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현의 『集聯』에 수록된 四家 聯句 고찰

        장람 한국시가문화학회 2019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3

        This paper is to observe Hwang Hyun’s poetry,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aga’s Joint Sentences which are included in “Jib-Ryeon”. “Jib-Ryeon’ contained a lot of Joint Sentences of Chinese poets and Korean poets. Especially Hwang Hyun mentioned Saga in “Jib-Ryeon”s prefaced when he revealed the direction of learning poetry. This article is to elaborate on how Hwang Hyun taught students through Saga’s Joint Sentences. Hwang Hyun did not reject to imitated other people's methods of writing poetry but still continued to innovate. He pursued the charm of painting in poetry,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inun’. He also found poetry materials around his life and describe it realistically. This article observes how the above attitude to poetry reflects on the Saga’s Joint Sentences. The result is Hwang Hyun paid attention to the Saga’s poems in the “Hangaekgunyounjib”, and emphasized the immanent technique of expression like ‘Singi’. Also Hwang Hyun tried to express the picturesque aesthetic feeling and real description of rural reality by comparing and reconciling colors in order to build new artistic conception. In this way, the characteristics of Saga’s Joint Sentences were projected on Hwang Hyun’s tendency towards poetry. We can see, Hwang Hyun always looked at study with a critical attitude. Therefore, what Hwang Hyun wants to teach to beginners is to learn poetry with a critical attitude, through the study of Saga research. This is the image of the educator he presented to us. This kind of research can be another topic in his poetry education research. 본고는 황현의 작시관을 바탕으로 『집련(集聯)』에 수록된 사가(四家) 연구(聯句)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집련』에서 많은 중국시인과 한국 시인의 연구를 수록하였다. 여기 주목할 만 한 점은 황현이 『집련』의 서문에서 시를 배울 만한 모범으로 한국 시인 가운데 특별히 사가를 거론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황현이 사가 연구를 통해 학생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싶은지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황현은 법고창신적 작시관을 가지고 있으며, 신운시의 중요한 특성 중에 하나인 시중유화의 운치를 추구하고, 생활주변에서 창작 소재를 찾고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시창작 방식을 중요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황현의 작시관이 『집련』에 수록된 사가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고찰하였다. 황현은 사가의 『한객건연집』에 있는 시작품을 주목하였고 여기에 내재된 신기를 중요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색채의 대비와 조화를 통한 시중유화의 미를 표출하는 연구를 선별하고 보다 새로운 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황현 또한 조탁 없이 농촌 실경을 사실적으로 구현한 연구에도 주목하였다. 이처럼 『집련』에서 수록된 사가 연구의 양상에 황현의 작시관이 투영되고 있다. 황현은 학문하는 태도로 있는 그대로 본받기보다는 늘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황현이 후학에게 가르쳐 주고 싶은 것은 사가 연구의 공부를 통해 비판적 수용의 학시 방법을 터득하는 것도 있다. 『집련』은 교육서로써 연구를 가르칠 뿐만 아니라 시 창작 방법까지 학생들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이는 황현의 교육자로서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연구(硏究)는 황현의 시 교육 연구에 또 하나의 접근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황현의 『집련(集聯)』에 수록된 사가(四家) 연구(聯句) 고찰

        장람 ( Zhang La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9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3

        본고는 황현의 작시관을 바탕으로 『집련(集聯)』에 수록된 사가(四家) 연구(聯句)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집련』에서 많은 중국시인과 한국 시인의 연구를 수록하였다. 여기 주목할 만 한 점은 황현이 『집련』의 서문에서 시를 배울 만한 모범으로 한국 시인 가운데 특별히 사가를 거론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황현이 사가 연구를 통해 학생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싶은지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황현은 법고창신적 작시관을 가지고 있으며, 신운시의 중요한 특성 중에 하나인 시중유화의 운치를 추구하고, 생활주변에서 창작 소재를 찾고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시창작 방식을 중요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황현의 작시관이 『집련』에 수록된 사가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고찰하였다. 황현은 사가의 『한객건연집』에 있는 시작품을 주목하였고 여기에 내재된 신기를 중요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색채의 대비와 조화를 통한 시중유화의 미를 표출하는 연구를 선별하고 보다 새로운 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황현 또한 조탁 없이 농촌 실경을 사실적으로 구현한 연구에도 주목하였다. 이처럼 『집련』에서 수록된 사가 연구의 양상에 황현의 작시관이 투영되고 있다. 황현은 학문하는 태도로 있는 그대로 본받기보다는 늘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황현이 후학에게 가르쳐 주고 싶은 것은 사가 연구의 공부를 통해 비판적 수용의 학시 방법을 터득하는 것도 있다. 『집련』은 교육서로써 연구를 가르칠 뿐만 아니라 시 창작 방법까지 학생들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이는 황현의 교육자로서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연구(硏究)는 황현의 시 교육 연구에 또 하나의 접근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observe Hwang Hyun’s poetry,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aga’s Joint Sentences which are included in “Jib-Ryeon”. “Jib-Ryeon’ contained a lot of Joint Sentences of Chinese poets and Korean poets. Especially Hwang Hyun mentioned Saga in “Jib-Ryeon”s prefaced when he revealed the direction of learning poetry. This article is to elaborate on how Hwang Hyun taught students through Saga’s Joint Sentences. Hwang Hyun did not reject to imitated other people's methods of writing poetry but still continued to innovate. He pursued the charm of painting in poetry,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inun’. He also found poetry materials around his life and describe it realistically. This article observes how the above attitude to poetry reflects on the Saga’s Joint Sentences. The result is Hwang Hyun paid attention to the Saga’s poems in the “Hangaekgunyounjib”, and emphasized the immanent technique of expression like ‘Singi’. Also Hwang Hyun tried to express the picturesque aesthetic feeling and real description of rural reality by comparing and reconciling colors in order to build new artistic conception. In this way, the characteristics of Saga’s Joint Sentences were projected on Hwang Hyun’s tendency towards poetry. We can see, Hwang Hyun always looked at study with a critical attitude. Therefore, what Hwang Hyun wants to teach to beginners is to learn poetry with a critical attitude, through the study of Saga research. This is the image of the educator he presented to us. This kind of research can be another topic in his poetry education research.

      • KCI등재

        매천(梅泉) 황현(黃玹)의 육유(陸游) 차운시(次韻詩) 연구

        장람 ( Zhang La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9

        본고는 매천 황현의 중국 문인 차운시 가운데 특히 육유 차운시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매천은 일생동안 많은 시작품을 남겼는데 차운시의 검토를 통하여 그의 시적 수련과정을 살펴볼 수 있으며, 나아가 그의 시세계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주로 논지는 아래와 같다. 관련된 시문 분석을 통하여 황현이 현란한 언어적 기교와 수사 없이 시의를 개성적으로 표현하는 육유의 작시 방식을 추구하고 특히 웅걸한 기상의 육유시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황현의 육유시에 대한 차운 현황을 살피면서 크게 세 가지 특징으로 정리해 보았다. 첫째는 칠언율시가 많은 점이다. 그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옛 시인의 뛰어난 율시에 대해 끊임없이 차운하면서, 특히 육유의 칠언율시를 모범으로 삼아 자신의 칠언율시를 수련하는 데에 활용하였다. 둘째는 초학자의 시작 수련에서 많이 운용하는 점이다. 마지막은 육유의 재촉시기의 시를 많이 차운하는 점이 들 수 있다. 이어서 황현의 육유 차운시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고 드러나는 주제 양상을 고찰하였다. 각각 향촌 생활의 여유와 한적, 사대부적 이상의 좌절과 자조 그리고 비판적 현실인식과 우국적 정서 토로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향촌 생활을 즐기면서 한가롭고 소박한 향촌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황현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평화로운 일상도 균열이 일어날 때가 종종 있는데, 문득 `대부(大夫)`로서의 좌절을 자각할 때이다. 더 나아가 황현은 당시의 혼란한 정치 현실을 냉철하게 주시하고 있었다. 그는 부패한 왕실과 권력층의 비리를 신랄히 비판하면서 지식인으로서 시대적 소명을 다하려고 하였다. 황현의 육유 차운시의 주제 양상을 고찰하면서 그의 이런 심경 변화 또한 엿볼 수 있다. 이어서 황현의 육유 차운시 중에 육유의 재촉 시기 작품에 대한 차운에 초점을 두고 차운시와 원운시를 비교하면서 황현의 차운 경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육유에게 재촉 시기의 의의를 밝힌 다음에 황현은 이 시기의 육유시와 어떤 점을 공명하여 지은 것인지를 파악하였다. 황현이 학문적 능력과 시적 재능이 있음에도 정치적 기회를 얻지 못했던 육유의 처지에 공감되고 정서적 교감이 형성되어 육유의 많은 재촉 시기 작품을 차운한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황현의 중국 문인 차운시에 대한 연구는 그 작품의 주제나 경향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이와 같이 시인 간의 정서적 유대, 감성적 공감의 측면에서 차운시를 검토한 경우는 드물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황현의 다양한 중국 문인 차운시를 살핀다면 시공의 경계를 넘나드는 차운시만의 독특한 문학적 특성을 살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inese rhyme-borrowing poems of Maecheon, especially the rhyme-borrowing poems of Lu-You. Even though Maecheon wrote a lot of poems in his life, After examining his rhyme-borrowing poems, we can not only explore his cultivation process, but also better understand his poems` world. The main thrust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relevant poems, we can see that Hwang Hyun didn`t pursued gorgeous language skills and modification. On the contrary, he advocates the poetic expression of individual poetic Lu-You Style. In particular, admire the brute unrestrained Lu-You poetry. There are three main characteristics through investigation. Frist of all, there are many seven-character poems. Second, many beginners in the exercise process will be applied. Finally, when Lu-You was relegated to the Shu(在蜀時期), he always used. By analyzing Hwang Hyun`s Lu-You rhyme-borrowing poems, we can see the leisure and traces of rural life everywhere. And also reflect the ideal of scholar-bureaucrat`s frustration and self-deprecating mood,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realistic critical consciousness and reveal sentiment. However, Hwang Hyun was very enjoyed his casual, rustic country life. But the seemingly peaceful life will be cracks, when he realized the ideals of the scholar-officials` frustration. Even so he was watched calmly chaotic political reality. He criticized the royal family and the power of corruption, while fulfilling the fate of the times as intellectuals. In the study of Hwang Hyun`s Lu-You rhyme-borrowing poems, we can feel his mood`s changes. And then I focus on the poems` rhyme of Lu-You when he was in the Shu(在蜀時期) in Hwang Hyun`s Lu-You rhyme-borrowing poems. I also compared rhyme-borrowing poem and original poem to discusses the tendency of his rhyme.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aning to Lu-You when he was in the period of Sichuan. By this way, we can understand the resonance between Huang and Lu-You`s poems. In my opinion, Hwang Hyun, who has high literary attainments but lack of opportunities, was resonated with Lu-You, who also in the same situation. So it`s easy to understand why Hwang Hyun liked borrowing rhyme from Lu-You`s poems. In the past Studies about Maecheon Hwang Hyun`s Lu-You rhyme-borrowing poems, they analyzed the themes and tendencies and so on. However, it is very rare to discuss the rhyme-borrowing poems from the feelings of the poets. in this way, I hope we can explore the unique literary features of the rhyme-borrowing poems which span time and space.

      • KCI등재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문학과 개설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김용범,구려나,량빈,장람,김현정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pla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16 Chinese universit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y the way, according to the 2016 standard, all of these universities are belong to '211 universities' or '985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can be analyzed from the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the universities which offere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re mainly located in coastal areas adjacent to Korea. Second, professors in Chinese universities are mainly Chinese(96.1%, 147), and 84.3% (129) of them hold doctor’s degree. Especially, 51%(78)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Korea, and 33.3%(51)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Chin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professors' professional distribution, the number of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Language is the largest, with a ratio of 33.3% (51). Followed by the professors of Modern Literature, with a ratio of 22.2% (34). Finally, Classical Literature and other(History, Philosophy) professional professors have a 15% ratio(23). Here we have some suggestions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have been proposed before. First,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 policy of the One Belt One Road’, expan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iscipline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exchanges. Second,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e should expand the education curriculum too. In particular, is necessary to improved the teaching methods of profess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orean researchers with objective information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China at the present stage, to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previous information. 이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 개설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대학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을 제안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분석 대상으로 삼은 중국 대학은 2016년 기준으로 ‘211대학’(116개)과 ‘985대학’(39개)에 포함되어 있는 대학 중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16개 대학(중국전매대학 제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들은 주로 한국과 인접한 해안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교수들은 주로 중국인(96.1%, 147명)이었으며, 박사학위 소지자는 84.3%(129명)에 이른다. 학위취득 국가로는 한국이 51.0%(78명)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경우는 33.3%(51명)였다. 교수진의 전공은 국어학이 33.3%(5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대문학이 22.2%(34명), 고전문학과 기타(역사, 철학 등) 전공이 각각 15.0%(23명)로 나타났다.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으로는 ‘일대일로’라는 중국의 정책에 따른 한국어문학과의 확대 및 국제교류 활성화와 함께,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을 보다 확대할 것을 제안해 보았으며, 특히 개별 교수자의 교수법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중국에 개설된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한국 연구자들에게 중국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