efforts of the researchers, but the rapid changes in the research environment, it has become difficult to translate as before. 詩話는 筆記의 하위 개념이지만 시화와 그밖의 필기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필기 가운데 시에 관한 내용이 비교적 많은 것을 시화로 간주하고, 韓國詩話叢編 수록 시화를 중심으로 시화 번역의 현황과 과제를 진단하였다. 한국시화총편 수록 시화 129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이미 번역되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은 재번역까지 이루어졌다. 번역이 시급한 것은 조선후기 시화이다. 이 시기 시화는 한국시화총편 에도 많지 않으므로 자료 발굴이 시급하다. 오래된 번역이 많아 그간의 학술적 성과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시화는 운문과 산문이 혼재하는 양식이므로 번역을 위해서는 한시 형식과 언어 관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문헌에서 발췌 수록한 내용이 많고 필사본이 대부분이므로 원전 교감과 이본 대조가 필수적이다. 한시 연구의 근간을 이루는 시화 번역이 더딘 이유는 번역이 여전히 학술적 성과로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탓이다. 그간 시화 번역이 연구자의 자발적인 노력과 개인적인 역량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나, 연구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과거와 같은 방식의 번역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KCI등재

        북한지역 한문학 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장유승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6

        This thesis diagnose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Sino Korean literature related to Pyongan province and Hamgyong province of Choson period, and look forward to future research issues. Research on the literature in the northern region beg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thesis focused on the survey data from the Society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History(朝鮮史編修會) that corresponded to the field survey of the nearest period. Next, this thesis reviewed prior research focusing on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Sino Korean literature, and presented future research prospects by referring to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history. Northern region studies in the field of Sino Korean Chinese were centered on single-shot studies on literary value. These studies are difficult to see as mak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clarifying the real picture of the region. On the other hand, research in the field of history has achieved considerable results, to look at regional history from time to time and to look at the local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people. Literary research should not be directed to a different field from historical research, but should be prioritized to establish a common foundation based on literature.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 평안도와 함경도 지역에 관련된 한문학 자료의 연구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전망하는 것이다. 서북 지역의 문헌에 대한 조사, 연구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지금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시기의 현지 조사에 해당하는 조선사편수회의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서북 지역 한문학 유산의 현황을 일별하였다. 이어서 한문학 분야에서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역사학 분야의 연구성과를 참조하여 향후 연구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한문학 분야의 서북 지역 연구는 문헌 중심의 단발성 연구와 문예미 중심의 작가 연구 위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연구는 지역 사회의 실상을 밝히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반해 역사학 분야의 연구는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역사를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지역인의 시선으로 지역 사회를 바라보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문학 연구는 역사 연구와 별개의 영역을 지향할 것이 아니라, 문헌을 바탕으로 공통의 기반을 다지는 작업을 우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비학위과정 한문교육의 현황과 과제

        장유승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4 한국문화 Vol.66 No.-

        This thesis examines the non-degree cours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 develop professional researcher and classics translators that are currently performed outside the universities in Korea. The subject of the execution of non-degree cours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in-college institutions and out-of-college institutions. Those institutions operate similar curriculum for traditional learning process with an aim of increasing the translation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postgraduate students who wished to be professional researchers. While the non-degree course classical education has coexisted with the degree course curriculums for 40 years by sharing roles, recently a change began due to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translation of the classics. Universities open the cooperation course of classics translation in order to incorporate non-degree course into the institutionalized system, and the institutions attempt to develop the course for the degree awarding course. In this regard, the solid boundary between degree course and non-degree course has been gradually blurred. However, the attempt of the university to absorb non-degree cours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lack of theoretical system on education contents and cannot satisfy various requirements of learners. And, it is also insufficient to implement the educational function of existing non-degree based education. In this situation, universities need to focus on the theoretical systematization of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 instead of absorp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ology. Theoretical systematization is the short-cut for high educational effect while reducing education period.

      • KCI등재

        상촌가(象村家)의 『평산신씨성보(平山申氏姓譜)』 편찬에 대하여

        장유승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4 東洋學 Vol.56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and background of the genealogy in the 17th century with special reference with “Pyeongsan Shin Family Geneology.” compiled by the two generation of Shin Heum and Shin Ikseong. Shin Heum recognized serious crisis awareness on the existence of his family with his exile to Chuncheon as a momentum and started compilation of “Pyeongsan Shin Family Geneology.” However, after the restoration of King Injo, his political status was stabilized, which weakened his crisis awareness and resulted in the postponement of the compilation of the genealogy. After the death of Shin Heum, Shin Ikseong found the draft of “Pyeongsan Shin FamilyGeneology” and started the supplement of the genealogy. It aimed to reinforce the family status established by Shin Heum. The system of “Pyeongsan Shin Family Geneology” that Shin Ikseong completed became the general system of the genealogy. The compilation of genealogy in the 17th century began in order to collect and supplement lost literature after a war. And, it is an output of crisis awareness deepended by the political crisis of the restoration of King Injo. While the compiled genealogy of this period caused disputes in the later generation thanks to the lack of historical research, it became the class of the genealogy compilation in the later generations. 본고는 신흠과 신익성 2대에 걸쳐 편찬된 『평산신씨성보』를 통해 이 시기 족보 편찬의 양상과 그 배경을 살피고자 하였다. 『평산신씨성보』의 편찬은 전란으로 일실된 족보를 재구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신흠은 춘천 유배를 계기로 가문의 존립에 심각한 위기의식을 체감하고 족보 편찬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인조반정 이후 신흠이 정치적 입지가 안정되면서 위기의식은 약화되고, 결국 족보의 편찬은 미루어지게 되었다. 신흠 사후, 신익성은 부친이 남긴 유문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평산신씨성보』의 초고를 발견하고 증보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그 목적은 신흠에 의해 다져진 가문적 위상을 공고히 하는 데 있었다. 신익성이 완성한 『평산신씨성보』의 체재는 후대에 계승되어 족보의 일반적인 체재로 자리잡았다. 16~17세기의 족보 편찬은 전란 후 망실된 문헌을 수습, 보완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되었으며, 한편으로 인조반정 전후의 정치적 혼란으로 짙어진 위기의식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미비한 여건에서 편찬된 족보는 고증의 미비로 후대에 논란의 소지를 제공하기도 하였으나, 후대 족보 편찬의 전범으로 자리잡았다.

      • KCI등재

        石北 申光洙家 신자료 소개

        장유승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4 大東漢文學 Vol.78 No.-

        This thesis classifies 110 materials owned by Shin Kwang-soo's descendants into five categories: the king's handwriting and test paper, the scrapbook of writings and pictures, poetry and letters, manuscripts, and document, and examines their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mpilation background. Notable materials include the documentation of the king's writing and criticism. There are also many poem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In Shin Kwang-ha's poem, Chae Jegong's criticism is recorded. In addition, Shin Kwang-soo's manuscripts are believed to have been used for the compilation of writings. The materials introduced in this thesis show the literary capabilities of this family for four generations since Shin Kwang-soo, and can be used to testify to the people and history of the loc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