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장동민,백희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읽기 과정에서 발생하는MW유발 요인을 도출하고,독자의 몰입 읽기를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MW 유발 요인,시간대별MW발생 횟수와MW발생 후,독자의 감정 상태를 도출하였다. 먼저,세 가지 범주의MW유발 요인을 살펴보면,첫째는 ‘독자 내면으로 유도된 딴생각(InternallyDirectedMW)’이다.이 유발 요인은 텍스트나 과제 수행과 무관한 독자내면을 향한 생각들로 설명되었다.둘째는 ‘과제 상황 관련 딴생각(Task-RelatedMW)’ 이다.이 유발 요인은 과제를 수행하는 중 과제 수행을 지나치게 의식하거나 혹은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수행 맥락에서 벗어난 경우를 가리킨다.셋째는 ‘텍스트에서 기인한 딴생각(MWTriggeredbyText)’이다.이 유발 요인은 텍스트에 제시된 단어나 인물,삽화로부터 촉발된 생각들을 포함하였다.다음으로MW의 시간대별 발생 횟수를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지속적 묵독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기도 하였다.마지막으로MW가 발생한 이후 독자들의 감정을 확인한 결과,37%의 연구 대상자들이 부정적인 감정을 호소하였다.MW의 발생 없이 지속적으로 묵독하는 습관은 읽기 동기와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MW와 몰입 읽기에 천착해야 할 필요가 있을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MW triggers that occur in the reading process and to seek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readers’ flow in rea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largely derived three categories of MW triggers, the number of MW occurrences by time zone, and the reader’s emotional state after MW occurrence. First, looking at the three categories of MW triggers, the first is ‘Internally Directed MW induced inside the reader’. This trigger was explained by thoughts toward the reader’s inner self unrelated to text or task performance. The second is ‘Task-Related MW’. This trigger refers to cases in which the task is overly conscious of the task performance or deviates from the performance contex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third is ‘MW Triggered by Text’. This trigger included thoughts triggered by words, characters, and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text.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MW by time zone, it was also revealed that students were not able to read continuously. Finally, as a result of confirming readers’ emotions after MW occurred, 37% of the study subjects complained of negative emotions. As the habit of continuously reading silently without the occurrence of MW has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motivation and efficacy, it will be necessary to adhere to MW and immersive reading.

      • KCI등재

        독자의 시선 행동 특성에 따른 잠재 집단별 읽기 능력 분석

        장동민 한국독서학회 2023 독서연구 Vol.- No.68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51명을 읽기 과정에서 시선 행동의 특성에 따라 다섯 개의 잠재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잠재 집단별 읽기 능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각 잠재 집단의 읽기 과정에서 시선 행동 특성과 읽기 능력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읽기에 미숙한 독자의 시선 행동 특성은 읽기 과정에서 시선 총 고정 시간이 길고 시선 고정 빈도가 높았다. 이것은 어휘력의 부족 때문이었다. 또한 읽기 과정 중, 의미 없는 회귀를 반복하거나 회귀조차 없이 순차적으로 글을 읽어나가는 시선 행동 특성을 보였다. 다음으로, 읽기 능력이 좋은 집단의 시선 행동 특성은 시선 총 고정 시간이 짧고 시선 고정 빈도가 낮았다. 또한 시선 고정 빈도가 낮아 시선 평균 고정 시간이 미숙한 독자 집단에 비해 길었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글자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미숙한 독자에 비해 오래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절한 회귀를 통해 어휘의 뜻을 파악하고 글을 이해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첫째, 독자 집단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이들에 대한 정확한 중재의 필요성 둘째, 묵독 유창성 검사와 연구 셋째, 어휘력 향상을 위한 교육 넷째, REMMA 방식을 활용한 학생 개개인의 프로파일 특성에 맞는 읽기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EMME를 활용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지도 효과 분석

        장동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23 새국어교육 Vol.- No.13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EMME(Eye Movement Modeling Example)를 활용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지도를 통해 그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49명을 대상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사전 실험을 수행한 후, 이들의 시선 이동을 분석하여 양식 간 전환 확률과 통합 그리고 읽기 이해 검사를 실사하였다. 다음으로 실험군(24명) 학생들에게는 EMME를 활용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지도를 하였고 통제군(25명)에게는 EMME를 제외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지도만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후 실험에서 양식 간 전환 확률과 통합, 읽기 이해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 결과 EMME를 활용한 지도를 받은 실험군이 통제군과 비교해 양식 간 전환 확률이 더 높았고 통합을 위한 시선 고정 시간이 더 길었다. 또한 읽기 이해에서도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결론: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지도에서 언어적 정보 제시만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읽기의 인지 과정을 모델링할 수 있는 EMME를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multimodal text reading guidance plan using the Eye Movement Modeling Sample (EMME)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49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re-experimented with multimodal text reading, and their gaze movement was analyzed to examine the probability of conversion between modes, integr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Next, the experimental group (24 students) was guided to read multimodal text using EMME, and the control group (25 students) was guided to read multimodal text excluding EMME. Next, in the post- experiment, differences in conversion probability, integr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form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guidance using EMME had a higher probability of switching between modes and a longer gaze fixation duration for integration than the control group. It also received higher reviews in reading comprehens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using EMME that can specifically model the cognitive process of reading as well as presenting linguistic information in multimodal text reading ma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