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브라질 산림 감소에 영향을 준 경제활동 분석

        장수환(Jang, Su 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1 중남미연구 Vol.40 No.4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은 광물 채굴과 소 방목 및 대두를 비롯한 농산물 생산으로 벌채와 악화의 위협에 처해있다. 특히 수출을 목적으로 하는 대규모 생산과 채굴에 대한 국제수요는 복잡한 공급망 속에서 더욱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브라질 산림 감소에 영향을 미친 동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벌목과 화재로 인한 산림 피복 제거 후의 경제활동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활동은 광물 채굴, 목축업, 농업으로 이에 대한 생산 및 수출 동향을 분석하였다. 광산 활동은 이미 보호구역으로 설정된 지역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목축업의 경우 쇠고기 수출량은 1961년 1만 3773톤에서 2019년 166만 183톤으로 120배 증가하였다. 농업의 경우 1961년에서 2019년까지의 면화, 커피, 설탕, 옥수수와 대두의 수출량 자료를 통해 증가 규모를 파악하였고, 특히 대두의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data on production and export trends were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driving forces that affected the deforestation in Brazil. The main activities after logging and fire were mineral mining, cattle raising and agriculture. Mining activities have been booming in areas that had already been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In the case of livestock farming, beef production increased 120 times from 13,773 tons in 1961 to 1.66 million tons in 2019. In the case of agriculture, the export amounts of cotton, coffee, sugar, corn and soybeans were analyzed from 1961 to 2019. It was shown that the increase in the harvest area was more significant role than the increase of the yield in expanding of soybean production and export.

      • KCI등재

        글로벌화된 애그리비즈니스(Agribusiness) 의 인과관계 분석 -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대두 농업을 중심으로 -

        장수환 ( Jang Su-hwan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12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9 No.1

        Globalization has fundamentally changed agriculture across Latin America, especially in Brazil and Argentina. This study is written to discuss the causality analysis of soybean plantation in Brazil and Argentina as a globalized agriculture, agribusiness or agro-industry which contain the several features, such as large plantation, internationally powerful investor and land owner as well as degradation of forest or ecosystem and exploitation. The rapid expand of Brazilian and Argentine soybean industry has been understood in a context of world agro-food system. Globalizing agriculture and food refers to a transnational space of cooperative agriculture and food relations integrated by commodity circuits. The production of soybean has jumped in Brazil and Argentina since 1990, and the soybean production of these countries has outpaced that of USA since 2002. In 2008, the Brazil's export of soybean reached at 24,900 thousand ton placing the nation in the second after USA. The cultivation areas of soybean have expanded to the Cerrados and the region of Legal Amazon. As Argentina has expanded the soy cultivation areas to north areas like Chaco, Santigo del Estero, Salta and Formosa across Pampas, the forest degradation has been witnessed during this process. The increase of soybean production has been supported by the dramatical increase on demand of soybean in China and EU, and the introduction of GM soybean has played a great role in increasing of soy production. The Causality loop diagram suggests the diverse causes and effects of the global soybean trade in the case of Brazil and Argentina.

      • KCI등재

        아바나 열환경 평가와 건축요소 변화

        장수환(Jang, Su-Hwan),박일수(Park, Il-Soo),전주람(Jun, Ju-Ram),최한결(Choi, Han-Gyeol)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7 중남미연구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아바나의 열환경을 평가하고 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요소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아바나 내 18개 지점에 대해 2016.02.29 – 03.11의 288 시간 동안의 풍속, 풍향, 냉각속도를 TAPM model을 이용하여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지역간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의 차이의 최고값은 4.6℃ 이었으며, 최저값은 0.1℃ 이었다. 기온변화의 폭은 해안이나 아바나만 인근(bay)의 지역이 내륙이나 서쪽 지역보다 작았다. 아바나 연구지역의 우세한 풍향은 북동풍에서 동풍이었다. 풍속은 지역에 따라 변화를 보였는데 해안이나 아바나 만 지역이 내륙이나 서쪽 지역보다 강한 바람 특성을 보였다. 아바나 18개의 지점에 대한 기상모델 결과 아바나의 열환경은 인공구조물의 영향을 받기보다는 해풍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중 불어오는 해풍에도 불구하고 건물 내부 열환경은 쾌적하지 않다. 식민지 시기의 건축물이 스페인의 남부의 건조한 기후를 고려하여 지어졌고 고온 건조지역의 특징인 안마당과 연속적인 주택 배열이 아바나 거리의 모습이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내향적인 특성을 가진 이슬람 전통의 영향도 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에 의한 자연 통풍은 주민들의 열 민감성을 줄이거나 열 쾌적성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중요하고 에너지절약을 위해서라도 통풍을 고려한 건축 요소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building located in Havana on the meteorological factors was evaluated and the chronological change of the building elements affecting the thermal environment were reviewed. The wind velocity, wind direction, relative humidity, and cooling rate for 288 hours of 2016.02.29 - 03.11 were analyzed spatially and temporally for 18 points in Havana using TAPM. The maximum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was 4.6 ℃ and the minimum value was 0.1 ℃. The temperature variance was smaller in the bay and coastal areas than in the inland and western areas. The predominant wind direction of the study area was the east and northeast wind. The wind speed varied depending on the area. The inland and western areas showed weaker wind than bay and coastal areas. The weather model results for 18 stations in Havana indicate that the thermal environment is affected by sea winds rather than the effects of artificial structures. However, despite the year-round breeze, the thermal environment in the building is not favorable. The colonial architecture was built in Havana considering the dry climate in southern Spain, houses built in the hot but arid southern Spain became the appearance in hot and wet Havana. It was also influenced by Islamic traditions with introverted characteristics. Natural ventilation by wind is important in that it is the only way to bring residents a hot comport, a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building element considering ventilation.

      • KCI등재

        아스떼까 시대 농업과 물관리를 통해 본 취약성과 적응

        장수환(Jang, Su 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3

        아스떼까가 위치했었던 멕시코 고원(Valle de México)은 최소 해발 2200m의 고지로 우기에는 이 고원 면적의 1/4이 물로 잠겼고, 건기에는 북부의 숨빤고(Zumpango)와 살또깐(Xaltocán), 중부의 떼스꼬꼬(Texcoco), 남부의 소치밀꼬(Xochimilco)와 찰꼬(Chalco) 등의 소규모 호수를 형성하면서 물이 빠졌다. 아스떼까 인은 지형적 특성과 농업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과 농업 등의 목적에 따라 담수를 끌어오고 홍수에 방어할 수 있는 수로와 배수체계를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멕시코 고원의 유역(watershed)과 수계(water system)에 초점을 두고 자연환경의 제약 내에서 아스떼까 인의 방식으로 농업과 물관리를 통해 환경에 적응해 나간 방법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치남빠스와 외부 간의 순환경제적 특성을 유입과 배출, 그리고 순환의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호수별 취약성과 그에 따른 아스떼까 인의 적응 방법을 기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분류하였다. The Aztec was located on the Valley of Mexico with closed hydrologic system. There were main five lakes in the era of Aztec, Zumpango and Xaltocán in the north, Texcoco in the middle, and Xochimilco and Chalco in the south reg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griculture and water use in city states, the Aztecs created waterways and drainage systems that could draw the fresh water in settlements and brackish lakes to supply freshwater for daily life and agriculture, as well as to keep their settlements from flood. Above all chinampas were introduced as agriculture method in a relatively shallow lakes. There are many references on the chinampas and water management in which mainly discussed partly in the descriptive process of social, economic, or political issues in Aztec era.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focuses on the vulnerability of the watersheds and water systems of the Valley of Mexico in the era of Aztec and the way in which they adapted.

      • KCI등재

        에콰도르의 풍력자원 경제성 평가

        장수환(Jang, Su-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2

        본 논문에서는 에콰도르의 풍력발전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잠재성이 높은 9곳에 대하여 관측지점에서의 연간에너지 생산량을 예측 및 산출하고 이에 대한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세계기상기구에 보고된 에콰도르 45곳의 종관기상자료(SYNOP, Surface Synoptic Observation, numerical code FM-12) 분석 결과 풍력 발전을 운영할 수 있는 3 m/s 풍속 이상인 곳은 에콰도르 해안지역과 갈라파고스 섬 그리고 안데스 산맥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데스 지역을 중심으로 풍속이 3m/s 이상인 9곳의 측정소를 대상으로 풍력자원을 평가하여 풍력량을 산정하였다. 안데스 지역에 위치한 9개 관측소의 연평균 풍속은 4.2 m/s로 평가되었다. 인긴쵸(Inguincho) 측정소에서는 연평균 5 m/s 이상인 것으로 평가된 반면, 가장 낮게 측정된 또말론(Tomalon) 측정소에서도 3.5 m/s로 측정되어서 안데스 산맥의 풍속이 풍력 발전에 적합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월별 평균 풍속은 모든 측정소에서 7~9월에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분석된 바람의 특성과 Weibull function을 근거로 9곳의 관측지점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평가를 하였다. 산출된 9곳의 관측지점에 대한 연간 에너지 생산량(AEP)을 근거로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을 이용하여 풍력발전 잠재성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내부수익률로 본 풍력 터빈의 경제성평가 결과 80m, 100m 터빈에서의 연간평균전력생산량이 수익성이 있는 지역은 인긴쵸(Inguincho)였다.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10 유로(€) 이상으로 오르는 경우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지역은 리오밤바(Riobamba) 한곳이 더 추가되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wind energy potential in Ecuador. The assessment of wind speed and direction is the first step to predict the initial feasibility of generating electricity from wind power in a given region. The wind characteristics at 45 observations in Ecuador from 2000 to 2011 with SYNOP (Surface Synoptic Observation), that is numerical code (called FM-12 by WMO), have been analyzed. The wind resource in this study has been assessed at 9 observations on the Andes Mountains above 3.5 m/s. The annual average wind speed at 9 observations was 4.2 m/s. The strongest wind speed, above 5 m/s, appeared at Inguincho. The wind speed above 4 m/s appeared at Latacunga, Riobamba and Loja. The weakest wind speed appeared at Tomalon with 3.5 m/s. From the Internal Rate of Return (IRR) in Ecuador, it was revealed that it was profitable to the wind turbine at Inguincho, and the wind energy generation can be profitable under a proper subside from the government. We can see that the profitability of wind turbine, considering the carbon price 10 €/ton, can be ensured Riobamba besides Inguincho.

      • KCI등재
      • KCI등재

        쿠바 아바나에서 고정오염원의 대기오염 예측 및 평가

        박일수(Park, Il-Soo),장유운(Jang, Yu-Woon),장수환(Jang, Su-Hwan),김희선(Kim, Hee-Sun),오수경(Oh, Soo-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7 중남미연구 Vol.36 No.1

        쿠바 아바나 지역에서 건기(2015. 2. 3~2. 12)와 우기(2015. 9. 10~9. 19)에 각각 10일 동안 TAPM 모델을 활용하여 기상 및 대기오염(SO2, NO2, PM10, PM2.5) 농도를 예측하였고, IOA(Index of Agreement) 등을 통해 예측치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건기 기간에는 북동풍, 우기에는 동풍이 우세하였고, 풍속은 건기에 비해 우기에 약했다. 대기오염 농도는 우기에 높았으며, 정유정제소, 화력 발전소 등이 밀집된 아바나만 주변에서 최고 농도가 발생하였다. 아바나 남쪽 외곽에 위치한 PM10 최대 배출원인 제철소 부근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와 강한 풍속으로 인해 아바나만 주변보다 낮은 농도를 보였다. 해발고도가 낮고 풍속이 약한 아바나만 주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대기오염 감시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바나 지역에서 TAPM 모델에 의해 예측된 기상 및 대기오염 농도 예측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대기오염 예보 등 감시 시스템의 구축에 TAPM 모델을 과학적으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SO2, NO2, PM10, PM2.5) in Havana, Cuba were predicted and evaluated by TAPM (The Air Pollution Model) during the dry (3 February 2015 to 12 February 2015) and wet (10 September 2015 to 19 September 2015) seasons. The prevailing wind direction during the dry and wet season was northeast and east respectively. The wind speed during the dry period was higher than during the wet season.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in wet season was higher than concentrations in dry season. The maximum concentrations of all air pollutants were occurred in neighbored Regla and Vieja near Havana Bay where the major sources of gaseous air pollutants from oil refineries and an electric generating station are located. In Havana Bay, the maximum concentrations resulted from the low elevation and weak wind speeds. The concentrations in Cotorro where there are the major sources of particle matter from smelter operations(located 10 km away) to the south from central Havana were the lower than the concentrations in Havana Bay due to the higher wind and higher elevation. TAPM can be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and monitoring air pollutants and for developing the road-map for reducing emissions of air pollu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