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의 결합 가능성

        장성규(Jang, Sung-kyu)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2 No.-

        본 논문은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을 중심으로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적 실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텍스트는 이질적인 매체인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고유한 매체적 특성을 살리기 위한 독특한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들 미학적 실험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이 텍스트는 게임 서사가 지니는 비선형적 성격을 재현하기 위해 영상 매체를 게임 내부 서사와 게임 외부 서사의 두 겹 이야기 구조로 설정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영상 매체에서 재현 불가능한 게임 서사를 텍스트의 속 이야기 층위에서 구현하는 것에 성공할 수 있었다. 둘째, 게임 서사의 캐릭터 재현 과정에서 영상 매체가 지니는 특성을 활용하여 직접적인 이미지 제시를 통해 캐릭터를 구현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영상 매체는 시각적 이미지 재현에 특화된 성격을 지니며, 이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게임 서사의 캐릭터 특성을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셋째, ‘나비’ 이미지 등 도교적, 불교적 사유의 시각적 재현을 통해 텍스트의 주제 의식을 환기시키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관념적인 사유를 이미지 스토리 텔링을 통해 구체화시켜 제시하기 위한 중요한 실험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와 같이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은 게임 서사와 영상매체라는 이질적인 매체를 독특한 실험을 통해 결합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선구적인 뉴미디어 텍스트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various technical experimental aspects in the process of combining game narrative and film media mainly with the director Jang, seonwoo’s film <Resurrection of the Little Match Girl>. This text is remarkable in respect of performing a unique test to raise the original medium characteristic of each in the process of combining game narrative and film medium, which are different media each other. These esthetic experimental strateg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First, this text set the image medium into dual story structure of internal game narrative and external game narrative in order to realize the nonlinear characteristic of game narrative. As the result, this research could succeed in realizing the game narrative impossible in reproducing in general film medium in the story layer in the text. Second, this research utilized a strategy to realize the character through direct image suggestion utilizing the image medium in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game narrative character. Film medium has a characteristic specialized in the visual image realization, by properly utilizing this. Third, this research shows a characteristic to air out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text through the visual expression of Taoistic, Buddhistic thinking as ‘butterfly’ image, etc. This is remarkable in respect that it is an important experiment to concretize and suggest the ideological thinking through image storytelling. This way, director Jang, seonwoo’s film <Resurrection of the Little Match Girl> can be evaluated as an advanced new media text, in respect of combining the different media, game narrative and film medium through the unique experiment.

      • KCI등재

        1940년대 전반기 한국어 소설 연구 -『춘추』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장성규 ( Jang Sung-ky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7 No.-

        1942년 이후 『춘추』지에 발표된 소설들 중 상당수는 당시 국책문학으로 포획되지 않으면서 한국어로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기존의 연구는 이 시기를 `암흑기`, 또는 `국민문학기`로 규정하면서 이와 같은 한국어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를 간과해 온 것이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이태준의 「사냥」, 「무연」, 윤세중의 「투견기」, 박노갑의 「소창」, 이기영의 「공간」등의 작품은 사적 공간의 형상화를 통해 파시즘의 압력을 우회하려는 작가의 내면 의식을 보여준다. 그리고 유진오의 「정선달」, 황순원의 「그늘」등의 작품은 식민주의적 담론으로 귀결되지 않은 채, 전통 담론을 통해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성찰과 민족적 정체성에 대한 의식을 보여준다. 한 편 박계주의 「육표」, 송산실의 「한등」등의 작품은 만주 환타지로 환원되지 않는 실제 만주의 신산한 삶을 과거 시점의 서사 전략을 통해 증언하고 있다. 그리고 김영석의 「상인」, 최인욱의 「멧돼지와 목탄」등의 작품은 국책문학으로서의 생산소설을 벗어나 당시 `신경제 윤리`에 대한 개체들의 `잡음`을 형상화하며 역으로 그 허구성을 지적하는 성과를 낳고 있다. Many of the novels that had been presented in Choonchoo(『春秋』) since 1942 must be dealt as an very important works, due to the fact that they were not included in the literature of the national policy but written in Korean. Existing studies have looked over the literary-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m, which was caused by the recognition th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late 1930s to 1945 was `a dark age`, or `a kookmin-literature(국민문학) period`. But many novel in this period shows various types of subject not included in the Japanese imperial policies. First, Lee Taejoon`s < Hunting >and < Unrelated >, Yoon Sejoong`s < Watching a dogfight >, Park Nogap`s < Respite >, and Lee Kiyoung`s < Space > shows the inner prospective landscape of each novelist, who protect himself from and detour around the pressure of fasism, through representing his private territory. Second, Yoo Jino`s < Seondal Jung > and Hwang Soonwon`s < Shade > shows the reflections to the colonial modernity and the ethnic identity through attempting the tradition discourse, not the colonial one. Third, Park Kyejoo`s < Nautical mark > and Song Sanshil`s < Lonely light > testifies clearly a hard and desolate Manchurian life not based on the fantasy through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past viewpoint. Finally, Kim Youngseok`s < Merchant > and Choi Inwook`s < Wild boar and Charcoal >, beyond the literature of the national policy, represent individual `noises` around the `the principle of New economics` and succeed in debunking its falsehood.

      • KCI등재후보

        충북 지역 현대 문학 유산의 문화콘텐츠화에 관한 연구

        장성규(Jang, Sung-kyu)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5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0 No.-

        본 논문은 충북 지역의 현대문학 유산의 문화콘텐츠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충북 지역에는 정지용, 홍명희, 조명희, 오장환 등 한국현대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상을 지니는 작가들의 문학 유산이 존재한다. 반면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기획하려는 시도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은 크게 4가지의 문화콘텐츠 기획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옥천의 정지용 생가를 중심으로 그의 시에서 두드러지는 ‘고향’의 중층적 성격을 음악, 회화, 영상 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현하는 것이다. 둘째, 괴산의 홍명희 생가를 중심으로 ‘임꺽정’ 표상을 공간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발턴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 스토리텔링을 기획하는 것이다. 셋째, 진천의 조명희 생가를 중심으로 다문화시대 디아스포라적 문화지리학의 체험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다. 넷째, 보은의 오장환 생가를 중심으로 그의 시에서 두드러지는 아동 대상의 콘텐츠를 특화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획을 통해 충북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한국현대문학 유산의 문화콘텐츠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문학 유산의 공공재적 성격을 복원하기 위한 인문학적 사유를 촉발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possibility of contents development with modern Korean literary inheritance of Chungbuk area. There is literary inheritance of writers who have very important position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like Jeong Jiyong, Hong Myeonghee, Jo myeonghee, Oh Jangwhan etc. in Chungbuk area. On the contrary, it is true that the attempt to plan various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is is absolutely deficiency. To overcome this limit, this study is to suggest mainly 4 cultural contents plans. First, centering on birthplace of Jeiong Jiyong in Okcheon, reproducing a doubled characteristic of "hometown", which is outstanding in his poem, through various medias like music, painting, visual media etc. Second, centering on birthplace of Hong Myeonghee in Guisan, restructuring a symbol of "Yim Ggukjeong" in space, and based on this, planning space storytelling in which people could experience subaltern history. Third, centering on birthplace of Jo Myeonghee in Jincheon, structuring a space to experience diaspora cultural geology of multicultural period. Fourth, centering on birthplace of Oh Jangwhan in Boeun, making contents on children specialized, which is outstanding in his poem. Through plans like these, we could confirm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with Korean contemporary literary inheritance which is distributed in Chungbuk area, and need to trigger humanistic reason to restore the characteristic of literary inheritance as public good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 문학 "외부" 텍스트의 장르사회학 -서발턴 문학사 서술을 위한 시론적 문제제기-

        장성규 ( Sung Kyu J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4

        기존의 문학사는 소수의 문화적 엘리트층을 주체로 설정하여 서술된 한계를 지닌다. 그 결과 충분한 문화 자본과 상징 자본을 확보하지 못한 다수 서발턴의 목소리는 문학사 ‘외부’로 추방되었다. 그러나 현재 문학의 민주주의를 고민하는 연구자에게 이들의 목소리를 새롭게 복원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판단된다. 이 글은 위와같은 문제의식으로부터 기존의 문학사 ‘외부’로 추방된 다양한 텍스트들을 새로운 ‘문학’의 틀로 호명하기 위한 시론적 문제제기를 수행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의 문학 장 ‘외부’로 추방된 수기, 르포, 유언비어, 괴담, 소문, 패러디 등의 텍스트를 복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기존의 문학 장에 진입한 텍스트의 이면에 일종의 흔적으로 남겨진 서발터니티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텍스트 다시-쓰기의 전략을 활용할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비로소 문학사는 소수 문화적 엘리트층의 전유물이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역사’로 재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was described from an elitism perspective. As a result, many subalterns, who didn``t have enough cultural capital and symbolic capital, were expelled from ``inside`` of literary history.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to restore their voices for researchers who are concerned with democracy of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recall various texts expelled from inside of literary history reforming the concept of ``literature``.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s two methodologies. First of all, this study suggests to restore various texts expelled from inside of literary field such as memoirs, reportages, rumors and parodies. Secondly, this study suggests to trace subalternities which remain in the hidden side of literary texts and to make use of re-write strategies. In these ways, literary history will be recognized anew as ``the history from bottom``.

      • KCI등재

        공동주택 전기실 관점에서의 침수피해 사례연구 및 수방기준 적용에 관한 연구

        장성규(Seong-Kyoo Jang),최태희(Tae-Hee Choi),손진근(Jin-Geun Shon) 대한전기학회 2021 전기학회논문지 P Vol.70 No.1

        In Korea, flood damage caused by heavy rains occurs frequently. In addition,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apartment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due to this, the electrical room located on the basement floor of the common part of the apartment is flooded. In the event of flooding damage, secondary property damage and personal injury may occur to many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s. The case of flood damage in the electric room was investigated and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In this paper, as a solution to this, the ground arrangement of the electric room was suggested, and additional preventive measures were also suggested. Therefore, to better adapt to climate change during the rainy seas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lectric room arrangement and waterproofing standard plans strategically. It is judged that there must be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proposed solutions to be realized.

      • KCI등재

        수행성의 미학을 위한 텍스트의 전략들

        장성규(Jang, Sung-kyu)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4

        기존의 『노동해방문학』을 비롯한 1980년대 문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 정치적 급진성의 층위에 국한된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정작 텍스트의 층위에서 활발히 수행된 다양한 미학적 급진성의 전략에 대한 연구는 간과되어왔다. 그러나 『노동해방문학』을 실증적인 방식으로 검토한 결과 기존 연구의 ‘편견’과는 다른 미학적 급진성의 전략을 추출할 수 있었다. 『노동해방문학』은 관습화된 엘리티즘적 ‘문학’ 개념을 ‘위반’하기 위해 지배적 문화 양식의 급진적 패러디와 기호의 재배치 전략, 장르에 대한 해명에의 요구와 폐기의 담화 전략, 수행적 모순의 전략 등을 활용한다. 동시에 사노맹이 지니는 조직적 특성을 활용하며 대중을 저항 주체로 호명하기 위해 하나의 텍스트를 다층적인 장에 적합하게 재배치하여 유통시키는 전략 역시 활용한다. 이러한 사실은 『노동해방문학』이 정치적 측면 뿐 아닌, 미학적 측면에서도 상당한 급진성을 기획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노동해방문학』이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는 것은 단순히 그것이 당대 정치적 급진성을 문학 텍스트에 투영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오히려 기존의 규범화된 문학적 규율을 위반하며 새로운 문학의 민주주의를 고민했다는 점, 텍스트의 다층적인 유통 기획을 통해 대중을 저항주체로 호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획을 실험했다는 점이 『노동해방문학』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의일 것이다. Previous research on the literature of the 1980s including 『Nodonghaebangmunhak(Emancipation Literature)』 usually tended to be limited to a stratum of political radicalism. As a result, study on the various strategies of aesthetic radicalism actively performed in the stratums of the text was often overlooked. But an empirical review of 『Nodonghaebangmunhak』 shows that there are aesthetic radicalism strategies that can be drawn from the text, unlike what was known through ‘prejudices’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transgress’ the concept of ‘literature’ as a conventionalized elitism, 『Nodonghaebangmunhak』 radically parodies the literature formats of the aristocracy, reorders signs, uses the strategy of demanding or abolishing explanations of genre in its discussions, as well as performative contradiction strategies. At the same time, using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anomang"(Alliance of Socialistic Laborers in South Korea), in order to interpellate the public as agents of resistance, it appropriately redistributes a single text into several layers of parts and enables circulation amongst them. Such a fact reveals that 『Nodonghaebangmunhak』 plans for a radicalism that is not only political in its aspect but also considerably aesthetic. The reason that 『Nodonghaebangmunhak』 has such a significant meaning in literary history is not simply because it projects the political radicalism of those days into literary texts. Rather, the significance of 『Nodonghaebangmunhak』 in literary history is that it transgresses the existing standardized literary norms to contemplate a new literary democracy, and experiments with specific plans to interpellate the public as agents of resistance through multi-layered circ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200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타자 형상화 방식의 변화 과정 연구

        장성규(Jang, Sung-kyu)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4 No.-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way to represent the others of korean novels in 2000’s. In the initial stage, these novels, such as Oh Soo-Yeon’s ‘Don’t die, Abu Ali’, tended to use nonfictional narrative methods. Henceforward, in her collection of short stories Golden Roof she combined both nonficti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This helped her show awareness about the others and her distinctive ‘narrative-identity’ generated from her narrating. Henceforward, novels about the problems of the others increased, and these novels dealed with the others from sympathetic points of view. These had limits that stereo-typed characters appeared in these novels. However, Kim Jae-young’s ‘Elephant’ brought the other as ‘Homo Sacer’ into being and provided tremble to threat structure of speculation of subject. After 2010, young writers tend to use ‘lively’ narrative method to suggest solidarity of minorities. Conventional national boundarie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are deconstructed, and solidarity of minorities, which were alienated from global world-systems, is suggested in Choi Min-seok, Cho Hae-jin and Kim Hee-seon’s works.

      • KCI등재

        한국현대르포문학사 서술을 위한 시론

        장성규 ( Jang Sung-kyu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이 글은 한국현대르포문학사 서술을 위한 시론적인 문제제기를 수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주요 르포 문학 텍스트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이로부터 르포 문학 고유의 미학을 추출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미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박태순, 김남일, 정지아 등의 르포에서 나타나는 공적 담론장 `외부`의 증언과 다른 `리얼리티`의 복원 가능성이다. 이는 르포 문학이 `문학` 텍스트이기에 가능한 것인 바, 공식적인 역사학이나 사회학의 관점에서 포착될 수 없는 미세한 `외부`의 `리얼리티`가 르포 텍스트에 잠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특히 황석영의 르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질적인 장르 혼종과 다성적 텍스트의 구성 원리이다. 르포 문학은 매우 다양한 서사 텍스트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들 이질적인 서사 장르들은 서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여 르포 텍스트의 고유한 서사적 구성 원리를 형성한다. 셋째, 공지영, 오수연 등의 르포에서 나타나는 기록자의 자기 인식과 서술적 정체성의 모색이다. 르포는 서술 주체인 기록자와 서술 대상간의 교섭과 충돌을 통해 서사가 진행되는 독특한 양식이다. 이 과정에서 기록자의 정체성은 서술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르포 문학 고유의 미학적 특성은 다른 서사 장르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성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성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ed at performing introductory problem presentation for the description of Korean modern reportage literary history. For this, firstly this research empirically investigated major reportage literary texts, furthermore, intended to extract inherent esthetics of report literature from this. As the result, three 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as follows. First, 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reality`, different from the `outside` testimony of public discussion that appears in reportages of Park taesun, Kim namil, Jeong jia, etc. This is possible since reportage literature is `literary` text, which means that minute `reality` of the `outside` which cannot be detected from the viewpoint of official historical studies or social studies underlies in report texts. Second, different genres mixture and composition principle of multi natured texts, particularly which outstandingly appear in Hwang seokyoung`s reportage. Reportage literature includes very diversified narrative texts, which different narrative genres form inherent narrative composition principle of report text by performing different role each other. Third, groping of self-awareness of the recorder and narrative identity that appear in the reportage of Gong jiyoung, O suyeon, etc. Reportage is a unique form to progress narration through the negotiation and conflict between recorder, the main agent of narration and the subject for description. In this process, identity of recorder shows an aspect to chang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for description. This esthetic characteristic of inherent reportage literature can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outcome in respect that it shows a unique characteristic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narrative gen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