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로컬과 서발턴이라는 경계

        장슬기(Jang, Seul-G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2

        본고는 기왕의 보편적이고 국제적인 영화문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장률 영화를 독해하고자 한다. 단일한 국민국가의 서사나 보편적 스펙터클의 이미지의 체계화로 회수되지 않는 장률 영화는 기존의 영화 미학적 이해나 서사 구조의 분석으로 해소되지 않는 일종의 잉여 지점을 남긴다. 그리하여 본고는 ‘로컬’과 ‘서발턴’이라는 ‘아래로부터의 시선’을 그의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비판적 입론으로 받아들인다. 이 같은 위치에서 영화를 사고하게 되면 영화는 더 이상 보편적 커뮤니케이션이나 커뮤니티를 (재)생산하는 자본기계가 아니며, 이질성과 차이에 주목하는 공통기계로 이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고는 우선 극영화와 다큐멘터리라는 영화적 경계를 횡단하는 장률의 영화 문법을 살펴본다. 그의 카메라는 종종 허구에서 실제로, 실제에서 허구로의 전환을 꾀한다. 장률은 이 차원을 두드러지게 함으로써 오히려 영화적 경계를 넘어설 때에만 로컬과 로컬주체를 혼종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투영한다. 장률은 영화적 경계를 넘는 것과 같이 텍스트 내부에서도 장소의 경계를 넘는다. 특히 장률은 사막, 강과 같은 자연의 경계 위를 이동?이주하는 인물들에 주목한다. 이 이동은 최종 목적지가 정치적 헤게모니에서 우위에 있는 국가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다만 타자와 만나고 그와 삶을 공유하기 위해서라는 점에서 자연의 경계에 선 삶은 긍정된다. 이를테면 자연의 경계를 넘는 힘겨움은 이동성에 내재된 전지구적 신자유주의의 폭압성, 강요성과 같은 배제의 원리로 이끌도록 하지만, 이곳은 그 폭압을 언제든 거부하고 타자성을 공유할 수 있는 장소로 의미화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률의 영화는 이러한 자연의 경계를 넘는 영화 속 주체들 중에서도 특히 여성에 주목한다. 그의 영화는 여성을 남성보다 더욱 주요한 주체로 승격시켜 그들의 목소리-의식을 중요하게 포착한다. 특히 장률은 이들을 능동적으로 말 하지 않는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그들이 침묵하거나 혹은 외침/비명을 발설하는 순간을 주목할 만한 것으로 그린다. 카메라는 여성을 시각적 대상으로 포착하던 기존의 재현체계로부터 미끄러져나가, 여성으로 하여금 공간의 역사와 현재를 기억하고 각인하는 증인의 자리에 위치시킨다. 주변부적 존재인 여성은 장률 영화 속 장소인 로컬과 공명하며 장률이 가진 경계의 사유를 드러내는 긍정적?보편적 주체로 구성된다. This article aimed to comprehend the Zhang Lu’s movie in a different way from past universal and international grammar of a film. The movie by Zhang Lu that cannot be recalled by a description of a single nation-state or systematization of universal spectacle image leaves a sort of surplus point that cannot be resolved by an aesthetic comprehension of movie or structural analysis.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accepts ‘view from below’ which are ‘local’ and ‘subaltern’ as a critical argument to understand his movie. When we consider the movie from this perspective, the movie is no longer a capital machine that (re)produces universal communication or community because it can transfer to a common machine that focuses on the heterogeneity and differences. Based on such critical mind,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grammar of Zhang Lu’s movie that traverses a cinematic boundary of film drama and documentary. His camera often plots the switch from fiction to reality and from reality to fiction. Zhang Lu, by emphasizing this dimension, projects a critical mind that going beyond the cinematic boundary rather can catch the local and local subject. Zhang Lu even goes beyond the local boundary within the text just as how he goes beyond the cinematic boundary. Especially, Zhang Lu pays attention to the figures that transfer/move above the natural boundary like desert and a river, etc. This transfer does not set its final destination as a nation superior at the political hegemony, but a life by the boundary of nature is affirmed to a point to meet other and share life with him. For example, the difficult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nature makes one to lead by the exclusion principle such as oppression of global neo-liberalism inherent in mobility and coerciveness, but this place is signified as a place where we can reject the oppression and share the otherness. Lastly, Zhang Lu’s movie focuses on women, in particular, among the subjects of movies that cross the boundary of nature. His movies capture the women’s voice and awareness as important by promoting women as a subject more important than men. Especially, Zhang Lu sets them as subjects who don’t actively speak in order to draw the moment they get silent or let out their cry as something to focus on. The camera slips off from existing system of reappearance that captured women as a visual object, and positions them as a witness who remembers and carves the history of space and present. Women of marginal existence resonates with a local, which is a place inside the Zhang Lu’s movie and is composed as a positive, universal subject that shows the reason of boundary Zhang Lu ha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영화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영화진흥위원회 청소년 영화교육 활성화 사업(2018~2022)의 성과 및 한계를 중심으로

        장슬기(Jang Seulki),조희영(Cho Heeyou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3 씨네포럼 Vol.- No.44

        본고는 제7기(2018~2021) 및 제8기(2021~2022) 영화진흥위원회의 ‘청소년영화교육 활성화 사업’의 배경과 성격 및 사업비 추이를 통한 그간의 성과와 한계 진단을 바탕으로 영화교육의 장기적 활성화를 위한 방향 제안을 목표로 한다. 영진위는 그동안 축적된 해외 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각계에서 논의된 영화교육 담론을 재검토했다. 나아가 교과서 개발, 시범학교 운영 사업을 중심으로 영화교육 교·강사 연구회를 지원하고, 강사 풀을 직접 운영했으며 영화교육의 필요성을 공론화하기 위한 활발한 행보를 이어갔다. 그러나 해당 사업은 2021년부터 예산이 동결된 데다 2022년부터 편성된 대부분의 예산이 시범학교 운영에 쓰이고 있어 영화교육의 활성화라는 거시적 비전을 위한 여타 과제들은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또한, 2019년부터 시행되었던 영화 시범학교의 운영 성과들이 지역의 영화교육기관이나 단체에 공유되지 않아 영진위의 영화교육 사업에 대한 민간 관련 기관들의 이해도와 참여도가 낮다. 예산 확보라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겠으나 그간의 정책적 목표와 성과가 휘발되지 않고, 거시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대안 과제들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접근성 높은 보편 교육모델 개발, 지역 영화단체 및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공공형 웹 플랫폼의 조성, 영화교육의 장기적 안착을 위한 브랜드 전략이 고안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계와 영화 산업계의 영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그 가치가 확산될 수 있도록 설득력 있는 사업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long-term activation of film educatio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 Film Council’s “Youth Film Education Activation Project” from the 7th (2018-2021) and 8th (2021-2022) terms, as well as the background and nature of the project and its budget trends. Since 2018, the Korea Film Council has reviewed the discourse on film education that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fields based on research into overseas film education cases. Furthermore, it has supported film education teacher research groups, operated a teacher pool directly, and taken active steps to publicize the importance of film education. However, due to the freezing of the budget from 2021 and most of the budget allocated from 2022 being used for the operation of pilot schools, macroscopic visions for the activation of film education and other related tasks have not been realized.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pilot film school,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9, has not been shared with local film education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resulting in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from private institutions related to the Korea Film Council’s film education project. While there may be realistic difficulties in securing a budget, it is necessary to pursue alternative tasks in order to achieve macroscopic objectives without the policy goals and achievements being volatile.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universally accessible education model,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with local film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create a public web platform, and devise a brand strategy for the long-term settlement of film education. Through these measures, persuasive projects that can raise awareness and disseminate the value of film education to the education and film industries need to be implemented.

      • KCI등재

        스펙터클 역사교과서의 창출: 영화 <난중일기>(1977)와 <명량>(2014)

        장슬기 ( Seul Gi Jang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5 아시아영화연구 Vol.7 No.2

        본 논문은 위인 이순신의 전기를 다룬 영화 텍스트 <난중일기>(1977)와 <명량>(2014)을 비교분석하면서 그 재현방식의 문제를 진단해본다.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은 이순신의 담론화 작업을 통해 유신체제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이순신의 이미지를 박정희 자신의 이미지와 중첩시켰다. <난중일기>는 이러한 시대적 맥락 안에서 태어난 영화로, 당대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텍스트로 여겨진다. 반면 <명량>은 <난중일기>에 비해 작금의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객관적 사료는 부재하다. 하지만 ‘역사’를 기억함에 있어, 그를 재해석하지 않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만 있는 경향을 내비친다는 점에서 정치적으로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명량>은 <난중일기>가 이순신의 전기를 구성하기 위한 서사에 치중한 것과는 달리, 오직 전투씬을 스펙터클하게 묘사하는데 주력한다. 하지만 스펙터클을 구현하는데 집중한 나머지 이순신이라는 국가 혹은 국가상만을 제시할 뿐, 백성들을 ‘말’을 하지 못하거나 죽은 존재로 묘사하고, 이순신과는 다른 ‘말’을 하는 존재를 ‘배신자’로 그려낸다. 게다가 이 배신자 기호의 실재적 형상은 <난중일기>에 비해 훨씬 모호하고 불분명하다. 극중에서 배신자 캐릭터인 ‘배설’은 언제든 다른 ‘말’을 할 수 있는 잠재적 배신자들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이는 신자유주의적 주체를 향한 지배체제의 경계의식이 투영된 결과로 이해해볼 수 있다. 또한 두 영화는 모두 민족성과 국민성을 고취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지만, <난중일기>가 민족적 기호들을 제시하여 지배 체제로 포섭되는 민족상/국민상을 제시하는 반면, <명량>은 그를 비(非)재현한다는 데 차이가 있다. 요컨대 <명량>은 민족/국민을 적극적인 발화주체가 아니라 영화의 바깥에 있는 객관적 관찰자의 자리에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두 영화는 모두 ‘아들’을 극중에 등장시킨다. 하지만 <명량> 속 아들 이회는 <난중일기>의 아들과 달리 전투에 참전하지 않고, 이후 후세대인-우리의 모습으로 변모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문제들을 검토해보며, <난중일기>와 <명량>이 이순신과 같은 ‘정전’을 재현하는 데 있어 비판적 개입의 시선이 아니라 관조·관망의 시선에 머물러 있음을 논의해본다. 그리고 이것이 궁극적으로는 ‘불멸’이 아닌 ‘영원’으로서의 역사를 기억하는 태도라는 사실을 밝힐 것이다. This study is diagnosing the problem the way of reproduction with comparing with the picture-texts about the life of a great man, Yi Sun-sin, <War Diary of Yi Sun-sin(Nanjung ilgi)>(1977) and <Roaring Curruents> (2014). at 1970s, Park Jung-hui``s political power emphasized justification for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by making discourse of Yi Sun-sin, and made Yi Sun-sin``s image overlap with his image. the movie <War Diary of Yi Sun-sin(Nanjung ilgi)> was came in to this context of the times, it is considered the texts to being able to understand the day of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whereas, it is absent that the objective historical sources in <Roaring Currents> to reflect recent political situation by contrast with <War Diary of Yi Sun-sin(Nanjung ilgi)>. however, in regard to remembering ‘history’, it is necessary to politically catch from the point of view of indicating tendency to unquestioningly accept it without reinterpretation. specially, <Roaring Currents> concentrated ‘spectacular’ description of the combat scene in contrast with <War Diary of Yi Sun-sin (Nanjung ilgi)> to do the narration for constituting his life. but it suggested only the nation or nation formal titled Yi Sun-sin with focusing on realization of the ‘spectacular’ scene, and described the subject(people) as untalk-able or dead being and the speech being unlike Yi Sun-sin as traitor. furthermore, the real form of traitor mark is too ambiguous and uncertain for <War Diary of Yi Sun-sin(Nanjung ilgi)>. within the point of the traitor character, ‘Bae-sul’, in <War Diary of Yi Sun-sin(Nanjung ilgi)> symboled latent traitor could speech the ‘other’ every time, it understands the result to reflect a guard consciousness of governing system to neoliberal main agent. although the two of movies are common to inspiring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ethnicity, while <War Diary of Yi Sun-sin(Nanjung ilgi)> suggested ethnic/national imagination taken with governing system to suggest ethnic forms, <Roaring Currents> presented those. in short, <Roaring Currents> situates the people/nation as not active speaker but the position of objective watcher at outside from the movie. lastly, ‘son’ was appeared in two movies. but the son , Lee Hoe, in <Roaring Currents> didn``t enter the war unlike the son in <War Diary of Yi Sun-sin(Nanjung ilgi)>, then he was transformed by way of future generation-our form. this paper examines this problem. to present ‘canonical’ like Yi Sun-sin at <War Diary of Yi Sun-sin (Nanjung ilgi)> and <Roaring Currents> is discussed from not critical intervention but contemplative/wait-and-see point of view. and this ultimately discloses the fact that attitude to remember the history as not ‘immortality’ but ‘eternity.

      • 개인 성향과 협업필터링 기반 영화 추천 시스템 성능 향상

        장슬기 ( Seul Ki Jang ),박두순 ( Doo-soon Park ),정영식 ( Young-sik Je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1

        협업필터링 방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추천 시스템이다. 그런데 협업필터링 방법은 희박성, 확장성 그리고 투명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성향 중 장르, 성격, 나이, 성별, 혈액형, 지역 등을 고려하여 희박성 문제를 개선한 영화 추천 시스템을 제시한다. 즉, 개인 성향 정보에 따라 가장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들을 분류하고, 그 분류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개선된 영화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SCOPUS

        보리 도정이 Fusarium 곰팡이독소 저감에 미치는 효과

        슬기,이미정,나주영,임수빈,최정혜,최장남,자영,양정욱,이데레사,Seul Gi Baek,Mi-Jeong Lee,Ju-Young Nah,Soo Bin Yim,Jung-Hye Choi,Jang Nam Choi,Ja Yeong Jang,Jung-Wook Yang,Theresa Lee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곡류의 도정은 곰팡이독소의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보리에서의 도정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트리코테씬과 제랄레논 독소에 오염된 겉보리 7점과 쌀보리 4점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정 비율에 따라 도정하였다. 두 종류의 보리는 데옥시니발레놀과 아세틸 유도체(98.1-2,197.8 ㎍/kg), 니발레놀과 아세틸 유도체(468.5-3,965.1 ㎍/kg), 제랄레논(4.1-274.2 ㎍/kg) 등에 동시에 오염되어 있었다. 겉보리를 67%로 도정한 결과 데옥시니발레놀은 90.9%, 니발레놀은 87.7%, 제랄레논은 93.2%가 각각 감소하였다. 70%로 도정한 쌀보리의 경우는 데옥시니발레놀 88.6%, 니발레놀 80.2%, 제랄레논 70.1%이 각각 감소하였다. 두 보리 모두 데옥시니발레놀과 니발레놀의 아세틸 유도체는 100% 감소하였다. 그러나 보리겨는 도정 전 보리에 비해 곰팡이독소가 크게 증가하였다. 겉보리의 겨에서는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제랄레논이 각각 평균 357%, 252%, 169% 증가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쌀보리의 겨에서는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제랄레논이 각각 337%, 239%, 554%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낟알의 외피에 존재하는 곰팡이독소가 도정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정을 통해 곰팡이독소가 낟알에서 겨로 집적됨에 따라 보리겨를 인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독소의 오염 수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Milling can affect the distribution of mycotoxins in small grai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barley, seven hulled barley and three naked barley samples naturally contaminated with trichothecenes and zearalenone were obtained and milled at commonly used rates. Both barleys were simultaneously contaminated with deoxynivalenol and its acetyl derivatives (98.1-2,197.8 ㎍/kg), nivalenol and its acetyl derivative (468.5-3,965.1 ㎍/kg), and zearalenone (4.1-274.2 ㎍/kg). Milling hulled barleys at a rate of 67% reduced the mycotoxins in the grain by 90.9% for deoxynivalenol, 87.7% for nivalenol, and 93.2% for zearalenone. The reduction in naked barleys (milled at a rate of 70%) was slightly lower than in hulled barleys, with 88.6% for deoxynivalenol, 80.2% for nivalenol, and 70.1% for zearalenone. In both barleys, the acetyl derivatives of deoxynivalenol and nivalenol were reduced by 100%. However, barley bran had significantly higher mycotoxin concentrations than the pre-milled grains: bran from hulled barley had a 357% increase in deoxynivalenol, 252% increase in nivalenol, and 169% increase in zearalenone. Similarly, bran from naked barley had a 337% increase in deoxynivalenol, 239% increase in nivalenol, and 554% increase in zearalenone. These results show that mycotoxins present in the outer layers of barley grain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rough the milling process. As milling redistributes mycotoxins from the grain into the bran, however, it shows that advance monitoring of barley bran is recommended when using barley bran for human or animal consumption.

      • KCI등재

        맥류 종자의 페룰산(ferulic acid) 함량과 붉은곰팡이 저항성

        슬기(Seul Gi Baek),김소수(Sosoo Kim),자영(Ja Yeong Jang),김점순(Jeomsoon Kim),이데레사(Theresa Lee) 한국식물병리학회 2020 식물병연구 Vol.26 No.4

        페룰산 함량이 붉은곰팡이병과 곰팡이독소 저항성 곡류 육종의 선발지표가 될 수 있는지 알기 위해 밀, 보리, 벼 육성 품Table 4. Comparison of barley and wheat for trichothecenes produced by head blight pathogens Pathogena Trichothecene level (μg/g)b t value P-value Wheat Barley Fg(PH-1)-DON 3.86±2.92 6.16±0.28 -2.12051 0.078 Fg(Z34)-DON 3.48±2.62 4.77±2.07 -0.85405 0.426 Fa(W1D)-DON 4.41±0.77 4.75±0.73 -0.74320 0.485 Fa(#73)-NIV 3.04±2.54 5.90±0.60 -2.97238 0.025 Mean 3.69±1.51 5.40±0.40 -2.64047 0.039 aSpecies (isolate name)-trichothecene chemotype: Fg, Fusarium graminearum; Fa, F. asiaticum; DON, deoxynivalenol; NIV, nivalenol. bCalculated as a mean of trichothecene levels±standard deviation. Fig. 2. Trichothecenes produced by head blight pathogens in barley and wheat cultivars and ferulic acid content. The cultivars with w and b indicate wheat and barley, respectively. The pathogen names appear in parentheses. DON, deoxynivalenol; NIV, nivalenol; Mean, mean of toxin levels; FA, ferulic acid. Research in Plant Disease Vol. 26 No. 4 255 종 80점의 페룰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페룰산 함량은 보리 20품종이 1.66‒2.77 mg/g, 밀 40품종이 0.56‒1.53 mg/g이었으며 벼20품종은 0.91‒2.13 mg/g이었다. 이 중 페룰산 함량이 다른 밀과보리 각 7품종을 선정하여 F. graminearum과 F. asiaticum 각 2균주의 붉은곰팡이병과 독소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밀 품종의 평균 병원성은 페룰산 함량이 높은 보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밀 품종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곰팡이독소도 병원성과 같이 페룰산 함량이 낮은 밀이 보리보다 생성량이 낮았다. 그러나보리에서는 F. asiaticum 균주의 병원성과 독소 생성량이 페룰산 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페룰산 함량이 밀과 보리에서 F. graminearum과 F. asiaticum에 의한 붉은곰팡이병과 독소 생성에 저항성 요인이 아님을 보여준다. In order to find if a ferulic acid (FA) can be used as a selection index in cereal breeding for resistance to head blight and mycotoxin production, we analyzed FA in the grains of 80 cultivars of barley, rice, and wheat. FA content ranged 1.66-2.77 mg/g in barley (n=20), 0.56-1.53 mg/g in wheat (n=40), and 0.91-2.13 mg/g in rice (n=20). Among these, 7 cultivars each of barley and wheat with different FA content were tested for head blight and mycotoxin production by 2 Fusarium graminearum and 2 F. asiaticum strains. Mean pathogenicity of the wheat cultivar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barley with higher FA and among wheat cultivar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FA content and pathogenicity. Mycotoxin production was also lower in the wheat than in the barley as pathogenicity. However, pathogenicity and toxins produced by F. asiaticum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 content in barle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A is not a resistance factor to head blight by F. asiaticum and F. graminearum or its mycotoxin production in barley and wh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