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명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6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s on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on education and to draw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addresses on several topics as follows: our common misunderstandings about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on education; children's inherent knowledge and abilities, their learning about the evolutionarily novel knowledge and abilities in school, their difficulties in academic learning, an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and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from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on education has provided new insights how culturally importa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across generations in the past hunting-gathering societies and the modern societies, and how children's inherent motivational and behavioral dispositions affect their academic learning. In addition, the new perspective on education can be used to generate empirical hypotheses about children's science learning, and with the further research, could lead to useful implications and ultimately improve educational outcomes.
다중 차선에서의 차량 우선 처리를 위한 동적 중재 알고리즘
장명덕,유세근,김용득,Jang, Myung-Deok,Yoo, Se-Keun,Kim, Yong-Deak 대한전자공학회 1999 전자공학회논문지SC (System and control) Vol.s36 No.7
본 논문에서는 교통 정보의 수집, 처리를 위하여 다중 차선 상의 차량 및 노측 제어기간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차량 중재 방법들의 실시간 교통량 변화에 따른 통신 신뢰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최적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적용하는 동적 중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랜덤 지연 계수법 및 퍼시스트 기법에 의한 중재 방법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제안된 알고리즘을 평가한 결과 정적인 방법에 비해 향상된 신뢰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알고리즘은 트랜스폰더와 제어기간의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시스템에 응용 가능하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ynamic vehicle arbitration algorithm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a roadside control init on multilane environment. The suggested algorithm varies its parameter values according to the current vehicle arrival rate to get the maximum performance. To get the optimum parameter values, arbitration methods that use random delay counter and persist mechanism were taken into account and the performance of these methods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rrival rate was analyzed by computer simulation. After applying the optimum parameter values to suggested algorithm, it is shown that more enhanced reliability was acquired This algorithm could be applied to various systems which include the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ponder and a control unit.
장명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8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학생들은 왜 과학을 공부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유로운 서술 식 응답의 분석을 통해 그들의 과학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과학의 내 재적 가치 중시 관점과 외재적 가치 중시 관점에 대 한 응답 비율은 거의 같았고 이들의 응답은 매우 다 양하여 국내외 연구자들이 제시한 과학학습의 가치 가 거의 다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최하 위 범주의 세부항목 합리적인 의사결정자로서의 미 래 시민 육성에 관한 것에 대한 응답 비율은 매우 낮았다. 둘째,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약 30%는 내재적 가치 또는 외재적 가치 중 어느 하나에 편향 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과학을 왜 배워야하는가에 대한 학생의 질문에 대해 어느 하나의 가치 관점에 치우진 설명을 할 가능성이 높 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과학 의 본유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 두 관점 모두를 포함 한 균형 잡힌 인식의 기회가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the necessity of science learning. The eighty five student teachers in their second year of studi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freely wrote their thoughts on a question‘Why should students learn sc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responses were very diverse, so their responses contained almost all kind of values or arguments about the science learning suggested by research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ir response ratio between views of focusing on intrinsic values and views of focusing on extrinsic values; (2) About 30% of the participants had the biased conceptions on the necessity of science learning and they would be likely to explain their biased conceptions to their future studen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presented in this paper.
초등 과학 교과서의 교육과정 시기별 탐구 성향 비교 분석 : Romey 분석법을 이용한 선행 연구 결과 비교를 중심으로
장명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및 타 교과 교과서에대한 Romey의 참여지수를 보고한 선행 연구들의 비교를 통해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 과학 교과서의 탐구 성향의 변화 및 그 적절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문 지수(T)의경우, 제3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는 극히 탐구적인교과서로 판정되는 값이지만(T>18), 이후 지속적으로감소하며, 2007 개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각각 권위적(비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T=0.25)과 적절한 탐구 수준의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T=0.99)에 근접한다. 수시 개정 체제 이후 과학 및 타교과 교과서의 T값을 비교해보면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둘째, 그림 · 도표 지수(FD) 또한 교육과정 시기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이다(제3차 과학 교과서 : FD>2.75 → 2015 개정 과학 교과서 : FD=0.14). 특히 2015 개정 과학 교과서의 FD값은 비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수준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는 타 교과 교과서의 FD값과 비교해도 낮은 수치이다; 셋째, 과학교과서의 활동 지수(A)의 경우, 제3차부터 2015 개정교육과정 국정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하지만모두 탐구하기에 알맞은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이다(제3차 과학 교과서 : A=1.12 → 2015 개정 과학 교과서 :A=0.64). 하지만 7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 과학 교과서의 A값은 타 교과 교과서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다. 넷째, 과학 교과서의 질문 지수(Q)는 전술한 세 지수(T, FD 및 A)에 비해 극히 제한적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교육과정 시기별 과학 교과서 구성 체계의 차이가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and appropriateness of inquiry tendency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national curriculum period by comparing previous researches that reported Romey's Involvement Index in the science textbook and other subject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text index (T), the value of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tends to continue to decline overall. The value of science textbook based on the 3rd curriculum is judged to be extremely inquiry oriented and the value of the textbooks based on the 2007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re the values judged as somewhat authoritative textbook and as a textbook at the appropriate level of inquiry, respective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T values of other subject textbooks sin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econd, the index of figures and diagrams in the text (FD) of science textbooks also continues to decline by curriculum periods. In particular, the FD value of science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period is judged to be a authoritative textbook, which is lower than the value of other subject textbooks; Third, in the case of the activity index (A), i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hir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ut it is judged as textbooks suitable for inquiry. However,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value of A is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other subject textbooks; Fourth, for the index of the questions at the ends of chapters (Q), the value of Q is reported to be extremely limited compared to the aforementioned three indices(T, FD and A), which may be mainly due to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period.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과서 학습 주제별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분석 및 분석 활동의 교육적 효과 - ‘지구와 우주’ 영역 단원을 중심으로 -
장명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3∼6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와 우주’ 영역의 8개 단원 각 학습주제에 대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업에서 지도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의 특징 그리고 이러한 분석 활동의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가한 예비교사들은 분석 대상 총 59개 학습주제 모두에 대해 교사용지도서에 명시된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보다 훨씬 더 다양한 하위 요소를 수업에서 지도 가능하다고응답했다. 이러한 예비교사들의 응답에서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 중 ‘호기심’, ‘개방성’, ‘증거의 존중’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지도 가능성을 보인 반면에 ‘실패의 긍정적 수용’, ‘비판적인 마음’, ‘판단의 유보’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도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지도 가능하다고 판단한 3∼4학년군학습주제와 5∼6학년군의 학습주제 간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의 수나 하위 요소의 응답률 순서 모두에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교과서 속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 분석 활동의교육적 효과는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에 대한 이해 증진, 과학 수업 맥락에서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의이해⋅적용 안목 함양 등으로 나타났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현장학습 운영 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와 개선 방안
장명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초등과학교육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he improvements of the ‘Science Field Trips’ Program which developed with the aim of fostering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ility to manage science field trips. The participants were 13 senior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in the science instruction aspect of the prospective teachers’ geological field trip as an experiential activity,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hildren’s ‘scientific knowledge’(69.2%), ‘science related attitudes’(46.2%), and ‘science inquiry’(30.8%). Second,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geological field trip in their management of science field trips aspects in the future,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teaching strategies’(92.3%), ‘plan implementation’(76.9%), ‘teacher’s science knowledge’(61.5%), ‘self-confidence’(38.5%), ‘enhancement of awareness of field trips’(23.1%), and ‘career guidance’(7.7%). Third,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in the science instruction aspect of their activities of planning a science field trip in their future working districts,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hildren’s ‘science knowledge’(38.5%), ‘science-related attitudes’(38.5%), and ‘science inquiry’(23.1%). Fourth, regarding the effectiveness in their management of science field trips aspects of the activities of planning a science field trip,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plan implementation’(92.3%), ‘the identification of science field trip sites’(84.6%), ‘teaching strategies’(76.9%), ‘administrative affairs’(69.2%), ‘teacher’s science knowledge’(30.8%), ‘enhancement of awareness of field trips’(23.1%), ‘career guidance’(15.4%), and ‘self-confidence’ (15.4%). The improvements plans of the program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s also described in this study.
초등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과학 교사용지도서의 과학적 태도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장명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ientific attitude and its components in the general remarks and in the particulars of one government-designated and seven authoriz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s for the 3rd~4th grades which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ir general remarks, five of eight teacher’s guides (62.5%) give a very brief explanation on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and the remaining three teacher’s guides give a relatively detailed explanation on the components but they lack practical information on teaching and assessing of the components; Second, in the case of unit objective in the four units of the area of ‘Earth and Universe’, five of eight teacher’s guides (62.5%) contain 3~4 components among ‘curiosity’, ‘cooperation’, ‘objectivity’, ‘critical mindedness’, or ‘respect for evidence’, and one of the remaining three teacher’s guides contains only the component of ‘curiosity’, another guide doesn't have any component, and the other guide doesn't have unit objective itself; Third, in the case of unit assessment, only one of eight teacher’s guide (12.5%) has independent unit assessment, includes several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in the unit assessment, and is broadly consistent between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in unit objective and in unit assessment; Fourth, in case of lesson objective, three teacher’s guide (37.5%) contain 3~4 components among ‘curiosity’, ‘cooperation’, ‘objectivity’ and ‘critical mindedness’, and the remaining five teacher’s guide (62.5%) include only ‘curiosity’; Fifth, in the case of lesson assessment, among eight teacher’s guides, five (62.5%) evaluate 3~4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s, two (25.0%) evaluate only ‘curiosity’ and ‘cooperation’, and one (12.5%) does not evaluate anything.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지도서 8종의 총론그리고 각론의 지구와 우주 영역 4개 단원의 단원 목표, 단원 평가, 차시 목표 및 차시 평가에서 다루어진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 분석을 통해 향후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지도서 8종 중 5 종(62.5%)이 총론에서 과학적 태도와 행동 요소에 대해 매우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고 이에 대해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한 지도서 3종도 이에 대한 지도 및 평가를 위한 실제적인 정보는 미흡한 편이다; 둘째, 지도서각론 4개 단원의 단원 목표의 경우 지도서 5종(62.5%) 은 호기심, 협동심, 객관성, 비판성, 증거의 존중 중3~4가지 행동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그 나머지 지도서3종(37.5%)은 행동 요소로 호기심만 포함하고 있거나태도에 대한 내용 없이 지식과 탐구만을 포함하고 있거나 단원 목표 항목 자체가 없다; 셋째, 분석 대상 지도서 8종 중 1종(12.5%)만이 단원 평가에 해당하는 독자적인 항목을 포함하고 있고, 그 내용으로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 행동 요소는 단원 목표에서의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와도 대체로일치하는 편이다; 넷째, 차시 목표의 경우, 지도서 3종(37.5%)에는 호기심, 협동심, 객관성 및 비판성 중 3~4 개의 행동 요소가 반영되어 있고 나머지 5종(62.5%)에는 호기심만 포함되어 있다; 다섯째, 차시 평가의 경우, 지도서 8종 중 5종(62.5%)에서 3~4가지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가 평가되고 있고, 2종(25.0%)에는 호기심과 협동심 두 가지 행동 요소만 평가되고 있으며, 1 종(12.5%)에는 전혀 평가되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